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동일
매한가지
피차일반
매일반
피장파장
d라이브러리
"
마찬가지
"(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의 작은 화석 소행성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6. 3-5일이 지난 후 같은 위치로 구도를 잡고 찍는다.7. 두 번째 사진에서도 ⑤번 과정과
마찬가지
로 소행성을 찾아보고 얼마나 이동했는지 살펴본다.■확인하기소형성 팔라스는 9월 경 새벽에 큰개자리의 시리우스 별 위의 외뿔소자리를 가로지른다. 밝기는 약 9등급으로 눈으로는 볼 수 없지만 ... ...
아홉수와 13일의 금요일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죽을 사(死)와 같아서 사고가 많이 난다거나 하는 믿음이 스키너의 비둘기가 생각한 것과
마찬가지
다. 영화 ‘13일의 금요일’에서 등장인물들이 죽임을 당하는 이유는 사실 자신들의 방탕한 생활 때문이었다. 그러나 사람들은 이런 끔찍한 일이 13일과 금요일이 겹쳤기 때문에 일어난 것이라고 ... ...
자연의 기본물질 쿼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힘을 서로 밀어내는 척력, 공을 받는 힘을 서로 당기는 인력에 비유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
로 핵 속에 들어있는 어떤 입자가 양성자와 중성자 사이를 오가며 척력과 인력을 발생시켜 핵 속에 양성자와 중성자를 가둔다는 것. 이때 생기는 힘을 강력이라고 한다. 그런데 유카와가 예언했던 입자가 1 ... ...
은하 충돌로 새 은하 형성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좀더 매끈한 은하로 새로 태어나게 된다. 나선은하들이 거대한 타원은하로 바뀌는 것과
마찬가지
다. 이런 과정은 약 10억년 정도 걸리는 비교적 짧은 시간에 이루어진다.이번 발견은 ‘은하들이 모여 더 거대한 은하를 형성한다’는 빅뱅이론을 뒷받침하고 있다. 과거에는 모든 거대질량은하가 ... ...
실험실의 풀러렌 자연에도 존재한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모인 분자다. 혹은 그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들도 있다. 풀러렌은 흑연, 다이아몬드와
마찬가지
로 탄소로만 이루어진 세 번째 형태로 1985년 실험실에서 합성됐다.과학자들은 풀러렌이 자연에도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생각해왔다. 이번 연구에서 하와이 대학의 베커 교수와 연구진은 자연적으로 ... ...
우리나라 공룡알 산란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충적선상지의 하단부로 여겨진다. 당시의 기후조건은 우리 나라의 다른 공룡화석층들과
마찬가지
로 건기와 우기가 반복되는 아건조기후였을 것으로 해석된다.보성 공룡알둥지는 집중되어 있는 경우 둥지와 둥지 사이가 평균 약 30m 간격으로 발달돼 있었다. 현재까지 노출된 알둥지의 크기는 ... ...
3. 민주주의 앞당긴 염료의 역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의약품의 대량 생산이 바로 그것이다. 현대 화학이 발전하기 전까지는 의약품도 염료와
마찬가지
로 동물이나 식물과 같은 천연 자원을 원료로 사용했다. 그러나 염료 합성에서 얻은 화학적 지식을 이용해 값싼 합성 의약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길이 열렸다. 그렇지만 이러한 발전은 환경 파괴라는 ... ...
입안에서 사르르 아이스크림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아이스크림. 일찍이 맛을 본 이들은 그 맛을 잊지 못했다. 이것은 현재의 사람들도
마찬가지
. 지금과 같은 형태는 아니지만 아이스크림의 역사는 꽤 길다. 흔히 아이스크림을 서양음식으로 알고 있지만 그 기원을 따지면 동양음식으로 분류하는 것이 옳다. 고대 중국인들이 기원전 3천년 경부터 눈 ... ...
4. 화면색과 실제 색이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흰색에서 빨강을 빼면 빨강의 반대쪽 색은 시안(C)이 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마찬가지
로 흰색에서 초록(G), 파랑(B)을 빼면 각각 마젠타(M), 노랑(Y)이 된다. 따라서 인쇄, 도색 등에 쓰이는 염료나 페인트 등에는 CMY의 3원색을 사용한다. 프린터의 컬러잉크는 이 세가지 색으로 돼 있다. 그런데 ... ...
2. 망가진 생체리듬이 병을 부른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시작한다. 빛을 비춰주는 횟수는 며칠에 한번 정도면 충분하다.올빼미형의 경우도
마찬가지
다. 즉 며칠 동안 아침에 밝은 빛을 1-2시간 가량 비춰준다. 일주기리듬을 앞당기기 위해서다. 흥미롭게도 빛을 잠에서 깨자마자 비춰주면 기상시간이 매일 15분 정도씩 점차 빨라진다는 통계가 보고됐다 ... ...
이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