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2. '앨리스'의 이상한 나라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힘을 *강력이라고 부른다. 강력은 글루온이라는 입자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전달된다.
결국
물질의 질량은 쿼크와 글루온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지는 셈이다.문제는 쿼크와 글루온이 양성자와 중성자 안에 갇혀 산다는 것. 게다가 이들은 경험적인 상식과 달리 거리가 멀수록 서로 당기는 힘이 ... ...
헐크 닮은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있어 초록색 빛이 반사되었는데, 물방울이 구멍을 막으면서 반사되는 정도가 달라져
결국
검게 보이게 되는 거랍니다.아~, 그래서 비가 오는 날 초록색에서 검은색으로 변한 거였군요! 정말 신비한 몸을 가지고 계시네요. 그 원리를 이용하면 뭔가 재미있는 발명품도 나올 것 같은데요….눈썰미가 ... ...
3. 기네스 기록 도전하는 LHC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전류고, 이 전류가 펄스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입자의 궤적을 추적할 수 있다.
결국
픽셀 크기가 작고 수가 많을수록 입자 궤적의 정확도가 높아진다.CMS 검출기에 있는 초전도자석 역시 기록 경신의 일등공신이다. CMS 초전도자석은 4T의 강한 자기장을 만든다. 초전도코일을 감은 지름 6m, 길이 12. ... ...
2. '블랙홀 공장'짓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것.이들은 LHC 실험에서 고에너지 입자가 충돌하면 조그만 블랙홀이 만들어질 것이며
결국
지구가 몽땅 그 속으로 빠져들어 멸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과연 그럴까.LHC가 소송 당한 이유는?18세기 말 영국의 자연철학자 존 미첼은 뉴턴의 중력이론을 토대로 ‘너무 밀도가 높은 나머지 빛조차 ...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려움 머릿니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근육수축을 일으키는 아세틸콜린 분비량이 조절되지 않으면 신경계에 혼란이 생기고
결국
머릿니는 근육이 마비돼 죽는다.그러나 이런 화학 살충제는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다. 살충제를 많이 사용하면 사람에게도 비슷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미국과 영국에서는 화학 살충제를 남용해 ... ...
1957년 조지 윌리엄스 교수의 자연선택 담은 노화진화이론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거북이가 100년이 넘게 사는 이유도 단단한 갑옷을 둘러 잡아먹힐 확률이 낮기 때문이다.
결국
생식능력과 생존율을 곱한 값인 생식 확률이 어느 선을 유지하느냐가 노화의 속도를 결정한다.윌리엄스 교수의 이론이 정말 맞다면 번식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다면발현 유전자가 고장날 경우 생식력은 ... ...
여름방학과 여름휴가를 수학책과 함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 승산 | 2만 원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4색 문제, 푸앵카레 추측. 유명한 난제들이면서
결국
은 해결된 문제들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미제로 남아 있는 문제가 있으니 바로 ‘리만 가설’이다. 리만 가설은 독일의 수학자 베른하르트 리만이 주어진 숫자보다 작은 소수의 갯수를 구하는 규칙을 ... ...
할리데이비슨의 3대 매력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일반 가죽은 가죽의 틈새로 물이 스며들면 틈새가 벌어져 물이 더 많이 스며든다.
결국
재킷은 물에 젖고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FXRG 재킷은 가죽의 밀도를 높였기 때문에 가죽의 틈새로 물이 들어오더라도 조직의 틈이 더 이상 벌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물에 젖지 않는다.겨울용 열선 재킷을 ... ...
곤충계 스타, 북쪽으로 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양이 늘면 잎 면적이 줄고 이파리에서는 수분과 질소 농도가 떨어지나 전분 농도는 는다.
결국
이산화탄소가 증가하면 먹이식물이 질적으로 달라져 애벌레는 먹이식물을 바꾸고 더디게 성장하는 셈이다. 이런 현상은 먹이식물의 진화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우리 나비도 북쪽으로 이동우리나라 ... ...
한국인 최초 개인 게놈 해독 눈앞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때문에 판독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자연히 비용은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결국
문제는 비용이다. 더 싸게, 더 빨리 시퀀싱하는 기술이 개인 유전체학 발전에 필수인 셈.2006년 미국의 X-프라이즈 재단은 100명의 인간 게놈을 10일 안에 한 사람당 1만 달러(약 1000만 원) 이하의 비용으로 해독하는 ... ...
이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