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d라이브러리
"
새로운
"(으)로 총 8,040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럽의 콜럼버스,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0801
해결한 것이 키를 두 개로 만든다는 개념이다 파는 사람은 암호문 모음집을 만들어 놓고
새로운
고객이 생길 때마다 암호를 하나씩 제공한다 이 암호는 컴퓨터 통신 상의 모든 사람들에게 공개되기 때문에 '공개키'라고 부른다 동시에 별도의 '비밀키'를 고객에게 제공한다 암호의 일부는 공개하고 ... ...
주방이 '실험실'인 분자요리
과학동아
l
200801
퍼진다. 요리에도 유머가 있다엘 불리의 요리사들은 매년 4월 문을 열기 전 3개월 동안
새로운
요리를 연구한다. 그 가운데는 기술적으로 난해한 과정이 필요한 요리도 있지만 기발한 아이디어로 고객들에게 신선한 재미를 주는 아이템도 많다.디저트로 나오는 하얗게 굳은 설탕 시럽이 발라져있는 ... ...
18세기 최첨단 요새 수원 화성
과학동아
l
200801
2년 8개월 만에 완성됐다. 지금으로 치면 신도시 하나를 2년 8개월 만에 완성한 셈이다.
새로운
장비를 만드는 데 주저하지 않는 정약용의 모습은 MBC 드라마 ‘이산’의 정조와도 겹친다. 대리청정에 실패한 뒤 궐 밖으로 암행을 나간 이산은 천한 신분의 노인에게 낮은 곳의 물을 끌어 올리는 펌프 ... ...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801
다양성과 탄생을 설명한 ‘종의 기원’이 발간된지 150년이 되는 해다. 이제 인간이 만든
새로운
종에 대한 분야를 추가한 ‘종의 기원 2.0’이라도 나와야 할 것 같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생명 2.0시대 오는가?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 ...
특집03 뚝딱뚝딱 '프랑켄슈타인 세포' 만들기
과학동아
l
200801
모든 유전정보가 담겨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유전체만 확보했다고 ‘무’(無)에서
새로운
생명체가 뚝딱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또 게놈을 완벽하게 합성한다고 해도 그 안에 담겨진 정보가 세포에서 의도한대로 발현될지는 미지수다.2005년 일본의 미쓰비시 가가구 생명과학연구원의 미츠히로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01
것으로 밝혀졌다. 센서는 다르지만 모두 ‘맵다’고 느끼는 이유다.최근에는 Nav1.8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냉센서가 보고되기도 했다. 진통제 개발에 영감 줘“캅사이신은 동전의 양면과 같습니다. 처음엔 통증을 일으키지만 나중에는 진통 작용을 보입니다.”통증을 연구하고 있는 서울대 약대 ... ...
신물질을 디자인합니다
과학동아
l
200801
가진 질화붕소나노튜브를 이론적으로 발견한 뒤 합성에 성공했다.장 교수가 발견한
새로운
개념의 초전도물질도 이론적으로 개발된 뒤 합성됐다. 초전도물질은 온도를 낮추면 저항이 0이 돼 전기 에너지 손실이 없고, 전류가 많이 흐르면 강한 자기장을 만들 수 있다. 그런데 장 교수가 발견한 ... ...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01
전화선에서 고속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것은 일반 모뎀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다르게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설정했기 때문이다 비대칭이란 용어는 수신 속도(E1:초당 2048MB 전송)와 송신 속도(6백40kbps)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사용됐다 일반 사용자가 PC통신이나 인터넷을 즐기기에는 적합하지만 ... ...
생명 2.0시대 오는가?
과학동아
l
200801
자연스럽게 진화한 버전 1.0 생명체를 연구하는 시대는 가고 인간이 직접 만든 게놈으로
새로운
생명체를 창조하는 '생명 2.0' 시대가 열리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생명 2.0시대 오는가?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특집02 세포창조 ... ...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801
수업을 개설했다. 이 수업에서 이들은 각종 유전자 부품을 조립해
새로운
생물 시스템을 만든다는 의미에서 ‘생물벽돌’(BioBricks)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벽돌의 종류가 많을수록 지을 수 있는 집의 종류도 늘어나듯 기능별로 표준화된 유전자 부품들의 데이터베이스(카탈로그)를 만들면 다양한 ... ...
이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