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d라이브러리
"
과학
"(으)로 총 1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1503
있다. 어느 정도 가까이만 가도 표준모형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을 보게 될 것이다.
과학
자들은 LHC를 통해 '신의 입자'라는 별명을 가진 힉스입자를 발견했다. 새로운 세계를 향한 문이 밖에도 표준모형에서 설명하는 세 가지 힘이 왜 지금과 같은 형태인지를 설명하고자 하는 대통일 이론, ... ...
[Life & Tech] 식중독 바이러스가 면역력 높인다?
과학동아
l
201503
지난해 11월 19일 학술지 ‘네이처’에 이목을 끄는 논문 한 편이 실렸다. 제목을 그대로 번역하자면 다음과 같다. ‘장내 바이러스는 공생 박테리아의 유익한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An enteric virus can replace the beneficial function of commensal bacteria).’ 바이러스 전문가인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 ...
[Knowledge] 지상에서 운용되는 우주기술
과학동아
l
201503
된 영화 ‘인터스텔라’에 나오는 플랜-B처럼.연구실 창문 너머로 들여다 보니 젊은
과학
자들이 한창 큐브샛에 실험 키트를 장착하고 있었다. 한쪽에서는 화성 탐사와 이주라는 거대하고 긴 꿈을 꾸고 있고, 다른 쪽에서는 작고 실용적인 실험을 준비하고 있다. 전방위적인 우주시대에 돌입했다는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수소차에 딱! 저렴한 탄소촉매 만든다
과학동아
l
201503
수소차, 아직은 ‘그림의 떡’“현재 사용하는 수소연료전지로는 가격의 한계를 극복할 수 없습니다. 백금 촉매를 사용해야 하는데 너무 비싸거든요. 백금을 대신할 새로운 촉매가 수소차 시대를 여는 열쇠가 될 겁니다.” 주상훈 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는 현실적인 문제를 가장 먼저 진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항암치료 고통 덜어준 유방암 예측 SW
과학동아
l
201503
치료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런 맞춤의학을 제대로 하려면 의사나 생명
과학
자들이 생물학 지식만 알아서는 안 된다. 빅데이터를 다루고 컴퓨터를 이용해야 한다.의학이 소프트웨어와 만나면 새로운 가능성이 열린다. 마이클 J. 폭스 파킨슨병 연구재단은 파킨슨병 치료약이 ... ...
色시한
과학
色시한 라이프
과학동아
l
201503
곧 누구나 色시해질 수 있기를 바래봅니다. 아드님이 싹수가 보입니다. 훌륭한 색채
과학
자의 자질이 보인다는 말입니다. 아드님이 좋아하는 보라색 케첩은 이미 한 번 큰 성공을 거뒀습니다. 10년 전 미국 식품 제조사 하인즈는 보라색 케첩을 만들었습니다. 이 케첩은 어른들 사이에서 ... ...
[
과학
뉴스] 왕년의 거대 가속기 ‘테바트론’이 남긴 것들
과학동아
l
201503
데 초점을 맞췄다. 이를 위해 ‘왕년의’ 두 검출기 팀
과학
자와 기술자는 물론, 컴퓨터
과학
자들이 힘을 모았다. 프로젝트의 총 책임자인 윌리스 사쿠모토 CDF 박사는 “적어도 2020년까지는 추가 설비를 설치하지 않고도 실험 자료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달의 사물] 구글
과학동아
l
201503
위 기업이다. 한국 기업은 삼성전자가 1위였는데, 정확히 시가총액이 구글의 절반이었다.
과학
에 돈 쓰는 것도 절반이면 우리나라도 지구를 떠나는 사람이 좀 생길 텐데 ... ...
[
과학
뉴스] 유럽인의 조상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1503
현생인류는 약 15만~20만 년 전에 아프리카에서 처음 태어나 약 6만 년 전 아프리카 밖으로 나간 뒤 전세계로 퍼졌다. 이 사실은 미토콘드리아 DNA 등 유전학 연구를 통해 밝혀졌는데, 정작 아프리카를 빠져나가던 시기의 초기 인류 유골이 거의 발견되지 않아 ‘물증’을 찾는 고고학자들의 속을 태웠 ... ...
[
과학
뉴스] 광합성 하는 달팽이를 소개합니다
과학동아
l
201503
때는 다른 달팽이처럼 투명하지만 자라면서 점차 식물처럼 초록색으로 변한다. 1970년대
과학
자들은 달팽이의 이런 색 변화를 보고 달팽이가 광합성이 가능한 이유는 조류를 먹은 뒤 조류의 엽록체를 보관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최근 달팽이의 광합성 비법에 대한 더욱 정확한 설명이 나왔다. ... ...
이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