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40건 검색되었습니다.
고혈압 직장인에게 가장 위험한 적 '직장 스트레스'와 '수면 장애'
동아사이언스
l
2019.04.28
직장 내 스트레스'와 '수면 장애'가 특히 위험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
지 '유럽예방심장학회지' 28일자에 실렸다. 독일 환경보건연구센터 연구팀은 25~65세 고혈압을 겪고 있는 근로자 1959명을 대상으로 심리적인 요인과 심혈관질환 발병률, 사망 위험 등을 조사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래핀 탄소와 수소 공유결합 '소리'가 붙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8
형성한 가운데 하얀 구슬과 짝을 이룬 까만 구슬만 산처럼 우뚝 솟아 있다. 26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그래핀 상에서 탄소 원자와 수소 원자 간에 공유결합이 형성되는 과정을 표지에 담았다. 공유결합은 수소와 수소, 산소와 산소, 탄소와 두 산소 등 원자 여러 개가 전자를 방출하고 전자쌍을 ... ...
[표지로 읽는 과학]'우주의 23%'암흑물질의 실마리를 찾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7
제공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25일 이탈리아 라아퀼리아 근처 지하 1290m 깊이 암반 아래 위치한 그란사소 이탈리아국립핵물리연구소(INFN Gran Sasso)의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연구소에 설치된 회색 빛깔의 ‘제논1T 암흑물질 검출기’의 모습이 보인다. 제논1T 암흑물질 검출기는 2014년 가동을 시작해 ... ...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황제펭귄 무리가 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녹기도 했고, 엘니뇨에 의한 폭풍까지 겹쳐 펭귄의 개체수가 급감했다. 사진제공
학술
지 남극과학 실제로 핼리 만에 살던 황제펭귄 가운데 사라진 절반을 제외하고 나머지 절반은 부근의 다른 서식지로 이주한 사실이 밝혀졌다. 핼리 만에서 약 55km 떨어진 또다른 군집의 개체수가 2016년 이후 갑자기 ... ...
스트레스 받을 때 폭식하는 건 인슐린 탓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많아져 식욕을 제어하는 특정 분자(신경펩티드)의 분비를 방해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셀 물질대사' 2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스트레스가 식욕과 음식물 섭취에 어떻게 관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쥐 실험을 했다. 대뇌에서 스트레스나 불안 등 감정을 느끼는 곳은 편도체이지만, ... ...
자국 미세먼지 줄었다는 중국, 알고보니 대도시만 줄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4.25
전체 미세먼지 감축에 실제로 크게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연구결과를 24일(현지시각)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중국은 석탄화력발전 등으로 인한 미세먼지 배출이 심각한 국가다. 2015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연구에 따르면 중국 내 조기 사망자 중 6분의 1은 ... ...
다이어트 방해하는 '뇌' 따로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분석해, 뇌에서 회백질이 작은 사람일수록 체지방 비율이 높다는 사실을 알아내 국제
학술
지 '영상의학' 23일자에 발표했다. 회백질은 뇌의 중심부에 신경세포(뉴런)가 많이 모여 있는 부분이다. 신경세포의 섬유부분만 모여 있는 백질에 비해 훨씬 중요하다. 연구를 이끈 데커스 연구원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녹지는 정신건강에 도움을 준다
2019.04.23
보정 전, 회색은 다른 요인들을 보정한 뒤의 값이다.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학술
지 ‘미국립과학원회보’ 3월 12일자에는 어린 시절 집 주변의 녹지 비율이 청소년과 성인이 됐을 때 정신질환 발생률에 꽤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덴마크 오르후스대 연구자들은 90만 명이 넘는 ... ...
나라마다 흔한 식품 알레르기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있는 유전자영역(HLA-DQ와 HLA-DR 등)이 땅콩 알레르기와 관련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에 발표했다. 하지만 이 영역에 돌연변이가 있어도 실제로 땅콩 알레르기가 나타나는 사람은 20%에 그쳤다. 지난해 3월에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연구팀이 땅콩 알레르기에 ... ...
젊은 뇌 유지하려면 집안일을 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사람들의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뇌의 부피 감소 속도가 느렸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자마 네트워크 오픈’ 19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중년의 남녀 2354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참가자들에게 활동성을 측정하는 장치를 달아 최소 3일이상 신체활동 데이터를 수집했다. 또 뇌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