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스페셜
"
처음
"(으)로 총 3,173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술 벤처가 살아남는 모범적인 방법
KOITA
l
2013.04.26
기술을 확보할 목적으로 2세대 이동통신 기술 개발에 참여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었다.
처음
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1인자, 모토로라에 새로운 이동통신 표준을 공동개발하자고 요청했으나 무선통신기술 경험이 일천한 한국의 파트너십 제의에 전혀 관심이 없었다. 모토로라와의 협상을 담당했던 ... ...
동일본 대지진의 위력, 우주에서도 감지
채널A
l
2013.04.25
감지 - 채널A 제공 고스 위성은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하고 30분 뒤 태평양 상공에서
처음
음파를 감지했고, 이후 25분이 지나서 지진파가 유럽을 지나갈 무렵 한차례 더 약한 신호를 포착했습니다. 고스 위성은 지구 중력 연구를 위해 유럽우주국이 발사한 것으로 다른 저궤도 위성에 비해 100km가량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구현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파인만이 설계한 장치의 작동 방식 그대로 만든 것은 이번이
처음
이라고 한다. 미국 네브라스카-링컨대 물리천문학과 허먼 바텔란 교수팀은 첨단 나노기술과 고감도 검출장비를 써서 3년간 고생한 끝에 파인만의 구상대로 진행한 실험에서 멋진 데이터를 얻어내는데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그리스 알파펫의 마지막이 오메가(ω)다) 탄소를 1로 해서 순서대로 번호를 붙였을 때
처음
이중결합이 나오는 탄소의 위치다. 이 미스터리에 대한 첫 번째 중요한 실마리를 푼 연구결과가 2010년 생물학저널 ‘셀’에 실렸다. 즉 오메가3지방산의 항염증 효과는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대식세포나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919년 디트로이트에서 태어난 호르비츠는 1948년 미시건대학에서 화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처음
에는 일리노이 공대에서 로켓연료를 연구하다 1950년대 중반 미시건 암재단으로 자리를 옮겨 암연구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그는 화학자였기에 떠올릴 수 있었던 기발한 아이디어로 항암제 분자를 ... ...
엄마도 모르는 모유의 진실, 알고보니 ‘헉’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모유 비교 논문은 사람을 대상으로 풍족한 환경에서 트리버스-윌라드 가설이 입증됨을
처음
으로 보인 사례다. 미국 미시건대 인류학과 마사코 푸지타 교수팀은 2012년 9월 ‘미국 자연인류학저널’에 실린 논문에서 아프리카 케냐의 농업목축을 하는 아리알(Ariaal) 부족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경제적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더 인상적이었던 건 바로 다음날 소행성이 지구를 스치고 지나갔기 때문이다. 그래서
처음
에는 이 유성체가 소행성의 파편이라는 이야기도 있었으나 나중에 둘 사이에는 아무 관련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100년만의 최대 규모 유성체 폭발과 관측 사상 소행성이 지구 가장 가까이 스치고 지나간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틀렸기에 3/8이란 상수가 붙었는지를 규명하고 있다. 질량과 에너지의 관계에 대해
처음
생각한 이는 아인슈타인도, 하젠욀도 아니다. 전자를 발견한 J.J. 톰슨은 1881년 전자가 전기장의 영향을 받으면 질량이 늘어난다고 제안했고 뒤이어 막스 아브라함은 이 아이디어를 가다듬어 m=(4/3)E₀c²이라는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실린 인터뷰에서 생물학자가 되려는 학생들에게 아래와 같은 조언을 했다. “
처음
부터 생물학을 너무 진지하게 공부하지 마세요. 먼저 가능한 폭넓게 기초 과학 교육을 받으세요. 그래야 나중에 생물학에 입문할 때 과학적 감각을 유지할 수 있고 열린 마음과 호기심을 지닐 수 있답니다. 생물학을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변환할 수 있다. 이런 간단한 생각을 과학자들이 안 했을 리는 없어 DNA저장 방식은 1988년
처음
소개됐다. 그러나 디지털 정보 저장 매체로서 DNA의 활용은 엄청난 비용 때문에 원리적으로나 가능한 얘기였다. 그런데 최근 DNA합성과 해독 비용이 급속히 떨어지면서 몇몇 과학자들이 DNA에 디지털 정보를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