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교수"(으)로 총 5,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19 정복 가능할까?··· 여전히 예측하기 어려운 미래 2020.09.23
- 그림 고규영 “코로나19는 언제 종식되는가?”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이 질문의 답을 궁금해 할 것이다. 희망적인 예측을 내놓고 싶지만, 과학자로서 바라보는 현실은 냉 ... 1&searchCnd=&searchWrd= / 고규영 기초과학연구원(IBS) 혈관 연구단 단장‧KAIST 의과학대학원 특훈교수(분자의과학 ... ...
- [의학바이오게시판] 서울대병원, 대한외래 건물에 유방센터 이전 外동아사이언스 l2020.09.23
- 클라우드를 이용한 병원정보시스템을 개발한다. 이상헌 고려대 의대 재활의학교실 교수가 대표로 있다. ■크리스탈지노믹스는 췌장암, 간암, 골수형성이상증후군(MDS) 적응증으로 개발중인 신약 후보물질 ‘CG-745 (아이발티노스타트)’의 호주 특허를 획득했다고 22일 밝혔다. 특허명은 ... ...
- 합법화됐지만…처방은 없었다동아사이언스 l2020.09.22
- 사실상 전무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데이비드 너트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 의학부 교수가 이끄는 영국 연구진은 ‘영국의학저널 오픈(BMJ Open)’ 21일자에 ‘영국은 왜 의료용 대마 처방을 꺼리는가?(why won’t the UK prescribe medical cannabis?)’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의료용 대마 처방을 둘러싸고 영국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으로 살빼는 시대 오나2020.09.22
- 열생성 반응이 약해진다. 네이처 제공 보랏빛만 열생성과 관련된 건 아니다. 리처드 랭 교수팀은 지난 1월 학술지 ‘셀 리포트’에 파란빛(파장 480나노미터)이 색지방세포 표면에 있는 옵신3이라는 빛수용체를 자극해 열생성 반응을 촉진한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파란빛은 백하는 것으로 ... ...
- 약물 효과 없는 우울증 환자 초음파 뇌 수술로 치료한다동아사이언스 l2020.09.22
- 시행한 신경심리 검사상 임상적으로 유의한 인지기능 저하 소견도 발견되지 않았다. 김 교수는 “고집적 초음파를 이용한 수술은 두개골을 직접 여는 기존 방식이 아니어서 출혈과 감염의 위험이 없다”며 “짧은 시간에 정확한 수술이 가능하고, 현재까지 알려진 단기∙장기적 부작용이 없어 ... ...
- 미세먼지 실제 농도와 체감도 다르다동아사이언스 l2020.09.22
- 있는 만큼 체감하는 대기질이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민승기 교수는 “실제 대기질와 대중이 인지하는 대기질의 심각도가 어떻게 다른지를 이해하면 효율적인 대기질 개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사이언스 "코로나19 백신 공유 계획, 산 넘어 산"동아사이언스 l2020.09.22
- 표준을 만드는 기회가 될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이 알렉산드라 펠란 조지타운대 교수는 “백신 배포 과정에서 문제가 일어날 때를 대비한 규범을 설정하기 위한 전 세계적 노력이 여전히 필요하다”며 “WHO가 언급했듯 코로나19에 대응하는 것 외에도 다음 대유행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 ...
- 코로나19에 걸렸다던 스페인 고양이, 주인에게 직접 전염됐다동아사이언스 l2020.09.22
- 계획이다. 이미 고양이와 개, 흰족제비를 대상으로 하는 실험을 진행 중이다. 세갈리스 교수는 “애완동물이 코로나19에 감염되는 경로와 그 빈도에 대한 더 많은 과학적 정보를 얻어야 한다”고 말했다. ... ...
- [코로나19 연구속보] 논란의 코로나19 ‘혈장치료’ 첫 임상연구결과...생존율 ‘글쎄’·증상은 ‘개선’2020.09.22
- 낮추는 데 더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반면 건세이머 워싱턴대 의과대학 교수는 낙관적이다. 그는 “미국에서 비록 RCT가 이뤄지지는 않았지만 혈장 치료의 해로운 점이 없다는 사실은 명백하다”며 “혈장 치료에 관한 보다 광범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참고자료 ... ...
- [의학게시판] 정지향 이대서울병원 신경과 교수 국민포장 수상 外동아사이언스 l2020.09.22
- 국민포장은 국민의 복리증진에 기여한 공적이 뚜렷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포장이다. 정 교수는 강서구 치매안심센터장을 맡으며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한 공로와 대한치매학회, 대한인지중재치료학회에서 치매환자와 보호자를 위해 활동한 점을 인정받았다. 시상은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 ...
이전3093103113123133143153163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