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유학일기] 기초과목에 집중하는 1학년
전
공 역량 기르는 2학년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우한대의 학과 생활에 관해 이야기하기에 앞서 학과 시스템부터 소개하는 게 좋겠다. 우선 우한대에 입학한 신입생은 세부
전
공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다. ... 것만으로도 버거운 편이다. 본격적으로
전
공을 공부하는 2학년에 올라가면 이런 활동에 참여해
전
공 역량을 끌어올릴 생각이다 ... ...
명화가 훼손되면 어쩌죠?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양쪽의 결과를 비교하면 주저함에서 나타나는 차이가 생깁니다. 예컨대 특정 영역에서
전
후 단계의 계산값 차이를 비교했을 때 그 영역에 머뭇거린 흔적이 있다면 진품과 위작의 계산값에 차이가 생기죠. 도브시 교수팀은 이런 식으로 6개의 그림 중에서 고흐의 작품 5개와 위작 1개를 정확히 구분할 ... ...
[출동!기자단] 와, 플라스틱이 예술인데? 크리스 조던
전
시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감정의 변화는 사람의 행동까지 변화시킬 수 있지요. 이게 바로 예술가가 메시지를
전
하는 방법이랍니다.”크리스 조던 작가와 뜻깊은 시간을 보낸 기자단 친구들은 플라스틱 다이어트를 다짐하며 돌아갔답니다 ... ...
[통합과학 교과서] 행복한 왕자도 당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우리 동네에는 공장이 없어요. 자동차를 타고 다니는 사람도 없답니다. 우리는 모두 자
전
거를 타고 다닌다고요….” 꿀록은 주위를 둘러보았어요. 본인이 타고 온 오토바이만 덩그러니 보일 뿐이었지요.“네? 그럼…. 이토록 강력한 산성비가 왜 내린 거지?” 꿀록 탐정은 또다시 고민에 빠졌어요 ... ...
[에디터노트] 진짜 쉬운 수학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선정됐다. 현재까지 앱 누적 다운로드 수는 600만 회를 넘었다. 초등학교 입학
전
부터 앱으로 일종의 수학 사교육을 시키는 것 아니냐는 삐딱한 시선에 그는 고개를 가로저었다. 토도수학은 게임처럼 손쉽게 수학을 공부할 수 있게 한다는 목표가 있다. 무엇보다 재미있어야 한다. 재미가 있고 흥미를 ... ...
RNA가 지구 최초 생명체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다르다면 그것의 화학적 구조는 무엇인지, 그리고 이 다른 구조들이 어떻게 현재의 유
전
정보로 진화했는지도 이해해야한다. 타임머신을 만들어 시간을 거슬러 올라서 지구 최초의 생명체를 관찰할 수 없는 상황에서, 생명의 근원이라는 무모하면서도 어려운 질문에 완벽히 대답하는 건 영원히 ... ...
식물학자의 한국 우주인 도
전
기 한국형 SF소설 ‘중력’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질문에 대한 진지한 성찰과 토론을 한국 사회에 요구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글.
전
봉관서울대 국어국문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KAIST 인문사회과학부 교수로 재직하며, 글쓰기와 문학 그리고 과학 스토리텔링을 가르치고 있다. ‘디지털 스토리텔링(공저)’ ... ...
[10대의약] SNS 달군 다이어트 식품 효과는?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신체 활동 범위를 넓히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글. 이소정 고려대에서 약학을
전
공하고, 서울대 약학대학원 물리약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약학 정보를 쉽게 널리 알리기 위해 블로그와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개인 맞춤형 건강서비스 스타트업인 ‘마스터큐어’ 대표약사로 ... ...
국내 첫 삼성
전
자 계약학과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에 가다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위해 본격적으로 입사시험을 보지만, 반도체시스템공학과 학생들은 2학년 2학기부터 삼성
전
자의 상·하반기 채용 기회가 주어진다. 삼성그룹의 직무적성검사(GSAT), 임원 면접 등 일반적인 채용절차를 통과하면 입사할 수 있다 ... ...
“탄소 저장한다니 신기해요” 소금 땅에서 만난 빨간 식물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결과 갯끈풀은 바다와 멀고 생물이 많이 살지 않는 일정 지역에서만 자란다”며 “완
전
히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이를 잘 활용해서 탄소를 흡수하는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법도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갯벌 체험을 무사히 마친 학생들은 바위로 돌아와 준비한 물로 몸에 잔뜩 묻은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