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후궁이 700명인데…, 사람이 ‘1부1처’라고?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짝짓기를 하지만, 고릴라와 조금 다르다. 김 교수는 “오랑우탄 암컷은 몇 마리씩 작은 무리를 이루는데, 수컷 한 마리가 이런 암컷 무리를 여럿 거느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릴라보다 한술 더 뜬 ‘확장된’ 1부다처인 셈이다.긴팔원숭이는 1부1처를 유지한다고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최근 ... ...
- 새하얀 얼음 사막 위의 안식처에 가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스쿠아를 찾아 돌아다니면서 작은 행운을 얻기도 했다. 곤드와나 기지 옆을 지나가는 작은 빙하에 황제펭귄이 찾아 왔다. 빙하 끝은 절벽처럼 깎여 있어 평소에는 접근하기 어려웠지만 눈이 온 직후라 얼음이 미끄럽지 않아 가까이 갈 수 있었다. 남극의 신사라는 별명처럼, 황제펭귄은 목을 ... ...
- 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공룡을 피해 밤에 몰래 다녀야 했기 때문이다. 운석 충돌 후 포유류는 점점 커져 주변의 작은 공룡들과 비슷해졌다. 지금의 곰이나 소 정도였다. 더 커지기에는 추운 겨울에 먹이가 부족했다. 이제 포유류가 낮에도 활동하면서 곳곳에서 포유류와 공룡의 맞대결이 일어났다.먼저 포유류도 공룡을 ... ...
- 수학자에게 기쁨을 주는 숫자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빼는 것이다. 예를 들어, 213의 자릿값을 재배열해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 321에서 가장 작은 수 123을 빼면 198이 된다. 198에 같은 과정을 적용하면, 981-189=792다. 이를 계속하면, 어느 순간부터 495가 반복해서 나온다(오른쪽 표). 즉, 495에 수렴하는 것이다. 따라서 카프리카 상수는 495다. 네 자리 ... ...
- 신은 주사위를 던진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받는다. 고양이 같은 큰 물체는 아무렇지 않지만, 전자라면 사정이 다르다. 전자같이 작은 입자는 빛에 맞으면 휘청거린다. 이 충격은전자의 운동량을 바꾼다.결국 측정하는 행위가 위치나 속도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측정할 수 없다. 당신이 지갑을 들여다보니 돈이 1만 원 ... ...
- [체험] 2014 태국 탐사대, 푸른 바다에 녹색 꿈을 심다!수학동아 l2014년 03호
- 달리, 맹그로브의 뿌리는 짠물에서 민물을 빨아내는 능력을 갖고 있다. 물을 흡수할 때 작은 세포들이 소금을 제외한 물만 흡수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바다와 육지가 만나는 해안가에서도 거대한 숲을 이루며 잘 자란다.맹그로브는 여러 가지 면에서 이로운 나무다. 태풍이나 ‘쓰나미’로 불리는 ... ...
- 홍자의 친구 사귀기 대작전!수학동아 l2014년 03호
- 활용했다. 프레이밍엄 심장연구는 미국의 매사추세츠 주에 있는 ‘프레이밍엄’이란 작은 시골 마을에 사는 약 1만2000명을 대상으로 심장 질환의 위험 요인을 찾고 있는 대규모 연구다. 1948년부터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두 사람이 프레이밍엄 심장 연구를 토대로 실행한 실험의 과정은 다음과 ... ...
- “학생들에게 검색 대신 사색을 선물하세요”과학동아 l2014년 03호
- [ 분교 및 동아리의 신청을 받습니다 ]발기인 33인이 전국 초·중등 분교, 지역아동센터, 공부방, 과학/수학 동아리, 독서 동아리에 작은 도서관을 선물합니다. 기증 ... com으로 보내 주시거나, 홈페이지(event.dongascience.com/library)에서 신청해 주세요. 60곳을 선정해 작은 도서관을 보내드립니다 .. ...
- 서울대 가서 망했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우리가 알고 있는 골리앗은 막강한 전투력의 거인이다. 다윗은 목동 출신의 작은 소년이다. 그러나 저자의 시각은 다르다. 골리앗은 근접해서 싸우는 보병이다. 다윗은 돌을 던져 맞추는 투석병이다. 고대 전투에서는 투석병이 보병보다 유리했다. 단 멀리 떨어져 싸우기만 한다면. 다윗은 골리앗의 ... ...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과학으로 100배 즐기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방향만 바꿔 다음 경기를 해요.왜 얼음을 닦느냐고요? 얼음 위에는 페블이라 부르는 작은 얼음 알갱이가 붙어 있어요. 이게 돌을 잘 구르게 하지만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도 가게 해요. 그래서 브러시로 이 얼음 조각을 쓸어 내거나 얼음의 표면온도를 올려 줘요. 이 빗질을 스위핑이라고 하는데 ... ...
이전3093103113123133143153163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