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새 책] 입자물리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기자를
위
해 부모님은 늘 갖가지 퍼즐이 담긴 잡지 한 권을 주시곤 했다. 그 얇은 종잇장
위
에 연필로 선을 그려가며 미로를 탈출하고 사라진 돈의 행방을 추적(간단한 퀴즈였다)하는 게 어찌나 재미있었던지, 심심풀이로 시작한 놀이가 어느새 추론과 수학을 배우는 토대가 되지 않았나 싶다. 10년 뒤 ... ...
[지식]P일까, NP일까? 그래프 동형 문제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n개라면 그 수는 n!이 되겠지요. 꼭짓점이 n개인 두 그래프가 동형 관계인지 확인하기
위
해서는 첫 번째 그래프에서 꼭짓점의 자리를 바꾸는 모든 경우의 수인 n!가지를 다 해보고, 그 중에서 두 번째 그래프와 똑같은 것이 나오는지 따져봐야 합니다.그런데 n!가지 경우를 다 확인하지 않고도 답을 ... ...
[News & Issue]스텔스 기능 쓰는 갑오징어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갑오징어(
위
사진)가 천적을 피하기
위
해 스텔스 기능을 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듀크대 생물학과 크리스틴 비도어 연구원팀은 갑오징어가 ... 상어가 다가오면 대사를 조절해 6밀리볼트 수준으로 낮춘다. 상어의 눈에 띄지 않기
위
해 전기적인 방법으로 스텔스 기능을 쓰는 셈이다 ... ...
[News & Issue]당신은 봄수저인가요 겨울수저인가요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점을 고려해야 한다. 김 교수는 “앞으로 DNA 분석을 통해 개인 맞춤의학이 발전하면
위
험인자를 좀 더 정밀하게 알고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e메일 인터뷰에서 “약물을 충전해 넣을 수 있도록 개량해 사용시간을 늘리고, 다양한 부
위
를 자극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아직은 선을 없앤 데 그쳤지만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뇌 속에 이 장치를 삽입하고 감쪽 같이 숨기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 그렇게 된다면 사람의 뇌에 이런 ... ...
[Tech & Fun]소녀탐정 ㅊ씨의 S(cience)-File ➊명탐정 코난의 제트 코스터 살인사건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교수는 “이 트릭을 성공하기
위
해선 범인이 롤러코스터의 가속도 방향을 초 단
위
로 일일이 확인해 계산해야 한다”며 “목표물에 정확히 줄을 던지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고 말했습니다.그렇다면 진짜 범인은 누구일까요? 탄성 있는 줄과 갈고리, 그리고 롤러코스터의 힘을 이용한 ... ...
[숲 이야기 하나]수목원 나무들의 겨울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답니다. 봄이라는 가장 아름다운 계절을 자기들의 세상으로 만들기
위
해서아주 부지런히 노력을 하는 것이지요.이처럼 겨울눈은 어려움의 상징인 동시에 희망이랍니다. 어려운 겨울을 이겨낸 풀과 나무들이 피워낼 새 봄의 찬란한 꽃들을 기다리며, 우리도 희망이 가득한 ... ...
리만가설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수학자 엔리코 봄비에르에게 내기를 제안했다. 자이에는 3억 개의 영점이 일직선
위
에 있으면 거짓이라는 주장을 철회하겠다고 밝혔다. 컴퓨터로 3억 개까지를 보일 수 있다면 이는 리만 가설을 사실로 인정할 충분한 근거가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그런데 1978년 네덜란드의 수학자 헤르만 테 ... ...
[수학동아클리닉](초등)각기둥과 각뿔 요리하며입체도형탐구하기 (중등)작도로 즐기는 하트 모양디자인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하트 모양을 만들 수 있다. 아래와 같이 정사각형 안에 대칭이 되도록 반원을 다양한
위
치에 그린 다음 잘라낸다. 앞쪽과 같은 방법으로 두 기본도안을 직각으로 엇갈리도록 끼워 넣으면 여러 가지 무늬의 하트 모양을 만들 수 있다. 몇 가지 예시를 학생들에게 보여 준 다음 학생들이 자신만의 ... ...
[Knowledge] 혼돈 속의 기묘한 질서 카오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있다. 이들은 아무리 기다려도 그 전에 지나왔던 경로와는 결코 만나지 않으면서도
위
상공간의 다른 부분으로 훌쩍 벗어나지는 않는다. 로렌츠의 나비가 대표적이다. 이 나비는 시간이 무한히 흘러도, 기존의 경로와는 절대 만나지 않으면서 동시에 나비 모양의 영역 안에 영원히 머문다. 이런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