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독개구리 뱃속은 개미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개구리 뱃속이 개미 연구소가 된 셈이지요.연구에 참여한 로체스터대의 크리스챤 라벨링 연구원은 “개구리 위 내용물 분석은 배를 직접 가르지 않고 토사물로 분석하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하다”며 “앞으로 희귀종 개미를 연구하는 데 많이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INTRO. 똑똑하고 안전하게 따르릉~! 자전거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안녕? 난 *E.T.라고 해. 어과동 친구들은 잘 모를 수도 있겠지만, 난 오래 전 어린이들에게 인기 짱이었던 영화의 주인공이었어. 자전거를 타고 하늘을 날아서 위기의 순간을 벗어난 뒤, 지금까지 자전거로 우주를 여행하고 있단다. 그런데 이젠 자전거가 낡아서 바꿔야 할 때가 온 것 같아. 그래서 이 ... ...
- Part 1. 왜 주목 받고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쉽게 볼 수 있어요. 그만큼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답니다. 한국교통연구원이 ‘2015년 자전거 보유 대수’를 조사한 결과, 1022만 대로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1000만 대를 넘어섰어요. 지난 2010년에 비해 64%나 늘어났지요. 자전거가 빠르게 늘어난 이유는 자전거가 가진 장점 ... ...
- Part 4. 도시를 바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이를 통해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자도 2013년에는 14명으로 급격하게 줄었답니다.*한국교통연구원, 2015년 주요 국가별 자전거 교통분담률 자전거 도로로 전기까지 만들다! 솔라로드네덜란드는 세계 최초로 전기를 만드는 자전거 도로인 ‘솔라로드’도 만들었어요. 자전거 도로에 태양광 발전을 ... ...
- Part 3. 얼마나 똑똑해질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이용해서 보이지 않는 곳에 사람이나 차가 있는지도 알려 준답니다.*서울시 시정개발연구원, 자전거 도난 경험 및 횟수 조사 방향을 알려 주는 헬멧!자전거가 위험한 이유 중 하나는 어느 방향으로 갈지, 언제 멈추는지 알 수 없다는 점이다. 방향을 알리는 자전거 수신호가 있기는 하지만 사용하지 ... ...
- Part 2. 복잡하고 큰 집이 좋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닮은 작은 갯벌 생물이라고 기억했어요. 하지만 올해 8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구본주 연구원의 연구 결과가 발표되자 저는 단숨에 갯벌 건축왕 후보가 됐답니다.제가 지은 서식굴은 최대 2m 깊이로, 굴의 전체 길이가 평균 8.6m에 달해요. 굴의 부피는 최대 18L 이상이에요. 제 서식굴에 1L짜리 ... ...
- Part 2. 얼마나 가볍고 튼튼해질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가장 많이 쓰이는 강철최초의 자전거는 나무로 만들었지만, 곧 강철이 대부분 자전거의 소재로 사용됐어요. 그 이유는 강철은 아주 강하고 탄성이 좋으며, 자전거에 생기는 진동도 잘 흡수하기 때문이에요. 또 가격이 싸고, 가공하기도 쉽답니다. 그래서 지금도 강철은 자전거의 몸체에 가장 많이 ... ...
- Part 5. 안전하게 타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전등은 달고, 이어폰은 빼고현재 법적으로는 자전거 뒤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만 있어도 괜찮아요. 하지만 안전을 위해서는 자전거 뒤에 자전거가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알려 주는 전등을 다는 것이 좋아요. 또 자전거를 탈 때는 꼭 이어폰을 빼야 해요.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쓰고 자전거를 타 ... ...
- Part 3. 사이좋게 함께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6월부터 1년 동안 갯벌에 사는 생물들의 집에 대해 연구한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구본주 연구원이에요.제가 갯벌 생물의 서식굴에 관심을 갖게 된 때는 2003년쯤이에요. 새만금갯벌에 현장 답사를 나갔다가 서식굴의 크기가 궁금해서 안에 액체를 부어봤는데 끊임없이 들어가더라고요. 20L에 가까운 ... ...
- [긴급취재] 최대 규모 지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활성단층의 영향을 받기 쉬운 편이라고 할 수 있지요.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이윤수 책임연구원은 “양산단층대는 2300만 년 전 이후 지금까지 큰 지각변동을 여러번 겪으며 에너지가 쌓인 지역”이라며 “이번 지진은 이 에너지가 분출되는 과정으로 보인다”고 밝혔어요. 전문가들은 활성단층의 ... ...
이전3093103113123133143153163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