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갱도에서 피어난 귀한 아름다움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보석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대부분은 제련용 광석으로 사라진다. 하지만 사진의 표본처럼 결정의 모양이 뚜렷하고 색이 아름다운 것은 귀한 소장품으로 살아남는다.납 광산의 산화대에서 생성되는 2차 광물인 바나디나이트는 세계 도처에서 만들어진다. 하지만 ‘아름답다’고 말할 수 ... ...
- 알츠하이머 예측하는 3D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몸속에 집어넣지 않고도 속속들이 볼 수 있다. 컴퓨터단층촬영(CT)을 이용해 복부 단면사진을 얻은 다음, 3차원으로 합성하면 된다. 이 방법으로 새롭게 탄생한 기술이 ‘가상 내시경’이다. 소프트웨어의 발달로 고통스러운 과정을 줄일 수 있게 된 것이다. 3차원 의학영상 시각화 프로그램은 지금도 ... ...
- 세계의 지붕이 흔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치는 것처럼 순간적으로 전류가 강하게 흐르면서 섬광이 나타나는 것이랍니다. 아래 사진은 1970년 대에 캐나다에서 찍힌 지진광이에요. 이 근처에서 1973년 7월 1일 규모 6.7 지진이 발생했답니다.지진대책 예측불가 현상, 경고로 대비한다지진계, 응력계, 인공위성…, 모든 방법을 다 동원2009년 ... ...
- [지식] 길쭉한 고양이 눈, 네모난 소 눈, 동그란 사자 눈 눈동자의 법칙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순식간에 달려드는 ‘매복 사냥’이 유리하다.그런데 사자와 호랑이, 표범, 치타(왼쪽 사진)는 고양잇과에 속하는데도 왜 눈동자가 둥글까? 이들은 다른 고양잇과 동물과 달리 어깨 높이가 약 42cm보다 높다. 심지어 치타는 시속 120km 정도의 빠른 속도로 달릴 수 있다. 덩치가 크고 속도가 빠른 덕분에 ... ...
- [참여] 게임카페 2기, 두 번째 수업 스마트폰으로 내가 만든 게임을 즐기자!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선생님, 질문이요!”게임카페 2기 두 번째 수업이 시작되자 친구들의 질문 세례에 교수님과 조교들은 바쁘게 움직였습니다. 비가 오는 날이었지만, 많은 친구들이 게임카페에 참여했습니다. 친구들은 ‘게임 샐러드’라는 게임 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해 직접 게임을 만든 뒤, 각자 스마트폰에 설 ... ...
- #캣스타그램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반려묘를 키우는 사람들이 “힐링하고 가세요~”라며 자신이 키우는 고양이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편집해 올리면서 유행하게 된 용어이지요. 귀여움은 고양이가 가진 비장의 무기입니다. 고양이는 다 자란 뒤에도 얼굴이 새끼 때와 별반 다르지 않은 동물 중 하나거든요 (개도 그렇습니다!).인간은 ... ...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운동을 관찰한 연구팀은 닭의 움직임이 마치 수각아목 공룡의 운동과 흡사하다고 밝혔다(사진➎).진단의학상 : 충수염이 의심스러울 때 자가판단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연구됐다. 과속방지턱을 넘을 때의 고통을 측정하면 된다. 영국 옥스퍼드대 헬렌 대쉬다운 교수팀은 충수염이 의심되는 64명의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도전! UNIST ➓ 로드니 루오프 자연과학부 특훈교수] ‘삼박자’ 갖춘 인재와 함께 꿈의 재료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과학자들의 세계에서는 다른 연구자의 논문을 참고할 때 꼭 기록을 남겨야 한다. 다른 연구자가 인용한 횟수를 기록한 ‘인용 횟수’는 해당 논문이 얼마나 좋은 연구인지를 가늠하는 척도가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UNIST 자연과학부에는 인용 횟수 100회를 넘긴 논문이 100편이나 되는 학자가 있다. ... ...
- 반짝이는 점을 가진 왜소행성 세레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세레스로부터 약 1만 3000km 떨어진 곳까지 접근해 표면을 관찰했지요. 이때 찍은 사진을 통해 밝은 빛을 내는 부분은 한 점이 아니라 여러 개의 점이 모여 있는 거란 걸 확인할 수 있었어요. 전문가들은 이 부분이 소금이나 얼음이라고 생각하고 있지요.돈 탐사선은 6월 6일에 궤도를 바꿔 세레스에 ... ...
- 스마트폰 화면이 피부 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앞으론 피부를 통해 스마트폰 화면을 볼 수 있을지도 몰라요. 최근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연구단 현택환 단장과 김대형 연구위원팀이 스티커처럼 피부에 붙일 수 있는 얇은 디스플레이를 개발했거든요. 이 디스플레이는 두께가 약 2.6㎛(마이크로미터, 1㎛는 1m의 100만분의 1) 정도로, 머리카락 두 ... ...
이전3093103113123133143153163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