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 타임캡슐 토성에서 무엇을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담은 모습은 무척이나 선명했다. 피비는 다른 위성과 달리 매우 어둡다. 또한 공전궤도가
반대
방향이다. 이런 점 때문에 그 기원이 태양계 밖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이번 사진에서는 운석의 표면이 선명하게 드러나 있다. 과학자들은 이를 보고 태양계 초기에 태양계 밖에 있던 피비가 토성 궤도에 ... ...
마침내 모습 드러낸 파란장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그렇게 위험한 것이 아니다”라며 “우리의 작업을 과학적으로 이해한다면 무턱대고
반대
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소설의 영감이 된 ‘검은 튤립’ 화훼육종에서 파란 장미와 쌍벽을 이루는 것이 검은 튤립이다. 1593년 네덜란드에서 튤립이 처음 재배된 이래 육종가들은 검은 튤립을 ... ...
04. 남획 막아야 해양선진국 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쿼터를 설정해 상업포경을 관리하자는 것이다.그러나 회원국들의 투표 결과 29개국이
반대
의사를 표명해 3/4 이상의 찬성을 얻지 못했기 때문에 일본의 제안은 물거품이 됐다. 하지만 일본은 IWC 탈퇴 등 이에 강력히 항의할 것으로 보여 앞으로도 상업포경과 고래 남획 여부를 놓고 논란이 계속될 ... ...
(주)코캄엔지니어링 대표 홍지준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연구했지만 성공하지 못한 상황이었다.당연히 주변의 반응은 부정적이었다.
반대
로 그의 투지는 불타올랐다. 전지의 기본 정의부터 따졌다. 이 때 그에게 가장 도움이 되었던 것은 그동안의 경력도, 전공 지식도 아닌 시였다.평소 시를 쓰면서 당연시 되는 것들에 대해 의심하는 버릇이 몸에 배 ... ...
성(聖)스러운 시험에서 '세계의 파괴자' 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점은 원자폭탄의 투하를 찬성한 과학자들 대부분이 나가사키 폭탄투하에 대해서는 즉각
반대
했다. 원자폭탄의 가공할 파괴력을 실감했기 때문이다.하지만 이미 원자폭탄은 과학자들의 손을 벗어나 있었다. 결국 오펜하이머를 비롯해 원자폭탄 개발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자신을 ‘세계의 파괴자’ ... ...
카시니가 보내온 토성 위성 포이베의 모습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따라 도는데 반해 포이베는 적도면에서 30˚나 벗어난 궤도를 돈다. 또한 대부분 위성과는
반대
방향으로 공전한다. 뿐만 아니라 태양 빛이 고작 6%만 반사돼 매우 어둡다.이처럼 유별난 행동을 보이는 포이베에 대해 천문학자들은 나머지 토성 위성과는 달리 태양계 외부로부터 유래된 것이 아닌가 ... ...
남성은 배란기의 여성 체취에서 섹시함을 느낀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이는 남성이 여성의 배란기가 언제인지를 알 방법이 없다는 지금까지의 믿음과는
반대
되는 결과다.이 연구는 핀란드 지뱌스킬랴대의 세포 큐카스쟈비 연구팀이 수행했다. 이들은 81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그들의 월경주기를 자세히 확인했다. 이때 피임약 복용 여부도 조사했다. 그리고 그들이 ... ...
01. 행복을 알약으로 먹는다 해피드럭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이라고 불린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구조가 매우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둘은 체내에서 정
반대
의 작용을 나타낸다. 모르핀은 투약자의 심신을 망가지게 하지만, 엔도르핀은 심신을 쾌활하게 하는 것이다. 아직까지 인체에 엔도르핀을 직접 투약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복용하면 몸 안에서 ... ...
10. 사고율 제로에 도전한다 충돌방지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달린 전하결합소자(CCD)카메라가 차선을 인식해 차량이 차선을 벗어나려고 하면 핸들에
반대
방향의 힘을 가해 탈선을 방지한다. GM 캐딜락 드빌에는 어두운 길에서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 물체를 적외선으로 감지해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야시장치’가 장착됐다.최근 NTT어드밴스트테크놀로지는 ... ...
02. 무공해 식단 꾸리는 생물 농약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미생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다. 또 화학농약과는
반대
로 생물농약은 계속 사용해도 약효가 감소하지 않아 반복사용에 따른 공해 문제나 해충의 내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없다. 게다가 개발비도 기존 화학농약 개발비의 1/10 수준에 머물기 때문에 경제적 측면에서도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