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상
추억
추상
회포
회고
환기
이지
d라이브러리
"
기억
"(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입국」 초석을 다지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기술용역 육성법 국가기술자격법 등 각종 법령을 만든 일이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
난다.71년 6월 나는 과기처장관으로 임명받았다. 과학기술처는 제1차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기술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면서 이를 위한 정책부서로 67년에 발족하였다.내가 부임할 때는 이미 ... ...
(3) 케텔 유료화 이후 급증추세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동호회실은 낚시회 청소년회 등 취미나 연령 학문 등 목적이 같은 사람끼리 컴퓨터
기억
공간내에 별도의 방을 만들고 여기에 모여 대화를 나누는 곳이다.자료실은 공개소프트웨어 등 프로그램이나 재미있는 그림 음악 글 등을 한곳에 모아놓은 곳. 온라인 잡담실은 통신을 통하여 많은 사람이 같이 ... ...
컴퓨터 그래픽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주로 텔레비전의 원리와 유사한 방식으로 그림을 그렸다. 그후 전자공학의 발달로
기억
장치의 값이 싸짐에 따라 그래픽 부분만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프레임버퍼(frame buffer)가 생겨났다.이 방식을 보통 래스터 스캔(raster scan)방식으로 부르며 현재 그래픽 시스템에서는 대부분 이 방식을 사용하고 ... ...
아시모프의 삶과 꿈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인체 내부로 여행을 떠난다는 얘기는 당시 대단한 인기와 화제를 끌었던 것으로
기억
된다. 아시모프는 1987년에 이 작품의 2부격인 '두뇌로의 여행'(Fantastic Voyage Ⅱ, Destination Brain)도 발표했다. 쉽고 재치있는 과학저술의 모범비교적 오래 전에 우리나라에 소개된 그의 저작 중 '아시모프의 천문학 ... ...
"공고에서 과학교사가 할일이 있나?"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그 이전 몇 년 간의 인문계 고등학교 출근길과는 견줄 수 없이 상쾌한 기분이던 것으로
기억
된다. 그렇듯 즐거운 마음으로 공고에서 과학을 가르치기 시작한 지도 어느새 2년째에 접어들고 있다.공고에 부임하기 전에 나는 공고학생들의 학력 수준 이 매우 낮아서 지도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 ...
스티븐 메이슨 「과학의 역사」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전혀 새로운 세상을 탐험하는 기분으로 책 여백에 새까맣게 노트해 가면서 열심히 읽던
기억
이 아직도 새롭다. 필자는 이 책을 여러차례에 걸쳐 읽었다. 요즈음도 시간이 날 때마다 들춰보곤 하는데 읽을 때마다 새로운 것을 발견하게 된다. 필자가 최근에 필자의 전공과는 조금 거리가 있지만 ... ...
(5) 초파리 연구, 진화의 비밀 밝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포유류에서 비슷한 기능을 가진 유전자들을 찾아내는데 이용되고 있다. 또한 학습과
기억
에 관한 유전자를 추적하는 실험에도 이용된다. 고등동물에의 유전자 중에서 기능을 알기 어려운 것은, 초파리에서 그 유전자의 변이종을 만들어서 역으로 그 기능을 관찰하는 방법도 흔히 채택되고 있다 ... ...
새봄 새싹 위에 펼쳐지는 작은 촛불잔치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다하고 죽게 되자 디오니수스는 그녀의 왕관을 하늘에 올려 그녀와의 사랑을 영원히
기억
하였다고 한다.찰스의 심장봄철의 작은 별자리 중 두번째로 이야기할 것은 아스테리온(Asterion, 별이 빛남)과 카라(Chara, 귀여운 개)란 이름의 두 마리 개로 이루어진 사냥개자리이다. 사냥개란 이미지와는 ... ...
자연의 순리대로 사는 것이 옳다는 생각이 들지 않니?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있는 정보는 고등학교 2학년 끝날 무렵에 화학평형에서 얻을 수 있을 거야. 우리 그때의
기억
을 되살려 보자.대자연의 자발적인 변화의 방향은 두가지가 있다고 했지. 그것은 보다 안정으로 가려는 방향과 보다 무질서해지려는 방향이라고 말이야. 수소와 산소가 결합하여 물이 되는 것은 보다 ... ...
바퀴벌레와 컴퓨터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생각이다. 그와 같은 표현은 작가 돈 마키스가 창조한 그 유명한 아치를 필자가 인상깊게
기억
한 데서 비롯됐는데 그 소설속에서 아치라는 이름의 곤충이 지능을 가졌던 이유는 시인이었던 아치의 영혼이 불행하게도 바퀴벌레의 몸으로 다시 태어났던 까닭이었다. 물론 진짜 바퀴벌레들은 시적이지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