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북
각
hadj
haji
d라이브러리
"
하지
"(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달콤쌉싸름한 초콜릿 대해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게다가 지방도 많고 당분 함량도 높아 대표적인 비만 식품으로 꼽히기도
하지
요.
하지
만 초콜릿의 지방에는 트랜스지방이 전혀 없고 폴리페놀이 지방 소화를 막기 때문에 꼭 비만의 주범이라고는 말할 수 없어요. 또 초콜릿에 들어 있는‘렙틴’이라는 물질이 식욕을 억제한다는 연구도 있어 ... ...
[생물]유전법칙의 기본, 멘델부터 모건까지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다 발현되지만 우성유전자의 발현물질이 압도적이어서 열성대립유전자는 마치 기능을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초파리의 눈 색을 결정하는 다수의 대립유전자들은 열성유전자가 발현되더라도 우성인 정상 눈 색깔에 가려 티가 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우성유전자와 열성유전자가 다른 ... ...
C4벼로 ‘제2의 녹색혁명’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줄 경우 키가 너무 커져 바람에 꺾이거나 쓰러지기 때문에 수확량을 높이기 어려웠다.
하지
만 IR8을 개량한 통일벼는 이런 문제를 해결했고, 결국 1976년 국내 쌀 자급률을 100%로 끌어 올렸다.현재 국제미작연구소에는 존 쉬히 박사팀을 포함해 전 세계 곳곳에서 온 1000여명의 과학자와 연구원이 제2의 ... ...
여성이 공학에 빠질때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지원 사업에 대해 “학부생한테는 전공 친화력을 높이며 ‘이렇게 활용되니까 해볼 만
하지
않냐’는 점을 일깨워 주고, 석사과정생 이상에게는 외국에서 발표하며 자신감을 키울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 공민지, 홍초희 씨는 WIE 사업단의 지원을 기대하며 올해 8월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국제 ... ...
광합성 고효율 비결은 양자 결맞음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오래전 발명한 비밀이 인류를 에너지 위기에서 벗어나게 하는 데도 결정적인 기여를
하지
않을까.이영민 교수는 서울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단백질 접힘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에서 양자화학이론을 연구한 뒤 지난해 8월 포스텍 화학과에 부임해 ... ...
먼지 따라 떠나는 지구과학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호주 연안으로 이동하고 페루 앞바다에서 차가운 물이 올라와 좋은 어장이 형성된다.
하지
만 평년보다 해수 온도가 높은 엘니뇨 시에는 무역풍이 약해져 용승이 줄고 어획량이 감소할 뿐 아니라 상승기류가 나타나 중남미에 기상이변이 일어난다.또 대기 중에 온실 기체인 이산화탄소가 늘어 지구 ... ...
지구의 끝, 남극으로 떠난 산책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식물이 자랄 수 있는 땅은 전체 면적의 1%도 안 돼요. 이끼처럼 바위틈을 비집고 자라기도
하지
요. 여름이 되어 기온이 높아지면 빙벽이 무너지면서 얼음 조각이 바다로 떠내려 와요. 얼음 덩어리 중에서 큰 것을 빙상, 작은 것을 유빙이라고 해요. 같은 얼음도 보는 각도에 따라서 모양이 완전히 ... ...
물을 자급하는 도시를 건설하라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길 수밖에 없는 고층 건물에는 빗물이 떨어질 때 관이 받는 충격을 줄일 수 있도록 낙
하지
점에 일종의 에어백과 같은 충격완충장치를 설치한다.빗물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낙하하는 빗물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해 배수관에서 작은 물레방아 ... ...
봄철 생선의 대표 도다리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뜻이다. 접역에 살고 있는 민족으로서 최소한의 가자미류 구분법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별미 맛보기외눈박이 물고기의 사랑은 가능할까류시화 시인은 ‘외눈박이 물고기의 사랑’이라는 시에서 전설상의 물고기 ‘비목’을 소재로 해 남녀 간의 깊은 사랑을 노래했다.비목(比目)이란 눈 ... ...
[물리]빛과 마찰의 두얼굴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미시적인 전자를 측정할 경우, 전자의 위치를 알기 위해서는 짧은 파장의 빛을 쪼여야
하지
만 짧은 파장의 빛은 에너지가 커서 전자의 운동 상태를 크게 변화시킨다. 긴 파장 의 빛을 사용하면 전자의 운동 상태는 크게 변하 지 않겠지만 전자의 위치를 정확히 알지 못한다. 이와 같이 측정대상이 ... ...
이전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