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옷감
피륙
직물
헝겊
천개
천달러
chen
d라이브러리
"
천
"(으)로 총 5,283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성은 정기적으로 먼지를 방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일 목성에 최접근했는데, 태양으로부터 5.4AU(
천
문단위, 지구와 태양과의 거리로 1AU는 1억 5
천
만km) 지점에서 태양극궤도를 향해 스윙바이했다. 이 기간 동안 목성에서 1AU 이내의 거리에서 위성에 장착된 고성능먼지측정기가 두 종류의 먼지를 관측했다.하나는 초속 25km의 고속으로 궤도운동 ... ...
친할 만한 곰팡이균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더 중요한 사실은 암과 싸우는 곰팡이가 발견되었다는 것이다.암은 인류에게 내려진
천
형이다. 유방암이나 난소암이 있었거나 친척 중에 있는 사람의 생명은 항시 위태롭다. 유방암은 조기진단이 가능하고 적절한 조치만 취한다면 상당히 나아질 수 있다.난소암은 조기에 발견하기가 매우 힘들기 ... ...
화학- 같은 원자끼리의 결합 어떻게 가능하가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비해 각각의 원자는 그 분자 내에서 비교적
천천
히 춤을 추고 있다. 그러나 원자가
천천
히 움직인다고 해도 우리가 보기에는 여전히 매우 빠른 속도다. 원자들은 세 원자 간에 조화를 이루며 매우 정교하게 춤을 춘다. 그들의 춤은 두 수소 원자가 동시에 산소 원자에게 바짝 다가섰다가는 물러서고 ... ...
정확한 초점, 선명한 사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타협을 하는 수 밖에 없었다.정확하고 손쉽게 초점을지금부터 서강대학교 아마추어
천
문반 '별' 소속의 연구 개발부에서 제작한 'SL형 접안렌즈'의 구조를 자세히 소개함으로써 위에서 지적한 어려움을 모두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보겠다. 이 렌즈는 여러분이 직접 제작할 수도 있다.(그림 ... ...
VTR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신호로 바꾸는 장치인 헤드 드럼에 의해 가능하다. 헤드드럼은 VTR의 핵심부품으로, 분당 1
천
8백회의 고속회전을 하면서 트랙으로 녹화된 비디오 테이프를 읽어들인다.헤드 수 많아도 읽는 방식은 동일대부분의 VTR은 2헤드가 기본이지만 요즘 판매되고 있는 고기능 VTR에는 4헤드, 심지어 6헤드까지 ... ...
소백산
천
문대 관측계기로 살펴본 초신성폭발의 의미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부분은 계속 팽창하고 있다.질량이 태양보다 30배 이상 무거운 별들은 아주 짧은 수명(1
천
만년 정도)을 가지지만 마지막 순간에는 상상할 수 없는 엄청난 힘으로 대폭발을 일으키면서 빛조차 빨아들인다는 블랙홀을 만든다. 우리가 블랙홀을 관측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지만 백조자리 근처에는 ... ...
직관력 갖춘 '4차원 컴퓨터' 프로젝트 시작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어찌됐건 "5년 후에 개발되는 신세대 컴퓨터의 연산처리능력은 현재의 슈퍼컴퓨터의 1
천
배는 될것"이라는 게 이 연구의 중심적 위치를 맡고 있는 시마다 준이치의 말이다.구체적인 연구테마에는 '다원정보를 사용한 휴먼 인터페이스', 광(光)인터커넥션을 사용한 초병렬머신', '광전(光電)융합 ... ...
한국 자생 식물 협회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등 20여 종의 야생화를 인공재배하는데 성공했다. 현재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줄기에서 8
천
여 평의 농장을 마련해 2백50여 종의 야생화를 재배하고 있다.이처럼 야생화 재배의 선두주자가 된 그는 스스로 익힌 야생화 재배기술 및 병충해방제 등에 관한 정보를 혼자만 간직하지 않고 널리 알리기 위해 ... ...
서울대 물리학과 김제완 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된 것 같기도 하군요. 중성미자에 대한 연구를 더 해볼 예정이구요. 아까 이야기했던 일
천
한 국내 입자물리학실험 분야에 밑거름이 될 수 있는 일이라면 발벗고 나설 생각입니다. 후학들에게 빚을 갚아야 하지 않겠어요. 그리고 또하나 제가 공부한 분야를 일반 대중들에게 쉽게 전달할 수 있는 일을 ... ...
생물- 3억개의 폐포 통해 몸 곳곳에 산소공급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진짜 작업은 섬모가 담당하는데, 섬모는 미세한 털로서 공기가 들어오는 통로에 수
천
만개가 돋아 있다. 이 섬모들이 보릿대처럼 1초에 12회 정도 앞뒤로 흔들리면서 점액을 아래에서부터 위로 쓸어올려 삼킬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을 객담이라 하며 인두에 도달하면 반사운동에 의해 몸밖으로 ... ...
이전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