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실력은 타고난다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음악이나 미술, 체육과 같은 예술
분야
의 재능은 타고난다고 생각한다. 피겨여왕 김연아 선수를 보고 ‘타고난 재능과 실력을 모두 겸비한 인재’ 라고 부르는 것처럼 말이다. 그렇다면 예술이 아닌 수학은 어떨까?최근 미국의 존스홉킨스대 심리학과 멜리사 리버터스 박사팀은 ‘수학 실력은 ... ...
Part 2. 게놈 클럽 신분증 직접 만들어보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어떤 크기로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모두 알아내면 유전자 지도가 완성된다. 이 연구
분야
를 ‘바이오 인포매틱스’라고 한다. 게놈 염기서열을 컴퓨터정보로 가공하고 이 정보를 처리하는 학문이다. 김 연구원도 컴퓨터공학을 전공했다.그러나 식물모델인 애기장대만 하더라도 게놈 크기가 119Mb나 ... ...
시조새는 공룡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꾸준히 발견되고 있다. 깃털공룡은 오랜 발굴 및 연구 역사를 지닌 공룡
분야
에서도 최신
분야
다.지난 7월 ‘네이처’를 통해 정체가 드러난 ‘샤오팅기아(Xiaotingia)’라는 이름의 깃털공룡은 공룡과 새의 진화 이론에 이전에 없던 새로운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샤오팅기아 깃털공룡은 닭보다 ... ...
녹색성장 꿈꾸는 ‘유연한 전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가 주 연구 주제였다. 하지만 사후약방문 같은 연구
분야
에 한계를 느꼈다. 그래서 귀국한 뒤로는 다양한 전력 수요에 대응하는 새로운 송전선로를 연구하는 데 주력했다. 이때 개발한 것이 ‘유연송전시스템(FACTS)’이다. 교통량에 따라 차선 수가 바뀌는 ... ...
브랜드 키우는 기업형 대학 중국 칭화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자극제로 작용한다.칭화대는 QS 대학평가 순위에서 세계 50위권이지만 과학기술
분야
에서는 2010년 세계 11위로 일본의 도쿄대(7위)에 이어 아시아에서는 두번째에 올라 있다. 교수 1명당 학생 비율은 12명으로 소수 정예 엘리트 교육이 기본 방침이다. [칭화대] 칭화대는 시험 성적이 100점 만점에 6 ... ...
특목고 입시 기획 ① 왜 수학영재학교는 없나?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대학 입학도 마찬가지다. 특히 요즘은 학문간의 융합을 강조하고 있다. 그만큼 다양한
분야
에 대한 이해가 필요해지고 있다.박교선 원장은 “수학은 결과만큼이나 공부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며 “어렵고 힘든 수학을 공부하는 이유는 수학으로 논리력을 기르고 사고력을 확장시킬 수 있기 때문” ... ...
게임 마니아, 발명왕에 오르다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물론이고, 육상과 피아노도 좋아해요.”그는 본인 말대로 문어가 맞는 것 같았다. 다양한
분야
를 결합해 완성하는 발명과 발이 많은 문어가 묘하게 비슷하기도 하고 말이다.마지막으로 기자는 상현 군에게 “발명이란?” 질문을 던졌다. 예상치 못한 질문이라 당황스러워했지만 재치 있게 답했다. ... ...
아시아 이공계 대학이 뜬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2006년 해설기사에서 특별히 아시아 대학들의 약진에 주목했다. 타임지는 의학, 생리학
분야
에 개발도상국인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인도 등의 대학들이 100위 안에 등장한 것에 놀라워하며 아시아 대학의 약진을 영미 그리고 유럽 지역의 대학에 대한 ‘위협’이라고 경고했다. 아시아의 ... ...
해양관측 바다를 보면 OO 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해. 이걸 ‘해양관측’이라고 하지. 후훗! 보기보다 내가 좀 똑똑하지?최근 해양관측
분야
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어. 왜 그런지는 이 신문기사들을 보면서 얘기하자고.해양 희귀 생물종 발견최근 해양생물학자 알렉산더 세멘노브 박사가 북극에 사는 독특한 생물들의 사진을 공개했다. 세멘노브 ... ...
감성을 읽는 수학의 눈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생체·감성인식연구실에서는 수학적인 기법을 활용해 감성공학
분야
의 기초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생체측정기술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관심을 가지고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피로도 측정조차 쉽지 않아생체측정기술의 정확도가 떨어지면 무엇이 문제일지 예를 들어 ... ...
이전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