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페인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중에는 많은 사람들이 말이나 이륜마차를 타고 여행을 떠난다. 우엘바 지방 도냐나
국립
공원 근처에 있는 엘 로씨오의 성녀(聖女) 은둔지를 찾아 순례길에 나서는 것이다. 실로 이 행렬은 장관을 이룬다.또 7월에 팜플로나(Pamplona)에서 열리는 산 페르민축제도 유명하다. 이 축제의 하이라이트, 즉 ... ...
중3병 고3병 대4병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이 기형 질환이 발생하는 것은 성적 때문만이 아니다. 성적문제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고 그 진짜 원인은…필자의 스승인 고 한동세교수가 1972년에 발표한 논문이 있다.'한국의 교육열이 빚어낸 신종병'(新種病)이라는 부제(副題)가 붙어 있는 '고3병과 중3병'이라는 제목아래 서문은 다음과 같이 ... ...
저수준의 방사능도 위험하다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방사능으로도 암이 유발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게 된 것이다.이 사실을 밝혀낸 미국의
국립
연구소는 지난 80년까지만 해도 방사능에의 노출정도와 이로 인한 발암률이 1차방정식처럼 정비례한다고 생각해왔다. 그러나 발암률은 어떤 절대적 척도를 가지고 측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발암률은 ... ...
PART1 태양계 탐사 인간의 행성방문을 위한 정밀조사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것이다.그러나 ISAS는 일본내의 고유 임무에 묶여있는 상태이며, ISAS와 경쟁상대인 일본
국립
우주개발국(NASDA)은 이미 화성에 정교한 우주선을 보낼 능력을 갖춘 로켓을 발사시킨 상태이면서도 이번 국제 화성탐사회의에 대표성을 갖고 있지 못하다. 때문에 일본 과학자들은 이 국제협력에서 소외되는 ... ...
폰즈-플레이시만 발표 이후 1년 상온핵융합, 에피소드로 끝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처음 측정열의 1/8정도 밖에 얻을 수 없었다고 결과를 수정했다. 더욱이 브룩헤이븐
국립
연구소는 현재의 가장 정교한 장치로도 상온핵융합에 대한 긍정적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고 발표했다.폰즈와 플레이시만의 명예에 결정적인 손상을 준 것은 영국의 세계적 과학잡지 네이처(Nature)와의 관계가 ... ...
기술고고학이 밝혀 낸 사실들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그 분석 예가 몇 개에 불과하지만 앞으로 그 작업은 더 확대되어 갈 것이다. 일본 도쿄의
국립
문화재연구소 분석 결과는 그래서 큰 의의를 갖는다. 이 연구소는 최근 일본 각지에서 출토된 53개의 동탁(銅鐸)을 분석했는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분류된 2개의 동탁은 "한국으로부터 전래된 질좋은 ... ...
PART4 우주개발의 메카 NASA, 그 영광의 궤적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대통령의 이름을 딴 것이다.■
국립
우주기술연구소/태양에너지 연구또 하나가 있다.
국립
우주기술연구소가 1965년에 개설됐는데, 이곳은 바로 아폴로우주선을 날린 새턴(Saturn) 로켓을 개발한 곳. 지금은 태양에너지와 같이 이른바 NASA의 본사업에서 파생된 기술개발에 종사하고 있다.NASA의 직원수는 ... ...
사냥의 명수 사자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사냥하지 않고 암컷이 사냥을 할 때 먹이를 몰아주는 일을 떠맡는다.탄자니아의 세렝게티
국립
공원은 이같은 사자의 사냥솜씨를 직접 목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장소다.동물보호구역인 이 대평원은 면적이 1만5천㎢에 달한다. 이곳에선 어림잡아 1천여마리의 사자가 수만마리에 달하는 얼룩말과 ... ...
VDT 규제법안 입법화 한창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입법화에 쌍수를 들어 환영하고 있다.한편 지난해말부터 발표될 것으로 알려졌던 미
국립
직업안전및 건강관리국(NIOSH)의 'VDT에 관한 병리연구논문'이 드디어 이달중으로 공개될 예정이어서 VDT에 관한 논쟁은 이론적으로는 어느정도 일단락될 전망이다 ... ...
캐나다에 건설될 세계 최대의 중성미자검출기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못했다. 절망스러울 정도로 적은 수의 뮤온 타우만을 찾아내는 데 그쳤던 것이다.캐나다
국립
연구위원회(NRC)의 물리학자 월터 데비드슨은 SNO의 검출기가 기존의 검출기보다 50배정도 눈이 밝을 것으로 보고 있다. 더욱이 3종류의 중성미자를 모두 찾아낼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대개 하루에 3 ... ...
이전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