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시
조사
감시
검사
조회
목격
지각
d라이브러리
"
관찰
"(으)로 총 5,048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정시스템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단백질을 효소로 잇습니다.”실제 미생물에서는 단백질간의 결합이나 효소의 반응을
관찰
하는데 족히 3~4일은 걸린다. 반면 박 교수팀이 개발한 웹셀 3.0을 이용하면 한 번의 실험을 10~20초 만에 마칠 수 있다. 생명체가 양분을 섭취해 생명활동에 필요한 단백질과 효소를 만들고 난 뒤 나머지는 ... ...
초록색 제국의 빛과 그림자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인연의 시작이었다. 그날 이후로 저자는 이해진 대표가 꿈꾸는 ‘인터넷 유토피아’의
관찰
자가 되기로 마음먹었다고 한다.이 대표는 어린 시절 백과사전 마니아였다. 틈만 나면 백과사전을 들춰보다보니 아예 책을 줄줄 외울 정도였다. 그때 그는 백과사전의 소유 유무에 따라 아이들의 성적이 ... ...
뉴질랜드에서 잡힌 대형 오징어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최고온도 1,500℃ , 배율은 500~750배이다시료가 고온에서 변화하는 상태나 표면상태를
관찰
하는 데 사용된다 미국의 달착륙선 아폴로 11호의 암스트롱 선장과 올드린 비행사가 1969년 7월 20일 「이글」로 인류 최초의 달착륙에 성공한 장소 윌면(月面)의 동부, 적도의 약간 북쪽인 동경 18도에서 43도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꼬마펭귄의 행진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살고 있다. 거친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절벽 위에 있는 노비스 센터에서 망원경으로
관찰
하면 바위에서 장난치며 놀고 있는 물개 떼를 발견할 수 있다.1996년 호주 빅토리아 주정부는 필립섬의 자연환경을 보존하기 위해 ‘필립섬 자연공원’을 설립했다. 특히 자연공원 연구팀은 멸종 위기에 처한 ... ...
반짝이는 별 한 번 사볼까?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맨눈으로 금성의 위치를 측정하고 천체망원경으로 매일 변하는 금성의 크기와 모양을
관찰
하며 기록해 보자.전성기를 맞이한 금성을 ‘축하’하는 또 하나의 사건이 있다. 6월말~7월초 토성이 금성에 접근한다. 두 행성이 실제 우주공간에서 접근하는 것은 아니고 우리가 봤을 때 마치 붙은 것처럼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발견하기도 한다.재발하기 쉬운 자궁근종일단 자궁 속에서 작은 혹이 발견되면 꾸준히
관찰
해야 한다. 혹이 점점 커지거나 치료가 필요한 경우 자궁경을 넣어 자궁 내벽에 붙어있는 혹을 제거한다. 근종이 클 때는 개복수술로 근종을 제거해야 한다. 수술 전 호르몬을 투여해 여성호르몬인 ... ...
침팬지도 창을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영국과 미국 과학자들은 2005년부터 1년 동안 아프리카 세네갈 남부에서 침팬지를
관찰
했어요. 과학자들은 침팬지가 나뭇가지를 뾰족하게 갈아 창을 만들고 이 창으로 속이 빈가지나 둥치의 구멍을 쑤셔대는 것을 발견했어요. 이런 방법으로 잠자는 작은 원숭이를 사냥한 사례도 발견됐어요. 침팬지 ... ...
까칠까칠 황사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단점이 있어요. 그리고 라이다는 빛을 공기 중으로 쏴서 그 빛이 되돌아오는 양을
관찰
하는 장비예요. 공기 중에 먼지가 많으면 빛이 많이 산란되기 때문에 되돌아오는 양이 줄어드는 원리를 이용해 황사가 얼마나 심한지를 알 수 있지요.마지막으로 PM10은 공기 중에 10㎛ 이하의 모든 입자를 ... ...
영재들과 한강 철새가 만났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헤라클레스님 같지 않니? 춘천 가 정리에서는 호박벌, 길앞잡이, 모시나비 등을 자세히
관찰
할 수 있었지. 물론 아빠의 첫사랑 얘기가 더 재미있었지만 말야. 크크~.경기도다운이와 다운이 아빠가 포천 국립수목원에서 크낙새 구출 작전을 하고 온 뒤 혼이 쏙~ 빠졌었지. 알고 보니 우리의 센스쟁이 ... ...
난류 타고 훨훨 나는 박쥐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헤든스트롬 박사는 좁은 통로에서 공기의 흐름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며 박쥐의 비행을
관찰
했다. 그 결과 박쥐가 날 때는 날개의 뒤쪽에 난류가 생겼다. 박쥐는 새와 달리 위쪽으로 날개를 들어올릴 때 날개를 거의 접지 않아 공기가 위아래로 분산된다. 또 꽁지가 없어 공기가 뒤로 자연스레 ... ...
이전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