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4,217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시대의 산림보호 정책, 금표와 봉표
과학동아
l
199803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이 자연석에는 '봉표의 위로는 참나무 봉산이고 봉표의
아래
는 밤나무 봉산(以上眞木封界 以下栗木界)'임을 알리는 명문이 함께 새겨져 있다.향탄봉산은 능묘의 제사에 쓰이는 향목과 목탄을 배양하기 위해 나무를 하거나 짐승을 기르는 것을 금한 능 부근의 산이다. ... ...
2. 시간의 신비
과학동아
l
199802
이러한 관점에 따라 이들에게 가장 큰 수수께끼로 나타난 것은 "왜 이 무거운 지구가
아래
로 떨어지지 않는가"하는 문제였다. 이는 결국 공간 자체가 비대칭성인 것이 아니라, 공간 안에 놓인 물체(지구)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우리는 이해하고 있다.그렇다면 시간의 비대칭성도 시간 자체가 ... ...
균과의 전쟁
과학동아
l
199802
같은 면역성질환이 늘고 있는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병원균 퇴치라는 미명
아래
남용된 항생제는 내성이 강한 또다른 균을 만들어내 인간의 면역체계를 위협하고 있다. 인간과 함께 공존하는 세균들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선택이 필요한 시점이다 ... ...
베르누이가 말한다.
과학동아
l
199802
모양 때문만은 아니다. 날개의
아래
쪽을 약간 틀어올려서 공기와의 충돌시 공기가
아래
쪽으로 흐르도록 설계해 비행기를 날도록 한 것이다. 또 비행기를 운행할 때 대기의 속도를 측정하는 피토관도 유체 흐름의 압력차를 이용해 유속을 구하는 장치로 항공기와 선박의 속도계에 이용된다 ... ...
인류를 먹여살린 화학비료
과학동아
l
199802
상태의 질소와 수소를 직접 반응시켜 암모니아를 만드는 연구에 착수했다. 이 반응은
아래
와 같이 간단한 반응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하버는 반응을 통해 암모니아를 효과적으로 얻는 방법을 알아내기 위해 평형과 반응 속도라는 두 가지 면을 함께 고려했다.N₂(기체)+3H₂(기체) ⇄ 2NH₃(기체 ... ...
코뿔소가 변한 외뿔소 자리
과학동아
l
199802
아래
지역에 해당하는 두 별을 관구성(關丘星)으로 불렀다.이곳은 황도에서 20°이상
아래
이기 때문에 행성들이 들어오는 경우가 거의 없는데, 동양의 점성술에서는 사독성에 행성이 머물면 홍수가 지고, 관구성에 행성이 머물면 대궐에서 전투가 벌어진다고 여겼다.이 별자리에서 가장 잘 알려진 ... ...
민족의 영물 호랑이
과학동아
l
199801
유인한다.마치 소쿠리를 써서 참새를 잡는 방법과 비슷하다. 호랑이가 다가와서 기둥
아래
깔린 먹이를 잡아당기는 순간, 무거운 바위가 내려앉아 짓누르게 된다.대개의 동물은 벼락틀이 넘어지는 순간 미처 도망하지 못하고 온몸이 바위로 눌리게 되는데 비해 호랑이만은 언제나 몸이 반 이상 ... ...
2. 음력과 양력 어느것이 더 과학적인가
과학동아
l
199801
235(19년X12월+7윤월) 삭망월로 19년간 7삭망월의 윤달을 두는 것이다. 그 길이를 비교하면
아래
와 같다.8태양년 = 365.24219일 X 8년 = 2921.9375일99삭망월 = 29.53059일 X 99달 = 2923.5282일19태양년 = 365.24219일 X 19년 = 6939.6017일235삭망월 = 29.53059일 X 2 ...
단군은 박달나무의 아들
과학동아
l
199801
환웅이 제세핵랑군이라 불리는 동방문명 개척단 3천명을 이끌고 태백산 신단수(神檀樹)
아래
로 내려와 신시(神市)를 세웠고, 곰에서 여인으로 화한 웅녀와 혼인해 낳은 반신반인의 인간신이 단군이라고 전하고 있다.단군신화에 나타나는 단은 박달나무(檀)나 제터(壇)를 뜻한다. 단(壇)과 단(檀)은 ... ...
대왕무늬 선명한 백두산호랑이
과학동아
l
199801
폭이 넓고 성기다.모든 호랑이의 이마에는 왕(王)무늬 있는 데, 자세히 보면 왕무늬
아래
에 큰 대(大)자 처럼 보이는 무늬도 볼 수 있다. 이 두 무늬를 합하면 대왕(大王)이 되는데, 이를 두고 호랑이가 백수의 왕이라는 것을 알리는 조물주의 표식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특히 백두산 호랑이는 ... ...
이전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