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00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 캘리포니아, 달
빛
과 은하수
2016.06.25
아치 구멍 사이로 비치는 날은 일 년에 두 달인데도 실제로 촬영하기는 힘들다. 저무는 달
빛
이 통과하는 것은 일 년에 며칠뿐이다. 사진은 월몰 즉 달이 질 때를 기다려 어렵고 어렵게 촬영한 것이라고 한다. 인내와 행운이 맺은 결실이다. 은하수까지 돌섬 위에 자리를 잡고 도와주었으니 큰 ... ...
새파란 랍스터 잡혀 ‘화제’
2016.06.25
해외 네티즌들은 “맛있겠다”는 상투적 반응 대신에 ‘경탄’의 댓글을 많이 썼다. 파란
빛
으로 감싸인 랍스터가 신비하다고 말하는 이들도 있다. 자연의 경이를 다시 경험했다고 쓴 네티즌들도 있다. 한편 파란색은 식욕을 떨어뜨리니 랍스터를 먹기보다는 다시 바다로 방생하라는 제안의 댓글도 ... ...
주기율표 113번 ‘니호늄’ 발견한 日 가속기 현장 가보니
2016.06.24
활용할 수 있다. 최근 연구진은 빔 입자를 광속의 40%까지 가속한 뒤 여기서 나온
빛
을 금속이나 식물에 직접 쬐여 형질변환을 유도하는 실험에 한창이다. 자동차나 항공기용 정밀 부품 개발에 필요한 마모 실험도 진행 중이다. 중이온 빔을 쬐여준 금속 부품은 동위원소가 흡착돼 방사능을 띤다. ... ...
연필에 돌돌 말릴 정도로 얇은 태양전지 보셨나요
2016.06.21
말 수 있었다. 이 태양전지의 성능은 같은 방식으로 제작한 두꺼운 태양전지와 비슷해,
빛
을 전기로 바꾸는 효율이 약 13%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일반적으로 전지가 얇을수록 구부릴 때 깨지기 쉽지만 이번에 돌돌 말 수 있을 정도로 유연하게 제작했다”며 “금속이나 섬유 위에도 부착할 수 ... ...
“암흑물질 탐색 중심에 있는 韓과 경쟁 대신 협력하겠다”
2016.06.20
이끌어온 대표 과학자 중 한 명이다. 암흑물질은 보통의 물질처럼 중력작용을 하지만
빛
은 내지 않아 정체를 알 수 없는 물질로, 보이지는 않지만 우주의 27%를 차지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태양계가 은하 주위를 초속 약 200㎞의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데도 튕겨 나가지 않는 이유도 암흑물질의 ... ...
손목에 찼다가 펴서 스마트폰으로…코 앞으로 다가온 디스플레이 혁명
2016.06.19
액체 물질을 채워 색을 내는 LCD(액정디스플레이) 기술이다. 반면 삼성은 소자 하나하나가
빛
을 내는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기술에 이전부터 주목해 왔다. 휘거나 구부리는 제품을 만들기에는 OLED 쪽이 한층 유리하다. 이 때문에 최초로 접거나 구부리는 스마트폰을 공개할 기업은 삼성전자일 ... ...
항생제로 세포 촬영 ‘찰칵’
2016.06.19
연구팀은 안과와 내과에서 사용하는 ‘목시플록사신(moxifloxacin)’이란 항생제가 스스로
빛
을 내는 형광 특성이 있다는 점에 착안했다. 연구팀은 이 항생제를 이용해 눈 뿐 아니라 피부, 소장, 방광 등 생체조직을 다광자현미경으로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형광물질이 없을 때는 초당 0.2프레임 ... ...
최대 8배까지 늘어나는 투명전극 개발
2016.06.13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3일자에 실렸다. 투명전극은 이름처럼 '투명'하기 때문에
빛
을 투과시킨다(왼쪽). 이 투명전극을 이용해 불을 밝힌 모습. - 고려대 기계공학부 ... ...
효율-수명, 두마리 토끼 한번에 잡은 태양전지 나왔다
2016.06.13
넣자 전자이동도가 약 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박막 덕분에 전지에서 태양
빛
을 받는 부분에 수분과 산소의 유입이 차단돼 소자의 수명을 1.5배 이상 높일 수 있었다. 이를 적용해 만든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광전환 효율이 16.23%를 기록해 기존(13.6%)보다 높게 나타났다. ... ...
스티븐 호킹 “블랙홀에도 빠져나올 구멍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6.12
지남에 따라 블랙홀에서 물질이 거꾸로 새나가기 시작하다가 어느 순간에 이르러서는
빛
과 입자들이 분수처럼 쏟아지면서 폭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2014년에는 ‘블랙홀에서의 정보 보존과 일기 예측’이라는 글을 발표하면서 “지구에서 날씨를 예측하는 것처럼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