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4. 5감통신의 한계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맛을 볼 수는 없다. 이런 한계로 인해 미각통신은 촉각이나 후각 통신보다도 연구가 더딘
편
이다.비트는 본질에 접근하려는 가상 존재우리는 여기서 중요한 사실을 깨달을 수 있다. 인간의 입출력시스템은 아톰을 매개로 한 아날로그 형태인데, 이를 자꾸 가상의 디지털로 바꾸려는데에 문제가 ... ...
20년만의 대장관 햐쿠다케혜성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지금 저녁 하늘에 혜성이 빛나고 있다. 맨눈으로 볼 수 있는 햐쿠다케혜성은 4월이 지나면 더 이상 볼 수 없는 아름다운 혜성이다. 초보자에 ... 찍는 방법과 비슷하다. 밝고 큰 혜성을 찍는 데 큰 망원경을 사용하는 것보다 간
편
한 망원렌즈가 오히려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도 기억해 두자 ... ...
신경세포간 대화부족 해결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항히스타민성 물질을 실험했을 때와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했다.그래서 쿤은 장문의
편
지를 가이기에 보내 당시의 화합물을 제공해 주도록 부탁했다. 쿤은 가이기에서 보내온 화합물(G22150)에서 흥미 있는 성질을 발견했으나 독성이 심했다. 그래서 다시 클로르프로마진과 좀 더 구조가 유사한 G22355 ... ...
DOHC 엔진 힘좋다고 마냥 좋은 것은 아니다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양의 혼합기와 배기가스를 처리할 수 있다.DOHC의 장점인 고속회전시의 출력증강은 한
편
으로는 단점으로도 지적된다. 동급의 배기량의 SOHC차량보다 출력이 보통 30% 이상 크게 나타나지만 저속회전에서는 소음만 크게날 뿐 SOHC차량과 출력에 별반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차의 동일 ... ...
고기능 사운드카드 옥소리 VS 사운드블라스터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녹음해 롬에 담아 두었다가 음원이 이를 읽어 소리 형태로 합성해 내는 것이다. 보
편
적인 음악 스타일의 음색을 담은 이른바 '제너럴 미디' (General MIDI)가 지원되는 웨이브테이블이라면 1백28개의 악기 음색을 롬에 저장해놓았다. 16비트 음성 기능이 '과학동아' 라고 램에 녹음을 했다면 똑같이 ... ...
1. 홈웨어 없는 홈PC 속 빈 강정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소프트웨어 업체가 맡으면 된다. IBM PC가 성공할 수 있었던 것도 워드프로세서와 같은
편
리한 업무용 소프트웨어뿐 아니라 다양한 공개 소프트웨어들이 무료로 제공됐기 때문이다. 홈소프트웨어 분야에도 이 공식이 적용된다.그렇다면 독립적으로 팔기는 어렵지만 절실하게 필요한 홈소프트웨어는 ... ...
21세기 영상혁명, 컴퓨터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만들어진 영화를 영화라 할 수 있을까. 이제는 배우나 세트가 없이도 컴퓨터만 있다면 한
편
의 영화를 만들 수 있단 말인가.카메라를 컴퓨터로 대치해 버린 영화가 영화냐 아니냐를 따지는 일은 사실 부차적인 일이다. 1927년 최초의 유성 영화인 '재즈 싱어' (The Jazz Singer)가 만들어졌을 때 어떤 ... ...
영어와 컴퓨터를 동시에 배운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사운드가 조화를 이뤄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한다. 또한 영어와 한글을 섞어 한
편
의 동화를 다 읽고 나면 게임 형식을 통해 문장을 복습할 수 있으며, 배운 단어 또한 크로스워드를 통해 체크해 볼 수 있다.코리의 영어나라 다양한 사물과 귀여운 동물친구들이 예쁜 그림으로 표현되어 있다. ... ...
무명청년과 대발명가의 승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일화가 있다. 벨은 발성학과 음향학을 전공한 뒤 1871년 보스턴 농아학교에서 교
편
을 잡았다.전기 신호에 대한 관심은 1870년 독일 과학자 헬름홀츠의 음향이론에 관한 책을 접하면서 시작됐다. 헬름홀츠는 소리굽쇠의 끝을 진동시켜 전류를 발생시키고 그 전류가 다른 소리굽쇠를 작동시키는 방법을 ... ...
연구 1년만에 발견, 그리고 1년 후에 노벨상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나온 것이었다. 실제 상황은 매클로드를 연구지도자로 팀연구 형태로 운영됐던 것이다.한
편
매클로드는 올바른 연구지도자였는가. 그는 처음에 흥미가 없다가 연구결과가 나오기 시작하자 적극적으로 콜립과 함께 연구에 개입한 인상이 크다. 그는 팀연구형태가 최단기간내에 완벽한 연구결과를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