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감기약 먹었는데 왜 변비가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있다. 오래 복용하면 앞서 설명한 만발성 운동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다른 성분과 달리
크기
가 매우 작은 지용성 성분이어서 뇌를 감싸고 있는 혈관을 통과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소화가 잘 안될 때 습관적으로 탄산음료를 마시거나 속이 쓰릴 때 우유를 마시는 사람들이 있다. 탄산음료는 ... ...
Part 2. 허파꽈리가 칩속에서 헐떡헐떡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는 “간단히 얘기하자면 허파꽈리를 구성하는 세포막, 폐세포, 모세혈관을 마이크로
크기
의 칩에 배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새의 날갯짓과 곤충의 특정 부위, 식물의 특정 기능 등 겉으로 드러나고 눈에 보이는 것만 생체모방 공학의 영역이 아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 조직의 형태와 기능을 ... ...
누가 내 보이스톡을 끊었는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무제한 서비스에 가입했다고 mVoIP를 무제한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음성 데이터는
크기
를 줄이기 위해 패킷으로 압축하는데, 1분 길이 음성의 패킷 용량은 일반적으로 0.5메가바이트(MB)로 압축된다. 만일 SK텔레콤 54요금제 3G가입자라면 mVoIP로 400분 가량을 무료통화할 수 있는 셈이다(표참고) ... ...
원자들이 사랑에 빠졌어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과정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디테일하게 촬영했습니다. 백금 결정이 수 나노미터
크기
로 자라는 모습을 또렷하게 볼 수 있죠.그런데 첫 번째 씬을 찍을 때와 비슷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백금 결정은 용액 속에서 백금 원자들이 서로 엉겨 붙으며 성장합니다. 투과전자현미경은 진공이 필요하다는 ... ...
눈으로 보는 뇌의 목소리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코헨 박사는 이 센서를 부착한 뇌자도(MEG)라는 장치를 이용해서 지구 자기장의 10억분의 1
크기
의 자기장을 측정하는데 성공했고, 자신의 뇌에서 측정한 뇌자도 신호로 ‘사이언스’의 표지를 장식했다. 최근에는 뇌파, 뇌자도와 fMRI를 결합한 ‘멀티모달 신경영상’이라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 ...
아이 러브 ♥ 고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확보한 고지방 고단백 식품은 몸집도 키웠습니다. 초기 인류는 400만~500만 년 전 두뇌
크기
가 현생 침팬지와 비슷한 400~500cc 정도였습니다. 200만~300만 년 뒤 호모 하빌리스 때는 750cc로 커졌습니다. 하지만 몸집은 여전히 100cm 전후로 작았습니다. 200만 년 전에는 호모 에렉투스가 등장했습니다. 호모 ... ...
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에너지는 1000배밖에 더 필요하지 않다.이유는 상대적인 혈관
크기
. 몸집이 커도 모세혈관
크기
는 바뀌지 않기 때문에 몸 속 구석구석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효율이 높아진다. 중력이 강해지면 몸집을 키우는 데 제한이 많으므로 이런 법칙도 무용지물이다. 현재의 지구에 비해 효율성이 높은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어디일지 자못 궁금해진다.[딱정벌레 날개 원리가 들어있는 테이프. 마이크로미터
크기
의 미세한 섬모가 촘촘히 박혀 있다. 분자 사이에 반데르발스힘이 작용해 옆으로 잡아당길 때 잘 안떨어진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베껴야 사는 과학! 생체모방의 세계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 ...
시조새는 여전히 진화의 증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지나치게 단순화되면서 생긴 것이다. 현재 교과서에 나온 것처럼 말은 5500만 년 전 개
크기
의 동물인 ‘하이라코테리움’에서 단순히 몇 단계를 거쳐 곧바로 진화한 것이 아니다. 훨씬 복잡한 과정을 거쳐 진화가 진행됐다는 화석 증거가 쏟아져 나왔다. 학계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1990년대 말의 ... ...
의료영상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얻어낸 영상을 이용해 종양 등을 발견하고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장기 및 신경 등의
크기
와 길이를 확인해 수술할 때나 치료할 때 이용할 수 있다. 치료 후에 경과를 확인하는 데도 사용한다. 이처럼 영상이 필요한 의료와 관련된 모든 분야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 수술을 할 때 절대로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