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온라인 게임하면 수학 성적 오른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게임을 하는 학생의 수학과 독해 성적은 평균보다 15점이 높았습니다. 과학 성적은 무려 17점이나 높았습니다.연구팀은 SNS와 수학 성적 간의 상관관계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매일 SNS를 이용한 학생은 전혀 하지 않은 학생과 비교해 볼 때 수학 성적이 20점 낮았습니다.연구에 참여한 앨버트 포소 ... ...
- [지식] 수학 잘하는 방법이 궁금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됐다. 언뜻 보면 둘 다 직관과 논리력이 필요하고 수식을 도구로 사용하는 학문이라는 점에서 비슷해 보이는데, 무엇이 다를까?“제가 생각했을 때 물리학은 직관이 더 중요하고, 수학은 논리력이 더 중요해요.”물리학에는 엄밀하게 검증하지 않고 넘어가도 되는 부분이 있다. 실험으로 타당성을 ...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어, 식물의 광피해를 줄인다. 두 번째 기능은 타감물질을 만든다는 점이다.타감물질은 다른 식물의 생존을 막거나 저해하는 화학물질로, 단풍나무 근처를 가만히 살펴보면 다른 식물들은 거의 살지 않는다. 마지막은 나무를 괴롭히는 해충을 막기 위해서다. 영국 임페리얼대 짐 ...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전공 E 교수는 한국의 연구비 지원사업에서 연구 성과를 성공과 실패로 구분하는 점에 놀랐다. 과제 수행 기간이 끝나면 연구 결과를 평가하는데, C~D등급을 받으면 상세 평가를 실시한다. 그리고 성실히 연구를 수행했다고 판단되면 ‘성실 실패’로 인정한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불성실 실패’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호기심이 창의력의 시작이지요.”사람들을 즐겁게 하는 일에도 과학이 이용된다는 점이 놀랍지 않나요? 미래 과학자를 꿈꾼다면 즐거운 과학에 한번 도전해 보는 건 어떨까요 ... ...
- [수학뉴스] 지네를 닮은 로봇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연결한 스프링을 부드러운 것으로 했을 때만 꿈틀거리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이 점을 이용해 실제 지네와 비슷한 속도와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연구팀은 “다른 동물의 움직임에 대해 아직 풀리지 않은 문제를 연구하는 데 이 연구 결과가 실마리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 ...
- PART 1. 초기우주의 문을 보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태어났고, 어떻게 변해왔을까? 과학자들은 지금으로부터 138억 년 전, 아주 작은 한 점에서 대폭발이 일어나며 우주가 탄생했고 지금까지도 계속 팽창하고 있다고 말한다. 바로 ‘빅뱅 이론’이다.빅뱅 이론의 ‘빅뱅’은 사실은 ‘뻥!’이다. 그 이름도 유명한 빅뱅 이론이 뻥이라니 무슨 말일까? 194 ... ...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막대기와 찰흙으로 구조물을 만든 뒤 판 위에 올려놓고 흔들었다.흔드는 세기를 점점 강하게 하면 어느 순간 구조물이 무너진다.흔드는 세기와 구조물의 모양을 각기 달리하면서 다양하게 실험하면 구조물을 어떻게 만들어야 튼튼한지 체험할 수 있다. 삼각형을 기본 단위로 구조물을 만들어야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좌우의 색이 다른 경우가 있고, 같은 홍채에서도 부분적으로 색이 달라 잔물결이나 얼룩점이 보인다. 이런 차이는 멜라닌세포 때문에 발생한다. 홍채 조직은 안구 속에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기 위해 멜라닌세포가 풍부한 층으로 돼 있다. 멜라닌세포가 내는 색소는 크게 두 가지인데, 검은색을 띠는 ...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사회적 자본이 많았지만, 그에게 로버트 브라우트 같은 뛰어난 공동연구자가 없었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한국 과학계에 이런 연구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는 과학자들이 얼마나 많은지는 알 수 없다. 또 세 명의 국내 과학자가 향후 노벨상을 탈 수 있을지도 알 수 없다. 이들이 연구하는 분야 중 ... ...
이전3073083093103113123133143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