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숨겨진 다중
우주
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해석에 따르면 우리(정확히는 우리를 구성하는 입자들)가 행하는 모든 판단과 행동도 다
우주
를 갈라놓는다. 만약 이 기사를 끝까지 읽을지, ‘로맨틱한 호관씨’를 읽기 위해 건너뛸지 고민하다 ‘로맨틱한 호관씨’를 택했다면,
우주
는 ‘이 기사를 끝까지 읽는 나’가 있는 세계와 ‘로맨틱한 ... ...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 유치 경쟁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정확히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전파다. 휴대전화나 라디오에서 나오는 전파는 먼
우주
로부터 오는 전파를 측정하는데 커다란 방해요소로 작용한다. 야간 조명이 밝은 도시에서 별을 관찰하기가 힘든 것과 같은 이치다. 이 때문에 호주와 남아공은 자국의 후보지역이 상대국보다 전파청정지역이라는 ... ...
코페르니쿠스의 원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이제 코페르니쿠스 원리에 가장 직접적으로 관련된 남아있는 질문은 “Are we alone?” (
우주
에 지성체는 우리뿐인가)일 것이다. 이 얘길 하자면 몇 시간이 더 필요하다 ... ...
시간이 정말 빨리 가는 때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있어요. 2년 전 지구 자전 속도가 빨라져 실제로도 시간이 빨리 흘렀거든요.최근 미국항공
우주
국(NASA)과 프랑스 파리지구물리학연구소로 이뤄진 국제 연구팀은 2009년 지구의 자전속도가 빨라져 하루가 짧아졌다고 발표했어요. 연구진은 하루의 시간을 측정 해놓은 자료를 분석했어요. 연구진이 ... ...
언터처블 : 5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플라톤이 살던 시대만 해도 이
우주
론은 굉장히 널리 알려졌다. 그리고 이후 사람들의
우주
관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제3코스 황금비를 품은 펜타그램과 정오각형오각형은 영어로 ‘pentagon(펜타곤)’이라고 한다. 그런데 미국 버지니아주에 있는 국방부의 건물이 오각형이라서 미국 국방부를 ... ...
Intro.
우주
를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
우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우주
에 끝이 있을까. 우리가 탐구할 수 있는
우주
의 끝으로 가면 무엇이 있을까.
우주
가 끝날까. 혹은 공간이 사라질까. 몇몇 사람들은 다른 생각을 했다. 마치 언덕을 넘으면 또다 ...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
우주
Part1. 숨겨진 다중
우주
를 찾아서Part2. 끈이론 다중
우주
...
‘별의 단발마’ 항성풍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앨버트 지즐스트라 영국 맨체스터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강한 항성풍에 있는 먼지는
우주
먼지가 돼 새 별을 탄생시키는 역할을 한다”며 “별이 탄생하고 죽는 순환 과정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유럽의 소형 로켓 ‘베가’ 발사 성공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그런데 2월 13일에 이 로켓과 성능이 비슷한 ‘베가’가 발사에 성공했답니다.베가는 유럽
우주
국(ESA)에서 만든 새로운 소형 로켓이죠.ESA는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기지에서 처음 베가를 발사해 1500㎏짜리 로켓을 700㎞ 궤도까지 올리는데 성공했다고 밝혔어요. 베가 같이 300㎏에서 2000㎏까지 실을 ... ...
Part3. 비판과 한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결론 이것이 과학인가 vs. 우리는
우주
의 중심이 아니다폴 데이비스 호주 매쿼리대
우주
생물학센터 교수는 2004년 논문에서 다중
우주
를 둘러싸고 “이것이 과학인가”라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관측범위 안으로 관측이 제한된 상황에서 ‘그 밖’의 존재를 논하는 것이 의미가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스타워즈’에는 거대한
우주
기지 ‘데쓰 스타’가 여러 가닥의 녹색 레이저빔을 모아 일격에 행성을 파괴하는 장면이 나온다. 오늘날 지구에서도 비슷한 실험이 진행 중이다. 192개의 초강력 레이저를 작은 캡슐에 집중시키는 실험이다. 단, 그 목적은 행성을 파괴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인공태양을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