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생명공학 기술과 식품학이 결합된 분야인 ‘세포 농업(Cellular agriculture)’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조직 배양 기술은 의학과 생물학에서 먼저 발전했는데, 뉴하비스트가 이 기술을 식품학의 영역으로 전파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한 것이다. 뉴하비스트는 세포 배양을 통해 젖소 없이 우유를, 닭 없이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배양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 겁니다. 14일의 규칙을 재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죠. 게다가 2015년에는 미국 록펠러대 연구팀이 배아줄기세포를 조금 특이한 패턴으로 배양하는 데 성공했는데요. 배양한 세포들이 마치 정상 배아가 발달하는 것처럼 세 겹의 세포층을 형성했습니다.doi: ... ...
- 2018 노벨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0월 1일 노벨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올해 노벨 과학상 수상자가 발표됐다. 생리의학상은 우리 몸 속 면역세포의 암 치료 능력을 높인 차세대 항암제를 개발한 과학자 2명에게 돌아갔다. 물리학상은 레이저를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게 만든 과학자 3명에게, 화학상은 효소와 항체 생산 방식을 ...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그 주인공이다. 한 해에 여성 수상자가 두 명 이상 나온 것은 1901년 노벨상 수상이 시작된 이래 이번이 두 번째다. 2009년에는 엘리자베스 블랙번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SF) 교수와 캐롤 그레이더 미국 존스홉킨스대 의대 교수(생리의학상), 아다 요나스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 교수 ...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전부터 인간은 밀 종자를 껍질째 씹어 먹기 시작했다. 그러다 본격적으로 밀을 재배하기 시작한 때는 기원전 9600년 전부터였다. 이라크를 길게 지나는 티그리스강, 유프라테스강 유역이 주요 생산지였다. 기원전 4000년 전, 이집트에서 밀가루로 효모 발효 빵을 만드는 레시피를 만들면서 밀은 점점 더 ... ...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불과합니다. 이런 곳에서 바퀴를 이용해 소행성 표면을 돌아다니려고 한다면, 움직이기 시작한 순간 로버가 표면 위로 둥둥 떠올라 우리가 원하는 대로 움직이게 만들 수 없을 겁니다. 그래서 우리는 바퀴 역할을 하는 장치를 두 로버의 내부에 설치했습니다. 미네르바의 경우 로버 내부에 모터를 ...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777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베팅 금액을 정하고, 그 금액만큼 베팅한다. 여기서는 두 팀 모두 1100만 원을 내놓고 시작한다. 승부에 이긴 팀은 그 승부에 해당하는 베팅 금액의 2배를 얻고 진 팀은 베팅한 금액을 돌려받지 못한다. 예를 들어 베팅 금액이 100만 원인 승부에서 이기면 2배인 200만 원을 받는다. 첫 번째 승부를 펼친 ... ...
- Part 4. 오로라, 보랏빛 띠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시민과학 프로젝트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스티브를 계속 추적하기 시작했지요. 여기에는 유럽우주국(ESA)의 SWARM 위성도 참여했어요. 그리고 올해 3월, 스티브의 정체를 밝혀냈답니다. 분석 결과, 스티브는 태양풍 입자들이 적도에 더 가까운 지구 자기력선을 따라 흘러 들어가면서 기존의 ... ...
- Part 5. 장내미생물, 똥을 보내면 우리도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친구들도 있을 거예요. 하지만 곧 어린이들이 참여할 수 있는 장내미생물 프로젝트도 시작하려고 해요. 그때까지 여러분의 장내미생물을 건강하게 가꿔 주세요! # 끈기와 노력이 빛을 발한 아마추어 과학자들을 보니 어때? 친구들도 지금부터 좋아하는 일에 몰두해 봐! 친구들의 ... ...
- [통합과학 교과서] 수호의 의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푸오오벤트 분화구의 동쪽 균열 지대에서 발생했어요. 규모 5.0의 지진과 함께 폭발이 시작됐으며 이틀 뒤 규모 6.9의 강진과 함께 화산 인근 지역의 땅이 갈라지면서 용암이 계속 분출하고 있지요. 폭발 직후, 용암이 분출하는 균열은 14군데였는데, 현재 모두 20군데로 늘어났답니다.(5월 21일 기준 ... ...
이전3073083093103113123133143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