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상
추측
가상
몽상
구상
팬시
허구
d라이브러리
"
상상
"(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울릉도 보물선을 건져 올려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것은 생각만 해도 마음이 설렌다. 그러나 믿기지 않겠지만 실제로 바닷속에는 우리가
상상
하는 것 이상으로 많은 보물이 있고, 아직 인양되지 않은 보물선도 무수히 존재한다. 그러나 바다에는 예측못하는 변화가 있고, 해저는 엄청난 수압과 암흑의 세계가 있어 누구나 쉽게 접근하는 것을 용납하지 ... ...
1%만 절약하면 제주도에서 2년 쓴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사용할 수 없으며 공장에서는 생산기계들이 돌아가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이 모두가
상상
조차 하기 싫은 끔찍한 일들이다.발전소에서 발전을 위해 투입된 석유 및 석탄과 같은 1차 에너지의 60% 정도가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손실된다. 이렇게 생산된 전기는 송전선을 통해 수용가로 보내지는 ... ...
1. 아무도 접근을 막을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그 게임들은 너무나 쉬웠다. 그녀는 첫 번째 게임처럼 온갖 어려움을 다 겪으며 자신의
상상
력을 살려 나가고 싶었다. 그녀는 스스로 모험게임을 구상해 나가기 시작했다. 그녀는 '신비의 집'(Mystery House)과 그 안에서 벌어지는 신비스러운 일에 대한 이야기를 작성 해가기 시작했다. 이 이야기는 ... ...
1백m를 10초내에 주파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빠른 속도로 움직였음을 알 수 있다. 거대한 몸을 이끌고 씩씩거리면서 달리는 모습을
상상
해보라. 물론 개중에는 사람의 걷는 속도(1m/초)와 비슷한 공룡도 있다.공룡을 묘사한 어떤 그림을 보면 거대한 몸을 지탱하는 다리가 매우 빈약하다. 호수 속에서 물의 부력을 의지해 생활하고 있는 모습도 ... ...
바람을 멈추게 한 거문고 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소용돌이치며 날아가고 있다. 베타 별을 보면서 그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거대한 현상을
상상
해보기 바란다.베타와 감마 별 사이에 고리 성운으로 알려진 거문고자리의 보석이 자리하고 있다. 이것은 M57로도 불리며 약 2천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죽은 별의 잔해가 만들어 낸 천구의 가스 고리다. M 5 ... ...
1. 베이식(BASIC)위주 교육 탈피해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투입해 전국의 모든 초중고등학교에 컴퓨터를 보급하기로 한 것은 다른 과목에서는
상상
조차 할 수 없는 일입니다. 아마 세계적으로도 드문 사례일 겁니다. 그만큼 컴퓨터교육에 관한 정부의 정책의지가 확고하다는 뜻이지요.허-영국 프랑스 등이 우리와 비숫하게 정부주도로 컴퓨터교육을 하고 ... ...
찾기 힘든 쿼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질량이 조그마한 행성으로 압축되었을때 그 물질의 밀도가 얼마나 높을 것인가는 쉽게
상상
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나 이는 궁극적인 상태는 되지 못한다. 백색왜성에서도 원자핵은 전자들에 의해 어느 정도 분리되어있다. 그러나 만약 백색왜성이 충분히 크고 무겁다면 원자핵은 전자들이 더 이상 ... ...
(2) 엔트로피와 화석이 창조론을 지지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원숭이와 사람의 중간으로 알려진 '유인원'은 극소수의 턱뼈 치아 머리뼈 등을 근거로
상상
해 조립(예자바인)한 것이다. 미국의 과학전문지 사이언티픽 어메리컨의 1987년판에도 유인원은 원숭이류가 아니면 사람이지 결코 중간동물이 될 수 없고, 인류의 기원에 대해서도 아직 해답이 없다고 씌어 ... ...
(3) 창조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에 일어난 다양한 동식물 분포는 창조된 동식물의 분산이 우리가
상상
하는 것 이상으로 신속히 이동할 수 있음을 보여줄 뿐 진화론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4 서로 다른 시기에 생성된 지질층에서 다른 종류의 화석이 발견되고 있다. 그 뿐 아니라 생성이 오래 된 지질층일수록 ... ...
1천9백여개의 망원경 탄생시킨 김한철씨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깨진 안경알로 달 분화구를"요즘 누가 달을 보며 계수나무 아래 떡방아 찧는 토끼를
상상
이나 합니까. 은하수니 반달이니 하는 말도 점점 사라져가고 있습니다만 별보는 이들에겐 서로 공감할 수 있는 감정이 있습니다. 이를 지켜나가기 위해 기쁜 마음으로 망원경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