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대"(으)로 총 4,226건 검색되었습니다.
- 3. 통일장 이론의 스타들: 초끈이론 개발한 존 슈바르츠과학동아 l1997년 07호
- 반해 상대성이론은 연속적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끈이론을 사용하면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이 자연스럽게 통합된다. 결국 만물의 법칙(theory of everything)의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이다.끈이론이란 무엇인가?아인슈타인의 통일장이론은 당시 이를 뒷받침하는 충분한 물리학 지식의 부족으로 실패했다. ... ...
- ② 과학으로 풀어본 X파일의 실체 : 예시력과학동아 l1997년 07호
- 미래로부터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아인슈타인이 제안한 특수상대성이론에 따른다면 시간을 측정하는 것은 관찰자의 속도에 종속돼 있다. 만약 웜홀의 끝이 빛의 속도로 움직이고, 다른 쪽이 이보다 천천히 움직인다면, 양끝의 관찰자는 서로 다른 시간 안에 있게 된다 ... ...
- 안경과학동아 l1997년 07호
- 반사될 수 있도록 만든 반사 코팅렌즈는 스키 등 레저스포츠용 안경에 적용된다. 착용한 상대방 렌즈의 표면에 자신의 모습이 보이는 이 렌즈는 보통 굴절력이 없다. 이 외에도 요즘 사용되는 플라스틱 안경렌즈에는 흠이 생기지 않도록 표면에 경화 처리를 입히기도 한다.코팅을 한 플라스틱 렌즈는 ... ...
- 2. 현대 통일장이론의 최전선과학동아 l1997년 07호
- 그러나 이 이론은 시간과 공간의 기하학적 성질에 바탕을 두고 있어,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론처럼 물질과 시공의 관계를 분명히 밝히지 못한 결점을 갖고 있었다.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자연계의 물질은 그 성질에 따라서 두 종류(보존과 페르미온)로 나눌 수 있다. 빛을 기술하는 광자나 중력을 ... ...
- 사랑을 충동질하는 뇌분비물질들과학동아 l1997년 07호
- 누구를, 언제, 어떻게 사랑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주체는 마음이다. 그러나 일단 특정 상대를 선택한 뒤에 사랑의 감정을 느끼게 하는 역할은 뇌 안의 PEA나 엔도르핀 같은 화학물질이 떠맡는다. 요컨대 사랑은 정신문화의 소산임과 동시에 생물학의 문제인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생물학적 관점에서 ... ...
- 1. 인간을 이긴 컴퓨터가 전하는 메시지과학동아 l1997년 06호
- 아닌 연산기계일 뿐이어서,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경우의 수’를 찾았다. 상대방의 취약점을 찾아 공격하는 카스파로프와 달리 체스판의 위치에 대해 ‘사고’한 것은 아니란 얘기다.많은 전문가들은 사고의 영역은 아직도, 그리고 앞으로 오랜 시간이 지나도 사람만이 가능할 것으로 ... ...
- 4륜구동의 비밀은 힘나누기과학동아 l1997년 06호
- 부품이 늘어나 그만큼 가격이 올라갈 수밖에 없으며, 차량의 중량이 증가해 연료소비도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이다.만화 영화 뽀빠이에서 유래세계 최초의 4륜 구동방식 차는 1902년 폴란드에서 자동차 경주 참가를 위해 만들어졌다. 금세기 초의 자동차 경주는 요즘의 인디카나 포뮬러와 달리 주로 ... ...
- 2. 인간과 기계의 두뇌 싸움 역사과학동아 l1997년 06호
- 인간과 컴퓨터의 공식적인 대결이 시작됐다.이후 20년 동안 컴퓨터 체스는 인간의 상대가 되지 못했다. 그러나 1980년대에 접어들어 슈퍼컴퓨터로 중무장한 체스프로그램들은 기능을 꾸준히 강화한 끝에 1988년 카네기멜론대학 연구원들에 의해 개발된 ‘딥소트’(Deep Tho-ught)는 인간 ‘고수’와 ... ...
- 2. 공개와비밀의 조화, 현대암호의 출현과학동아 l1997년 06호
- 비밀번호를 넣어야 문서를 읽을 수 있다.그러나 현대 사회에 들어서 불특정한 다수를 상대로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일이 잦아지기 시작하자 상황이 달라졌다. 예를 들어 컴퓨터 통신 상에서 물건을 파는 전자상거래를 생각해보자. 파는 사람은 고객들과 개별적으로 일정한 암호를 정해 물건을 ... ...
- 현대과학에서 풀리지 않은 숙제들과학동아 l1997년 06호
- 이빨은 앞니에 비해 옆니와 어금니가 크다. 머리용량은 4백-5백30cc 정도. 머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얼굴을 지니고 있다. 키는 1-1.5m, 몸무게는 27-45kg 정도. 남녀 사이에 성에 따른 차이가 커서 남성이 여성보다 몸집이 크다.호모속은 1758년 카를로스 린네가 살아있는 인류를 분류하기 위해 처음으로 ... ...
이전3073083093103113123133143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