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뽀로로가 이등신인 이유는?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받으면 도파민이 분비되기 때문에 기분이 좋아진다는 사실도 추가로 발견했다. 코흐
박사
는 사람이 오랫동안 동물과 함께 살며 특정 동물에 반응하도록 잘 분화된 뇌를 갖고 있는 것은 당연하다며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9월 13일자에 실렸다.최근 사람들 사이에 ... ...
과학으로 지은 뜨끈뜨끈 오곡밥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들어 있고, 비타민과 무기질도 풍부하답니다. 김성수 (한국식품연구원 공정기술연구단
박사
)"우주 식량은 물만 부으면 5분 안에 원래 상태로 돌아와 바로 먹을 수 있어야 해요. 오곡밥에 들어 있는 곡식은 각각 익는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크고 딱딱한 곡식을 잘게 쪼개는 등의 처리를 해서 만들면 ... ...
Part2. 마법의 양탄자, 차세대 도시의 공통점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선체가 붕 뜨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미국 프린스턴대 전기공학과 노아 재프리스
박사
팀은 이런 원리를 이용해 두께 30μm의 얇은 플라스틱 쿠션(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과 에폭시)으로 마법의 양탄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양탄자 안에 전류를 물결처럼 흘려보내면 공기파도가 앞에서 뒤로 ... ...
Part5. 원초적인 더러움, 똥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실패해 온 경우도 있다고 한다.펭귄이 똥을 멀리 쌀 수 있는 이유베노 메이어 로코우
박사
는 펭귄이 똥을 싸는 모습을 유심히 관찰했다. 어떻게 저렇게 멀리 쌀 수 있는지를 밝혀내기 위해서다. 펭귄은 똥을 쌀 때 둥지 가장자리로 뒤뚱뒤뚱 걸어가서는 몸을 앞으로 가볍게 숙였다가 뒤로 쭉 ... ...
초파리의 구충제는 ‘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초파리 애벌레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0.02%까지 올라간다. 숙취를 겪는 것이다. 쉬렌키쉬
박사
팀은 초파리 애벌레가 마치 ‘숙취로 고생할 것인가, 기생충 때문에 죽을 것인가’를 놓고 고민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커런트 바이올로지’ 2월 16일자에 실렸다 ... ...
[hot science] 그 위성은 왜 죽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것이다. 그렇다면 다른 행성의 고리도 행성이 위성을 흡수하고 남은 흔적일까. 아직 카눕
박사
의 가설은 토성에만 적합한 것으로, 다른 행성에도 이 모델을 적용할 수 있는지는 더 확인해봐야 한다. 천체를 죽여 고리를 만든 범인을 찾는 데는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못하고 있다.힘 센 장사나 10살 소녀나 구기는 힘은 거기서 거기롭코브스키는 1996년
박사
학위를 받고 대학을 떠났다. 하지만 그를 지도한 위튼 교수는 구겨짐에 대한 연구를 꾸준히 하고 있다. 가장 흥미를 끈 연구는 2002년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발표된 것이다. 핵심은 힘 센 장사나 10살 소녀나 ... ...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대해 연구 논문을 쓴다. 대학원생은 석사와
박사
각 과정마다 논문을 완성해야 한다. 석·
박사
학위 논문은 논문 제출자격시험에 합격하는 등 몇 가지 자격요건을 만족하면 낼 수 있다. 그리고 논문 심사를 거친다. 논문의 수준이 충분히 높으면 학위를 받을 수 있다.7 취업을 선택하면요?건축학과 ... ...
“실패는 신이 주신 선물”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기적의 귀환’이라며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나중에 알았는데, 젊은 시절 이토가와
박사
가 설계한 일본 전투기 이름이 바로 ‘하야부사’였다. 우연치고는 너무나 기막힌 우연이었다. 지금도 놀랍다. 아사다 부장은 또 ‘국산화(독자적인 일본 기술)’를 이룩하려는 과학자들의 노력이 오늘날 ... ...
Part1. 이 걸 먹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쓴
박사
논문아무리
박사
논문 쓰기가 어렵다 한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의 스터빈스 퍼스
박사
만 할까. 그는 황열병이 사람을 통해 전염되지 않는 것을 밝히기 위해 환자의 토사물은 물론, 피와 땀, 오줌을 먹어가며 논문을 썼다.주로 적도지방에서 발생하던 황열병이 1804년 무렵 미국 남부에서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