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표
의도
취지
표적
대상
동기
비젼
d라이브러리
"
목적
"(으)로 총 3,704건 검색되었습니다.
3. 미사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수 없을만큼 낮은 고도(15m 이내)를 유지하며 난다. 적국의 도시나 주요 전략기지파괴가
목적
인 토마호크는 앞서 지적한 대로 TELCOM방식으로 유도된다. 이번 공격에서 이라크의 주요 전략거점의 지형도를 만들어내는데는 중동상공의 미국 통신위성 인텔새트의 도움도 톡톡히 받았다. 토마호크에는 ... ...
1. 컴퓨터음악의 역사-전위음악에서 대중화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960년대 중엽 이후 전자음악합성기(신서사이저)는 꾸준히 발전해왔다. 음악적인 음발생을
목적
으로 한 이 전문기기의 발생음과 그 처리방법은 음발생이란 점에서는 컴퓨터를 능가했다. 그러나 이 기기는 음의 데이터를 간직했다가 다시 호출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이러한 요인이 컴퓨터를 ...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미국의 분자생물학 연구실에서는 항시 사용되고있다. 이 유전자재조합기술이 상업적인
목적
을 띄고 인슐린등의 유용한 단백질의 대량생산에 이용될때 유전공학에는 단순한 유전자조작기술이 아닌 공학으로서의 의미가 부여된다.둘째로, 1970년대 후기에 영국의 프레데릭 생거와 미국의 W. 길버트가 ... ...
침묵의 바다를 깨우는 로봇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않고 강해 심해의 압력에도 찌그러지지 않는다.현재는 수천대의 로봇이 상업적인
목적
으로 전세계의 바다에서 활약하고 있지만 초기의 로봇은 거의 전적으로 군대에서만 사용됐다. 1960년대 초반 해군 주도하에 최초로 개발된 심해용 로봇은 TV카메라 정지사진 카메라 음향시스템 집게등을 갖추고 ... ...
노출시간과 필름의 감광속도에 주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사진은 일반적으로 감광도가 빠른 필름을 많이 사용하게 되지만, 찍고자 하는 대상과
목적
에 따라 신중히 선택해야 한다. 왜냐하면 감광도가 큰 필름의 사진을 현상해보면 사진의 표면이 인물사진과 같이 깨끗하지 못하고 거친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또 이러한 필름으로 노출을 장시간 요하는 별의 ... ...
2. 퍼스널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대포의 탄도계산을
목적
으로 설계된 계산기였기 때문에 전쟁이 끝난후 컴퓨터는 다른
목적
으로 발달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주로 미국정부의 회계 및 세금계산에 사용됐는데 민간기업에서의 이용이 활발해짐에 따라 컴퓨터의 시장규모는 날로 확대되었다. 과학기술의 발달은 컴퓨터의 성능을 ... ...
남북과학기술교류 물꼬트는 한국의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이 지역 당사국간의 공동연구를 추진하기로 합의한 데서 비롯됐다.동해와 황해개발을
목적
으로 한 이 학술회의에 87년과 88년에는 한국 중국 일본 미국만이 참여했으나 89년 소련 나홋카시(市) 회의부터는 소련과 함께 북한대표도 참석하기 시작했다.허박사는 "북한관계자들의 남한에 대한 ... ...
「컴덱스90」을 통해 드러난 91년 컴퓨터 유망상품 7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비디오 음향 문자 정보 등)을 통합하여 제공하는 것으로서 앞으로 컴퓨터활용의 중요한
목적
이 될 것이다. 멀티미디어는 특히 학습효과가 뛰어나다.비디오윈도스를 이용하면 주식시세를 보고 주식을 팔고 사는 통신 소프트웨어에서 TV 뉴스를 볼 수 있고, 어린이를 위한 동물 비디오와 같은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그간의 북한연구성과를 들어보도록 하죠.북한, 식물지 펴내마훈카-제가 학술조사의
목적
으로 북한 땅을 밟은 것은 지난 1972년이었습니다. 2차대전 이후 양국간 최초의 생물학 교류였던 셈인데 사실 헝가리는 19세기부터 우리와 생물지리학적으로 관련이 깊은 동유럽 소아시아 지역의 생태를 연구해 ... ...
「통신개방」시험대에 오른 국내 DB산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본격 온라인DB시대를 열었다.현재 국내 DB제작기관은 1백40여군데지만 대부분 자체이용을
목적
으로 하고 있어 상용DB를 제작하는 곳은 47개소다. 이용가능한 DB수는 국내제작 DB가 68개, 해외DB가 51개로 파악되며 DB이용자의 수는 개인과 기관을 합쳐 3만~5만 정도로 추산된다. 1988년 국내 DB서비스관련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