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양
해양
망망대해
바다
원
원양
넓은 바다
d라이브러리
"
대해
"(으)로 총 8,188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꿈은 내가 지킨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즐거운 생물학을 가르치고 싶다면 사범대나 교대에 가면 돼. 공부하다 보니 동물에
대해
관심이 생긴다면 수의학과에 갈 수 있지. ‘요즘 보니 신종 바이러스 때문에 동물들이 죽는데 내가 해결하고 싶다’ 그러면 예방의학을 공부할 수도 있고 바이러스를 연구해도 되지. 굶어 죽지 않아.”“저 ... ...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 “제올라이트 연구로 사이언스 10대 성과에 뽑혔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열린 한 학회에 갔다가 미국의 화학회사 모빌이 만든 MCM-41이라는 실리카 다공성 물질에
대해
알게 됐다.“이 물질에 백금 나노입자를 넣어 구조를 분석해볼까 했는데 MCM-41을 구할 수가 없더군요. 고민을 하다가 저희가 직접 합성해보기로 했습니다.”물리화학자로 구조분석만 해온 유 교수가 다공성 ... ...
원시인은 식인종?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잣대로 이들을 ‘식인종’이라 부르며 심판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우리는 인류의 과거에
대해
고고학과 고인류학이 말해주는 내용 이상의 결론을 내릴 수는 없습니다. 식인 풍습은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그들을 식인종이라고 부를 수는 없습니다 ... ...
포스텍에 대한 열망을 보여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아닌 ‘포스텍 빠’. 그만큼 다솔 양에게 포스텍은 간절한 목표였다. 그래서 포스텍에
대해
혼자 많은 조사를 했다. “고등학교 다닐 때 포스텍 주소를 외우고 있었다”며 “조사를 하면 할수록 더욱 오고 싶다”는 생각이 강해졌다고 한다. 포스텍의 무엇이 그렇게 좋았냐고 물으니 다양한 장학금 ... ...
미션 임파서블! 월-E의 큐브 대작전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원래의 정육면체 면의 가운데 있는 정육면체를 도려 낸다. 새로 생긴 작은 정육면체에
대해
앞에서 했던 과정을 무한히 반복하면 정육면체 내부에 크고 작은 정육면체 구멍이 뚫린 도형이 완성된다. 이것이 멩거스펀지다.멩거스펀지는 오스트리아의 수학자 칼 멩거가 1926년 만든 도형으로, 표면적은 ... ...
전열기와 워렌 버핏의 공통점은?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2011년 12월 31일 국회에서 한국판 버핏세가 통과됐다. 3억 원을 넘는 소득에
대해
세율을 35%에서 38%로 올리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3억 2000만 원이 과세 표준인 사람은 이전에 9710만 원이던 세금이 9770만 원으로 60만 원이 늘어난다.버핏세는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다. 최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 ...
수와 식, 겁내지 말고 쪼개 봐!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차례로 배우기 위해서죠.다시 말해 (소)인수분해를 잘하려면, 먼저 약수와 배수에
대해
잘 알아야 합니다. 약수와 배수는 수의 특성을 이해하는 가장 큰 도구거든요.약수와 배수의 성질은 생활 속에서도 알게 모르게 사용되고 있답니다. 2011년을 신묘(辛卯)년, 2012년을 임진(壬辰)년이라고 부르는 ... ...
미션! 공룡의 흔적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대해
더욱 널리 알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할 거랍니다.장예원 기자 : 저도 앞으로 공룡에
대해
열심히 공부할 거예요. 그럼 제가 관심 있는 지질학을 배우는 데도 분명 많은 도움이 되겠죠?송효준 기자 : 어릴 때는 공룡 이름을 외우는 것이 그저 좋았어요. 하지만 앞으로는 화석을 보고 공룡을 ... ...
유리로 다시 태어난 바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것을 찾으세요. 저는 어릴 때부터 식물이 자라고, 무지개가 생기는 것 등 자연현상에
대해
궁금한 것이 많았답니다. 그렇게 관심을 가지다 보니 예술가가 되었어요. 친구들도 저처럼 좋아하는 것을 발견하고, 최선을 다한다면 많은 사람이 친구들의 꿈이 이루어지도록 도와 줄 거예요 ... ...
무시무시한 독감, 수학으로 막는다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않았다. 전염병이 퍼지는 원인으로는 너무 사소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이에
대해
복잡계 연구자들은 새로운 설명을 내놓았다. 이런 사소한 변화가 임계점 바로 아래 있던 회복율과 감염율의 비율을 임계점 위로 올렸고, 그 결과 전염병이 급격히 확산됐다는 것이다.마당발 막아 전염병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