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여성 과학자 찾기가 하늘의 별 따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이은 3번째 수상자예요. 무려 55년 만의 일이죠. 노벨 화학상을 받은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의 프랜시스 아널드 교수 역시 여성 과학자로서 역대 다섯 번째, 햇수로는 9년 만의 화학상을 받았답니다. 도나 스트릭랜드 교수는 노벨상 수상 직후의 인터뷰에서 “앞으로는 더 많은 여성 물리학자들이 ... ...
- 여성 과학자가 못 갈 곳은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명에 관한 이야기를 썼답니다.Q여성 과학자는 어떻게 찾으시나요? 우선 과학상 수상자나 대학교의 교수 목록을 찾아봐요. 멋진 연구에 관한 이야기를 들으면 구글에 검색해보기도 하죠. 여성이나 유색 인종의 경우 보통은 위키피디아에 설명이 실려있지 않은 경우가 많답니다.제가 하는 일이 알려진 ... ...
- [지구를 위한 과학] 고기를 만나러 강으로 갈까나~♪♬ 성무성, 김정훈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점 찍기, ➍측정 데이터 1000만 개체, ➎물고기 지느러미 DNA 표본 만들기. 김 내년부터는 대학원 실험실에서 민물고기 유전적, 생태적 연구를 할 예정이에요. 물고기를 지키고 싶어도 정식 연구자가 아니라 나서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거든요. 당당하게 물고기를 지킬 수 있는 연구자가 될게요 ... ...
- [과학뉴스] 전세계 과학인의 축제, 2018 노벨상 발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노벨화학상 수상자는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프란시스 아놀드 교수, 미국 미주리대학교 조지 스미스 교수, 영국 분자생물학연구소 그레고리 윈터 연구원이에요. 살아있는 생물을 화학적 공법으로 변화시켜 사람이 원하는 물질을 얻는 기술을 개척한 공로를 인정받았지요. 효소가 자신에게 ... ...
- 고인류, 식인 풍습의 이유를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내뿜는 페로몬은 약 2.4ng으로, 평소엔 사람이 알아채지 못해요. 그런데 스웨덴 농업과학대학교 연구원 피터 위츠겔은 한 와인 전문가에게서 와인에 초파리가 빠지자 맛이 변했다는 이야기를 들었어요. 위츠겔은 곧장 실험해 봤지요. 와인 전문가들은 초파리 암컷을 5분 동안 빠트린 와인과 순수한 ... ...
- 뜨거워지는 바다, 강력해지는 태풍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0km를 넘는 초강력 태풍도 충분히 발생할 수 있고 예측하고 있지요. 게다가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제임스 코신 교수는 2014년, 북반구 태풍이 최대 풍속을 나타내는 위치가 1980년대 이후 10년에 약 53km씩 올라오고 있다고 분석했답니다. 즉, 이전보다 태풍의 활동범위가 넓어지면서 더 많은 지역까지 ... ...
- 태풍이 지구에 남긴 상처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강과 바다로 흘러들어가 수중 생태계를 어지럽힐 수 있다고 얘기했지요. 이에 듀크대학교 연구팀은 침수에 의한 환경 오염을 막을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답니다 ... ...
- 이그노벨상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사람을 따라할까, 사람이 침팬지를 따라할까? - 가브리엘라 알리나(스웨덴 룬드대학교 인지과학연구소) 침팬지가 사람을 따라하며 노는 모습을 우연히 관찰한 것이 계기가 되어 이 연구를 하게 됐어요. 총 21일, 52시간 동안 스웨덴 푸르비크 동물원에 침팬지를 보러 온 만 여명의 관광객과 5마리의 ... ...
- 내가 독도에 갈 확률은 얼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위치를 차지한다’는 ‘인류 원리’를 제안했어요. 하지만 반대로 1993년,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우주물리학자 리처드 고트 교수는 코페르니쿠스의 원리를 지지하며, 인류가 특별하지 않은 때에 존재한다는 것을 전제로 인류의 지속 기간을 계산하기도 했지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 ...
- [화보] 독도의 날 기념 독도엔 누가 살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독도 사랑은 독도를 아는 것에서부터!” - 김지현(군산대학교 독도해양생물생태연구실 박사) 김지현 박사님의 카메라에 담긴 독도의 모습은 하루 아침에 완성된 게 아니에요. 독도 바닷속으로 압축 공기통을 매고 들어가신지 무려 18년이나 되었답니다. 김 박사님은 왜 이렇게 오랜 ... ...
이전3073083093103113123133143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