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身土不二(신토불이)는 미신인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강산이 열 번 변하는 동안 우리나라 농업과학기술은 눈에 띄게 발전했다. 하지만 아직 갈
길
이 멀다. 농민은 줄고 시장개방의 목소리는 높아간다. 우리는 무엇으로 승부해야 할까. 혹시 신토불이라는 색안경으로 현실을 바라보는 건 아닐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身土不二(신토불이)는 ... ...
1. 신토불이는 미신인가? 과학인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기능이 많이 달라졌다. 예를 들어 백인종과 황인종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소화관의
길
이다. 영양가가 높은 육류에 의존하는 백인의 소화관은 영양가가 낮은 곡물이나 채소에 의존하는 황인종보다 짧다. 이런 차이가 사는 장소의 땅이나 식생활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 신토불이의 섭리가 한 치의 ... ...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찾으려고 했으나 실패했다. 그러다가 2004년 9월에 일본 과학자들이 수심 900m에서
길
이 8m의 살아있는 대왕오징어 사진을 찍는데 최초로 성공했다. 바다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크고 깊으며 우리가 바다에 대해 알고 있는 지식은 빙산의 일각이다. 그 넓고 깊은 바다에 어떤 괴물이 있을지 ... ...
도로운전지원시스템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주고받을 수 있어 교통사고가 크게 줄어들며, 출퇴근
길
정체를 줄여 여유로운 운전을 즐
길
수 있다. 특히 교차로 등 상황 판단이 어려운 장소에 있을 때 우회 경로를 알려주는 등 고령화 시대에 노인 운전자의 안전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보이지 않는 차량까지 알려준다AHS는 운전자에게 다양한 ... ...
태권V 지하기지냐, 수중기지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내려앉지 않으려면태권V의 무게는 중형차 약 1000대에 해당하는 1400톤으로 가정했다.
길
이 74m에 360인승인 보잉747이 연료를 포함해 약 360톤이 나간다는 점을 감안하면 태권V는 상당히 무겁다. 태권V 무게 때문에 기지가 내려앉지 않을까.태권V가 서있을 때 한쪽 발에 700톤의 하중(무게)이 지면에 ... ...
모로 가도 학교만 가면 된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갈림
길
에 도착하는 경우의 수는 당연히 1이다. 여기서 세 갈래
길
이 있는데, 다음 갈림
길
에 도착하는 경우의 수는 각각 1, 3, 1이다(그림 1). 이런 식으로 수를 써넣으면 63이라는 답이 나온다(그림 2). 필자가 고등학생 때 이 풀이를 친구들에게 얘기했더니 대부분의 반응이 “그런 짓 왜 해? 그냥 ... ...
미래형 '헬리플레인' 영국 판보로 에어쇼에 오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정도의 작은 DNA 조각)이라는 조각으로 나눈 후, 이들의 위치를 표시한 지도 DNA가 워낙
길
기 때문에 염기서열을 분석할 수 있는 기본단위로 나눠 만든 지도다프로모터는 DNA로부터 RNA를 합성하는데 관여하는 여러 단백질들이 인식하는 유전자 부위다 아미노산 부호화 부위의 앞쪽에 위치하며 전사가 ... ...
4. 다시 쓰는 農事直說(농사직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인재를 제대로 키워내고 첨단 과학기술을 적극 수용해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
길
뿐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身土不二(신토불이)는 미신인가 1. 신토불이는 미신인가? 과학인가? 2. 우리 쌀은 좋은 것이야 3. 우리 농작물로 만든 위대한 밥상 4. 다시 쓰는 農事直說(농사직설 ... ...
잠든 무덤에서 깨어나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것은 참으로 반가운 소식이다. 드라마의 인기가 북방사에 대한 연구로 계속 이어지
길
기대해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 TV는 미래를 싣고 2. 모든 TV는 디지털로 통한다 TV 화면 비율이 4:3이었던 이유 잠든 무덤에서 ... ...
똑똑한 인공위성 만들기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자신감을 내비쳤다.그는 1981년 서울대 항공공학과에 입학한 뒤 16년 동안 오직 한
길
만 걸어왔다. 항공우주공학은 규모가 크고 여러 요소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혼자서 연구하기 어려운 분야다. 연구 성과도 더디게 나타난다.하지만 방 교수는 “어려우니까 도전하고 싶다”고 말한다.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