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준"(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라이트 형제의 인류 최초 동력 비행기과학동아 l2003년 12호
- 일정한 고도에서 볼 수 있는 북극 부근의 별 몇 개를 이용한다 이것이 북극광도계열 이를 기준으로 하면 일등성의 밝기는 1촉광의 빛을 107km 떨어진 곳에서 보는 밝기와 같다 그러나 이보다 밝은 별은 마이너스로 표시한다 가령 태양은 -267등급, 보름달은 평균 -125등급이다 포유류의 우제목(偶蹄目 ... ...
- 괴물처럼 거대한 태양 폭발과학동아 l2003년 12호
- 하나인 바이폴라 부호를 생략해서 말할 때도 있다 이에 반해 펄스신호의 경우 0볼트를 기준으로 +전압이나 -전압 한쪽에만 신호가 있는 것을 단극성 혹은 유니폴라(unipolar)라고 한다컴퓨터로 제어되는 중계국을 통해 공중전화회선과 접촉하는 휴대용 무선전화 시스팀 이런 낮은 출력의 무선이 ... ...
- 최첨단 시스템 장착된 2004년 렉서스과학동아 l2003년 12호
- 때는 정배수성을 의미한다 이 배수성을 나타내는 개체가 배수체인데 일반적으로 2배체가 기준이 되므로 1배체를 반수체, 2배보다 많은 것을 배수체라 하고 배수성을 나타내는 종을 배수종이라고 한다열전자의 방출에서 양극전위를 높이면 전류가 완전히 포화되지 않고 조금씩 증가하는 현상 1915년 ... ...
- 자연에서 열 얻어 냉난방하는 열펌프과학동아 l2003년 12호
- 성장세에 있다. 열펌프 시장은 북미가 최대다. 미국의 경우 공기열원 열펌프는 2000년 기준 연간 냉방전용이 6백만대, 냉난방겸용이 1백50만대에 이른다.1990년대 이후 유럽도 환경보호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면서 열펌프의 주요 시장이 되고 있다. 실제로 열펌프 시장은 1990년대 이후 상당한 증가를 ... ...
- 쥐라기 공원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과학동아 l2003년 12호
- 어찌됐든 진화와 진보의 관계는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무엇을 진보의 기준으로 삼을 것인지, 복잡성의 증가인지, 아니면 적응성의 증가인지, 그것도 아니면 또 무엇인지….사회자: 예, 잘 정리를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것으로 다윈의 식탁 넷째날을 마무리하겠습니다. 두분 교수님을 비롯해 ... ...
- 따돌림의 고통과학동아 l2003년 11호
- 구면을 흠내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아베가 제창한 정밀측정의 원리 물체의 길이를 기준척도와 비교해 측정할 때는 물체와 척도를 일직선 위에 나란히 나열해야 한다는 것이며 콤퍼레이터의 원리라고도 한다 측정기 제작에서 피할 수 없는 결함 이 측정 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로 하는 데 적용한다 ...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과학동아 l2003년 11호
- 체계가 단지 서양의 부활절 날짜를 맞추기 위해 정해졌을 뿐이며, 태양과 달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삼은 우리의 음력(태음태양력)이 훨씬 합리적이라는 주장을 정부와 대중매체를 상대로 강력하게 제기했습니다”.그의 ‘과학적’ 근거제시 덕에 1989년부터 음력설은 3일 연휴로 지정되면서 민족 ... ...
- 2010년 우주정거장에 한국인 보낸다과학동아 l2003년 11호
- 준비를 시작했다. 일본 우주개발사업단(NASDA, 현재 JAXA)과의 협력을 통해 우주인의 선발기준과 훈련에 대한 조사를 이미 수행했다.우주인의 선발은 여러 국가의 예를 볼 때 전 국민적인 관심을 끄는 이벤트로써 탑승자체에 더 중점을 두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이보다는 실질적인 임무를 ... ...
- 진화는 1백m 경주인가 넓이뛰기인가?과학동아 l2003년 11호
- 15 정도로 두배 이상 느리죠. 이렇게 템포에 차이가 나는 이유는 한국음악에서는 템포의 기준을 ‘호흡’에 두는 반면 서양 음악에서는 ‘맥박’에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 호흡에 맥박은 수십번도 뛸 수 있지 않습니까? 맥박이냐 호흡이냐는 바로 척도의 차이일 수 있습니다.마찬가지로 한눈금의 ... ...
- 1 한국 노벨상 5-15년내 나온다과학동아 l2003년 11호
- 다수 포진하고 있다. 서울대 16명, 포항공대 13명, 한국과학기술원(KAIST) 9명의 교수가 이 기준을 통과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용지수 1천회 이상의 서울대 교수 평균은 물리분야가 2천3백69회, 화학분야가 1천6백23회였다. 이 사실을 두고 노벨상 수상자의 논문 인용지수의 절반에도 못 ... ...
이전3073083093103113123133143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