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해
검토
해석
평가
코프롤라이트
비교분석
비교
d라이브러리
"
분석
"(으)로 총 5,442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몸에 딱 맞는 입체음향 기술
과학동아
l
200605
소리가 어느 곳에서 왔는지 추적할 수 있는 귀를 가진 로봇은 소리의 방향과 세기를
분석
해 주인이 부르는 곳으로 갈 것이다. 이제 현관에 들어서며 로봇을 부르거나 목욕을 하며 시원한 주스를 로봇에게 부탁할 수도 있지 않을까.어릴 적부터 로봇을 만드는 것이 꿈이었던 박사과정 황성목 연구원은 ... ...
월드컵 8강서 브라질과 승부차기?
과학동아
l
200605
방식으로 치르는 16강 이후는 무승부일 때 승부차기로 승패가 결정된다. 연구팀이
분석
한 38경기에서는 승부차기를 벌인 경우가 없기 때문에 승부차기 결과까지는 예측할 수 없다.만약 승부차기에서 이겨 8강에 진출한다 하더라도 한국의 8강 상대는 브라질이 될 가능성이 높다. 8강에서 한국이 이길 ... ...
지문으로 흡연자 잡아낸다
과학동아
l
200605
용의자 찾기가 쉬워진다”고 말했다. 영국 동안글리아대의 데이비드 러셀 교수도 지문
분석
법을 이용해 흡연자의 지문에는 코티닌 성분이 함께 묻어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그는 코티닌과 반응하는 물질을 입힌 금나노입자에 형광단백질을 붙인 다음 이 입자가 녹아있는 용액을 지문에 묻히는 ... ...
발해인은 살아있다
과학동아
l
200605
유전자풀을 형성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이번 우데게의 유전자
분석
작업은 세계에서 최초로 시도된 것이다. 이로써 우데게의 기원을 찾고 발해의 후손을 추적하는 작업에 한 발짝 더 다가갔다. 이 연구는 앞으로 더 밝혀질 인문과학적인 사료와 함께 우리 민족의 기원과 발해의 ... ...
특집2. 얼굴 찌푸리지 말아요
과학동아
l
200605
시세이도에서는 나이에 따라 일본 여성의 얼굴 윤곽이 어떻게 변하는지 독특한 방법으로
분석
했다. 무아레(moire) 카메라라고 하는 특수 카메라로 얼굴 정면을 촬영하면 지형도의 등고선처럼 같은 높이를 연결한 무아레 선이 나타나는데, 이는 고고학에서 유골의 생전 얼굴을 유추하는데 활용하는 ... ...
기획1. 학습콘텐츠가 살아 숨쉰다
과학동아
l
200605
확인해 낯선 침입자를 막을 수 있고 ‘똑똑한 변기’에 앉아 용변을 보면 대소변을
분석
해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산소처럼 보이지 않게 사용자를 지원하는 셈이다.미래의 지능형 환경은 사람에게 거부감이나 불편함도 주지 않아야 한다. 사물에 숨어 있는 센서나 칩이 주변환경이나 ... ...
교육 현장 속으로
과학동아
l
200605
남학생들이 스포츠 활동이나 컴퓨터 오락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입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
했다.대기업 진출 공학도가 유리한국교육개발원은 2005년 취업통계를 조사한 결과 대기업에 가장 많이 진출한 경우는 공학 계열의 대학생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4년제 대학생 중 2005년 취업한 전체 ... ...
바닷속 누비는 우리 수중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4
란 뜻이지요. 해미래는 바닷속 6000m까지 들어가 심해 생태계와 광물자원탐사, 지형
분석
, 침몰선 탐사 등 다양한 일을 할 거랍니다. 해미래는 원격 조정 잠수정(ROV)이라는 종류의 수중로봇으로 바다 위에서 해미래를 조정해요. 이외에도 해미래를 안내해 주는 해누비와 조정이 없어도 알아서 상황을 ... ...
우리의 적 비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4
찾거나 어린이 비만 캠프에도 참여해 보세요. 좋아하는 음식과 싫어하는 음식을
분석
하고 적당한 운동이 무엇인지 전문가의 진단을 받을 수 있어요. 또 자칫 소극적으로 변할 수 있는 성격을 바꾸고, 신나는 단체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줄 거예요. 먼저 자신의 생활 습관을 냉정하게 평가할 수 ... ...
호박 속 거미의 증언
과학동아
l
200604
발트해와 카리브해 도미니카 지역에서 발견된 호박 속에서 671종의 거미를 관찰했다.
분석
결과 발트해 지역의 거미가 도미니카 지역의 거미보다 더 큰 거미줄을 치는 종으로 확인됐다.맨체스터대 데이비드 펜니 박사는 3000만년 전 “거미줄의 폭이 좁은 도미니카 지역의 나무는 줄기가 가늘고 길며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