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지함
정색
중대함
뉴스
"
심각함
"(으)로 총 3,379건 검색되었습니다.
[2015 ‘세계 빛의 해’ 출범식] “학문을 넘어 세상을 빛내길”
과학동아
l
2015.01.23
19일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열린 ‘세계 빛의 해’ 출범식 현장. 노벨 과학상 수상자 5명을 비롯해 전 세계 85개국 1500여 명이 모여 빛의 해 지정과 광학 기술 발전의 의미를 되새겼다. - 레미 메예르(Rémi Meyer) 제공 “노벨상이 광학 분야에서 쏟아지는 데는 분명 이유가 있습니다. 21세기 ... ...
얼마나 먹어야 안전할까… 알레르기에도 ‘최솟값’ 있다
2015.01.14
직장인 A씨는 회사 동료들과 횟집에 갈 때면 가려먹어야 할 음식이 많다. 새우 알레르기 때문에 새우구이나 초밥 위에 올라가는 초새우는 물론, 새우가 들어간 매운탕 국물도 A씨에게는 공포의 대상이다. 새우와 관련된 음식물을 조금이라도 먹었다간 입술이 퉁퉁 붓는다. 눈 딱 감고 몇 점 집어먹 ... ...
추위 속 음주 저체온증 위험, 심각할 경우 술에 취한 듯한 ‘이상 행동’
동아닷컴
l
2015.01.14
[동아닷컴] ‘추위 속 음주 저체온증 위험’ 추위 속에 술 한 잔으로 몸을 녹이려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술을 마셨을 때 몸이 풀리는 듯한 느낌이 든다고 해서 실제 체온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다. 혈액이 피부 표면으로 몰려들어 피부 온도가 일시적으로 높아진 것일 뿐이다. 이는 결국 피부를 통 ... ...
[기고/박주헌]에너지개발정책 성과, 장부로만 평가 말자
동아일보
l
2015.01.13
[동아일보] 세계 각국은 에너지 수급 안정을 에너지안보라고 특별히 부르며 관리하고 있다. 특히 에너지의 96.9%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에너지안보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사실 한국은 에너지 정책의 최우선 목표를 에너지안보에 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한 달 전 쯤 어느 날 저녁 입술 주변이 약간의 작열감과 함께 간질간질했다. 이때 눈치를 챘어야 했는데 다음날 아침 일어나보니 작은 물집이 올라와 있었다. 단순포진(herpes simplex)이다. 몸이 피곤했는지 면역력이 약해져 잠자고 있던 헤르페스바이러스가 준동한 것이다. 필자는 몸이 좀 약한 편이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물리방정식은 실험과의 일치보다 구조의 미가 더 중요하다. - 폴 디랙 주간 학술지 ‘네이처’는 매년 마지막호에 그 해에 ‘화제가 된 10명’을 선정하는데, 지난 2011년 선정된 사람가운데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로즈 레드필드 교수는 좀 특이한 경우였다. 뭔가 획기적인 발견을 해서가 아 ... ...
70대 노인도 운동이 보약… 심폐질환 사망위험 절반으로
동아일보
l
2015.01.02
[동아일보] [동아일보 95주년 2015 새해 특집] [2015 건강 리디자인]70대는 100세 건강의 골든타임 우리의 신체는 시간이 흐를수록 기능이 떨어지도록 설계돼 있다. 그 때문에 나이가 들수록 더 많은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 노인들의 상황은 사뭇 다르다.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한 70대 노인들이 60대 ... ...
에볼라 백신 임상 1상 첫 통과
2014.12.30
위키피디아 제공 ‘안전성’과 ‘효과’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에볼라 바이러스 백신이 첫 번째 임상시험을 통과했다. 미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 알레르기 및 감염병 연구소(NIAD) 소속 줄리 레저우드 박사팀이 주도한 공동연구팀은 안전하면서도 백신으로서 효과가 있는 수단형 및 자이르형 ... ...
방선균에 대사공학 접목해 새로운 항생제 개발 시도
2014.12.28
iStockphoto 제공 병원균의 항생제 내성은 심각한 의료 문제가 됐다. 따라서 학계에서는 새로운 항생제를 발굴하기 위한 노력이 한창이다. 최근 이상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팀은 덴마크공대 노보 노르디스크센터 연구팀과 공동으로 방선균에 시스템 대사공학을 도입하는 방안을 ‘트렌 ... ...
‘21세기 흑사병’ 에볼라 1년… 7588명 사망, 1976년의 18배
동아일보
l
2014.12.26
[동아일보] 지난해 12월 26일 서아프리카 기니의 한 마을에서 한 아기가 고열과 구토 증세를 보였다. 아기는 이틀 뒤 피를 토하며 숨졌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이 두 살배기가 올해 전 세계를 ‘에볼라포비아’로 떨게 만든 서아프리카발(發) 에볼라 발병의 시작이었다. 1976년 아프리카 중부의 ... ...
이전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