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신경"(으)로 총 5,136건 검색되었습니다.
- "中 허젠쿠이 유전자편집 아기 뇌졸중도 안 생겨"동아사이언스 l2019.02.24
- 뇌졸중이 발생할 가능성도 낮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를 이끈 알키노 실바 UCLA 신경생물학과 교수는 "쥐와 사람은 유전자 기능이 비슷하므로 허 교수가 CCR5 유전자만 정확하게 없앴다면 디자이너 베이비도 뇌졸중 발생 확률이 낮을 것"이라면서도 "CCR5 유전자의 기능이 다 밝혀진 것이 ... ...
- 수억 개 세포가 빛을 단일 이미지로 보는 이유동아사이언스 l2019.02.24
- 보유해, 시각정보를 처리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수많은 시각정보가 망막신경절세포를 거쳐 형태와 대상 등을 인식할 수 있는 정보로 인식된다"며 "이 세포들을 거치면서 추출된 주요 시각 정보들이 결합돼 대뇌에서 통합적인 정보로 인식된다"고 말했다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진실을 대하는 인간의 속성 '라쇼몽 효과'2019.02.24
- 것이 아니라, 믿고 싶은 것을 봅니다. ※ 필자소개 박한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진화와 인간 사회에 대해 강의하며, 정신의 진화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행복의 역습》, 《여성의 진화》, 《진화와 인간행동》를 옮겼고, 《재난과 정신건강》, 《정신과 ... ...
- ‘중2병’인가, 우울증인가2019.02.23
- 세로토닌은 기분 조절, 수면, 근 수축, 식욕, 기억력, 혈액 응고반응 등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전달물질로, 우울증 환자의 뇌에는 이런 세로토닌의 양이 적습니다. 플루옥세틴은 뇌의 시냅스전 세포(presynaptic cell)에서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억제해 시냅스의 세로토닌 농도를 높여 시냅스후 수용체 ... ...
- ‘도파민 찍는 카메라’로 조현병·파킨슨병 조기 진단한다동아사이언스 l2019.02.19
- 점에 착안했다. 뉴로멜라닌은 신경세포 안에 점차 쌓이는데, 만약 파킨슨병처럼 신경세포가 손실되는 경우 뉴로멜라닌도 함께 사라진다. 연구팀은 뉴로멜라닌만 민감하게 관찰할 수 있는 MRI를 이용해 정상인보다 뉴로멜라닌이 과다한지, 부족한지 관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도파민이 과잉 ... ...
- [의학게시판] 분당차병원, 하지불안증후군 임상환자 모집 동아사이언스 l2019.02.18
- 분당차병원 전경 분당차병원 신경과에서 올해 6월 30일까지 ‘하지불안증후군 진단법 개발 및 심혈관질환 위험도 평가 임상시험’에 참여할 지원자를 모집한다. 만 ... 걸릴 위험을 예측하는 방법을 찾을 계획이다. 임상시험 참여를 원하면 분당차병원 신경과(031-780-5480)로 문의하면 된다. ... ...
- 내가 우울한 건 ‘장내 미생물’ 때문이야동아사이언스 l2019.02.18
- 질환이다. 경찰이 자신이 지켜야 할 시민을 오히려 공격하는 식이다. 이 병에 걸리면 신경세포는 속수무책으로 죽는다. 그런데 일부 장내미생물이 아미노산의 일부인 트립토판을 먹고 배출한 물질이 뇌로 가자, 뇌 속 면역세포의 활동을 줄이면서 염증이 억제됐다. 연구팀은 장내미생물을 바꾸는 ... ...
- 加연구팀, 젊은 뇌 만드는 약물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02.17
- 증상을 보이는 쥐에게 먹인 벤조디아제핀은 불안과 불면증 치료에 쓰이는 중추신경 억제 계열의 약물로 정신 안정제용 화합물이다. 약물을 복용시킨 쥐에게 미로를 빠져나오게 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기억력 감퇴증상을 앓고 있던 쥐의 기억력이 약물을 투여한지 30분만에 건강한 쥐의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마음의 우생학2019.02.17
- 편애해서도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 필자소개 박한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진화와 인간 사회에 대해 강의하며, 정신의 진화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행복의 역습》, 《여성의 진화》, 《진화와 인간행동》를 옮겼고, 《재난과 정신건강》, 《정신과 ... ...
- 눈깜빡임의 비밀…뇌 리셋·커뮤니케이션 연관 가능성동아사이언스 l2019.02.15
- 진아이대 교수에 따르면 눈깜빡임이 많을수록 상대에게 '친해지기 어렵다', '불신감', '신경질적'과 같은 인상을 주는 경향이 있다. 오모리 교수의 실험결과에 따르면 깜빡임 횟수가 적을수록 신뢰감이 증가하지만 너무 적으면 오히려 친해지기 어렵다는 인상을 주는 것으로 분석됐다. "1분에 12번 ... ...
이전306307308309310311312313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