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정점
꼭대기
최고조
최상
극도
관문
d라이브러리
"
정상
"(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신문구독 조사표를 작성해 보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원하는 결과로 만들어 준다. 자료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시스팀의 각 가능이 모두
정상
으로 확인되면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사람이나 이미 개발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사람들은 단지 컴퓨터 시스팀의 논리적인 동작만 이해하고 주로 자료가 컴퓨터내에서 어떻게 표현되어 있고 어떻게 ... ...
북한산의 4계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있다.정향나무의 탐스러운 꽃북한산의 능선을 따라서는 금마타리의 특산종이 자라고
정상
부근에 올라서면 바위틈에서 정향나무의 탐스러운 꽃이 향기를 뿜고 있다. 진달래와 철쭉꽃이 고개를 숙인 다음이어서 그런지 한층 더 아름답게 보인다.정향(丁香)이란 1개의 꽃을 옆에서 보면 정(丁)자처럼 ... ...
AIDS 왜 동성연애자에 많은가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된다.10. 노망증세AIDS 바이러스는 20~30대의 젊은이를 바보노인으로 바꿔버린다. 기억상실,
정상
을 벗어난 성격변화 등 보통 노쇠로 나타나는 증상이 생긴다. 이것은 AIDS 바이러스가 뇌에 침입했기 때문인데 의식불명이 되어 간다 ... ...
액정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세포표면이나 세포내 소기관은 수십A의 얇은 막으로 덮여 있는데 1970년 초 그 막이 액
정상
태의 분자층과 비슷한 구조를 가졌음이 알려졌다. 생체막은 친수기(머리)와 소수기(다리 2)로 되어있고 단백질이 작용하는 데 알맞는 장소를 제공한다고 생각된다. 즉 우리의 몸은 액정장(場)으로 구성된 ... ...
"정신적으로 강한 아이로 키우는 수밖에 도리없어"고3병의 대책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아동으로 키워지고 있는데에 커다란 원인이있다고본다. 그러면서 학교나 사회에서도
정상
적으로 청소년시기에 이루어져야할 사춘기의 변화에 대한 적응이나, 자아(Identity)의 확립과 같은 정서적인 면에의 고려는 거의없고, 오로지 주어진 과제만을 반복하여 높은 성적을 받아오고, 경쟁에 ... ...
기상정보시스템 주관예보체제를 극복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이동과 강수의 증감경향까지 예측 가능하게끔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관악산
정상
에 레이다관측소가 위치하여 서울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4백㎞내의 강우현상을 관측하고 있으나, 지형관계로 영동지방은 관측이 불가능하며 또한 제주도 남해해상의 태풍접근시와 같은 경우도 관찰영역 ... ...
PART7 복합재료 재료의 한계 넘는 앙상블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강화섬유 쌍방에 탄소원소를 사용한 카본카본복합재료이다. 이것의 강화섬유는 반결
정상
태의 탄소섬유이고, 기지재료는 통상 비정질(아모퍼스)의 탄소이다. 카본카본복합재료는 2천5백℃에서도 그 강도를 유지하여 우주왕복선과같은 대기권재돌입체의 노즈콘에 쓰이고 있다. 복합재료가 사용될 ... ...
PART4 인체를 닮아가는 인공장기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희소식이다. 이들은 현재 하루에 한번이상 인슐린주사를 맞아 혈중글루코스치를
정상
으로 유지하는 고통을 당하고 있다. 런던대학이 개발한 인공내분비췌장에는 랑게르한스섬(β세포가 들어있는 췌장세포의 무리)이 아미노산 폴리머와 해초에서 얻어지는 다당류 폴리머인 알긴산나트륨으로 된 ... ...
눈은 왜 육각형 모양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기형의 결정은 다른 빙정핵이 달라붙거나 가지의 비대칭발달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정상
결정형을 이루지 못해 발달된것이다.◇각주와 평판의 조합결정각주상결정의 윗면이나 밑면이 각판상이나 수지상으로 발달되어 생긴 결정이다. 각주상결정이 생길수 있는 대기층에서 판상결정이 생길수있는 ... ...
고성능 256KS램 개발 주역 김 창수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사업하는 법을 배워야겠지요."'마법의 돌' '산업의 쌀' 로 불리는 반도체. 미국이 일본에
정상
의 자리를 넘겨주었듯이 그 자리를 적어도 메모리분야에서는 우리도 한번 서볼 수 있지 않겠느냐는 조심스러운 결의를 다지는 김박사. 그의 도전적기질이 우리나라 반도체역사에 반드시 의미있는 자취를 ... ...
이전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