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자연
"(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연아 선수와 함께하는 2010친환경 동계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톤 이상의 사각형 콘크리트나 닻처럼 무거운 물체를 박아 건물을 지탱한다.DAY 2 숙소 생활
자연
의 에너지로 집 안을 채우다!드디어 숙소에 도착! 어라? 지붕에 잔디가 있네? 번쩍번쩍 태양전지판도 있고. 친환경 건축법으로 지어졌다더니~, 어디 꼼꼼히 한번 둘러 볼까?1 열은 잔디로 잡고현무암 등 ... ...
화석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게 바로 우리 고생대 화석이란 얘기는 들어 봤수? 지금부터 100년도 더 전인 1909년, 미국
자연
사박물관장이 캐나다 로키산맥근처에 있는 ‘버제스 셰일’이라는 퇴적층에서 여러 가지 이상한 화석들을 발견하면서 신기한 고생대 생물의 존재가 알려졌거든. 이 덕분에 초기 동물들의 진화 과정이 ... ...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①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어떤 공헌을 했는지 알아보자.과학은 수학을 이용하면서 경험으로만 이해하던
자연
을 객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실험을 해도 개인에 따라 다르게 보고 느끼던 것을 수학이라는 객관적인 도구로 기록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통계를 이용해 수많은 실험 결과를 보기 좋게 정리하고 원인과 ... ...
수학자? 과학자?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87년에는 ‘
자연
철학의 수학적 원리’라는 책을 펴냈다. 제목으로도 알 수 있지만 뉴턴은
자연
현상의 원리가 바로 수학이라고 생각했다. 이 책은 근대 과학에서 가장 중요한 책으로 꼽힌다.뉴턴은 반사망원경을 발명해 천문학에도 공을 세웠다. 반사망원경은 이전까지 쓰이던 굴절망원경에서 색이 ... ...
나누고 비교하는 분수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익숙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일까요? 다른 질문의 답은 모두
자연
수지만 12÷5의 해답은
자연
수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12÷5의 답을 구하기 위해선 분수와 같은 표현 방법과 유리수라는 수 체계가 필요합니다.즉 나눗셈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는 유리수로 수 개념이 확장돼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필요한 ... ...
최초의 수학자와 과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있다. 드디어 수학과 과학이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된 것이다!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
철학 기원전 4세기에 살았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리스 최고의 사상가로 꼽힌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은 이후 2000년 동안이나 유럽의 과학계를 지배했다. 과학 혁명 이후 아리스토텔레스의 과학 ... ...
수학자? 과학자?①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본다”라는 핀잔을 들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사람들이 쓸모 없는 일을 한다고 비웃자
자연
을 관찰해 올리브 풍년이 들 해에 올리브 짜는 기계를 모두 사들여 큰 돈을 벌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또한 탈레스는 기원전 585년에 리디아와 메디아사이의 전쟁을 멈추게 한 일식을 예측했다고 한다 ... ...
수학과 과학은 영원한 찰떡궁합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수백 년 전부터 시작되었지만 앞으로 언제까지나 계속될 것이다. 영원한 미스터리인
자연
과 수의 비밀을 밝혀 내는 찰떡콤비의 활약을 기대해 보자~!매분 3km로 달리는 자동차가 A지점을 지나 B지점을 향해 달리고 있다. A지점을 지난 지 x분 뒤에는 A지점으로부터 ykm 떨어진 곳을 지난다고 할 때 다음 ... ...
무한을 향한 도전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자연
수의 크기가 같다는 말을 받아들이기 어려웠던 것이다.칸토어는 연구를 계속해
자연
수, 정수, 유리수의 집합이 모두 크기가 같다는 것을 증명했다. 전체가 부분보다 크다는 것은 인류 역사에서 모두 인정해 온 사실이었는데, 무한집합에서는 이 사실이 성립하지 않는 것이다. 갈릴레이가 ... ...
볼리비아 우유니 소금사막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또 하나의 청정 지대가 사라질지도 모른다. 이른바 ‘저탄소 녹색성장’을 핑계로
자연
을 파괴하는 일이 벌어질 수도 있다. 또 볼리비아는 식민지 시절 참혹한 수탈을 겪은 나라다. 그들에게 외국 자본이 앞장선 리튬광 개발 시도가 달가울 리 없다. 결국 무조건 손을 내밀 수도, 그렇다고 팔짱만 ... ...
이전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