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라디오돈트의 눈 덕분에 진화가 뿜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대체 무슨 일이야? 지금 아노말로카리스 두 마리가 달리기 경주를 하고 있어! 저 멀리 먹을 것이 보인다나? 난 하나도 안 보이는데, 일단 따라가 봐야겠어! Q. 자기소개를 부탁해!안녕, 우리는 ‘라디오돈트’라는 해양생물이야. 난 ‘아노말로카리스 브릭시(Anomalocaris briggsi)’라는 학명을 가졌지. ... ...
- 탐험은 계속된다! 2020 탐험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지난 12월 4일~5일, 미래세대 러닝 프로젝트 ‘탐험대학’ 학생들의 성과를 알리는 ‘2020 탐험대학 페스티벌’이 열렸어요. 페스티벌을 위해 생태, 로켓, 인공위성, 자율주행, 공룡, 게임 등 각 분야 멘토 탐험가들과 학생 대원 80여 명이 온라인에 모였지요. 탐험가들도 혀를 내두를 만큼 놀라웠던 ... ...
- [질문하면 답해ZOOM] 귤은 왜 누른 후에 먹으면 더 단맛이 나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세상엔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왠지 친구들도 선생님도 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보아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있다고요? 그럴 땐 주저 말고 어과동에 물어봐요! 어과동 기자들이 답을 찾아서 알려줄게요! Q. 귤은 왜 누른 후에 먹으면 더 단맛이 나나요? 김민솔 (namusei ... ...
- [과학동아 천문대] 이달의 우주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1월 4일 새벽, 쏟아지는 유성우 보며 소원 비세요!1월 4일 새벽 4시 18분,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별똥별(유성)을 보며 소원을 빌어 보세요. 매년 1월 초에는 3대 유성우 중 하나인 ‘사분의자리 유성우’가 찾아와요. 올해에는 1월 3일에서 4일로 넘어가는 새벽에 가장 많은 별똥별이 떨어질 예정이지요. ... ...
- 단백질 구조 예측, AI는 어떻게 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50년의 난제를 풀었다니, 알파폴드2는 정말 대단한 일을 해낸 거군요. 도대체 알파폴드2는 어떻게 단백질의 구조를 예측한 걸까요? 단백질은 ‘글리신’, ‘히스티딘’ 등 보통 20가지의 아미노산 250~300개가 실에 꿴 구슬처럼 길게 연결돼 만들어져요. 아미노산은 종류에 따라 다른 화학적 특성을 ... ...
- [인터뷰] “한반도 백악기 지층은 세계 최고의 화석 산지…1억 년 전 동물 생태 생생히 복원”과학동아 l2021년 01호
- 2019년 초 경남 사천에서 약 1억 1000만 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에 살던 거대 원시악어의 발자국 화석이 발견됐다. 길이 3m로 추정되는 이 악어의 화석엔 특이하게도 뒷발자국만 찍혀 있었다. 화석을 연구한 국내외 연구진은 지난해 6월 이 화석의 주인공이 두 발로 걷는 악어라고 밝혔다. 세계 최초로 ... ...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구글 딥마인드가 지난해 11월 30일 온라인으로 개최된 ‘제14회 단백질 구조 예측 대회(CASP14)’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해 혁신적인 성과를 냈다. 자체 개발한 ‘알파폴드(AlphaFold)2’가 50년 넘게 해결되지 않던 난제인 단백질 구조 예측 문제를 사실상 해결했다고 밝혔다. 2018년 제13회 CASP 대회 ... ...
- 천문학계 노병, 우주에 잠들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지난해 12월 1일, 57년간 천문학자들의 눈이 돼 주었던 아레시보천문대가 부서졌다. 그보다 앞선 1월엔 16년간 활동해온 스피처우주망원경과의 신호가 끊겼다. 이들은 각기 활동한 영역과 기간은 다르지만 일생을 우주만 바라보다 잠들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RIP(Rest in Peace)’보단 ‘RIS(Rest in ... ...
- 2030 6G GLOBAL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아직 5세대(5G) 이동통신도 제대로 안 되잖아?’ 이 기사를 펼친 독자 중 대부분이 이런 물음을 가슴에 품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잠시 영화 ‘아이언 맨’의 주인공 토니 스타크를 떠올려 보자. 한쪽 눈에 웨어러블 기기를 쓴 토니는 3차원 홀로그래픽 영상으로 이뤄진 증강현실 속에서 손동작만으 ... ...
- 6G 갖춰야 할 성능, 가능케 할 기술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현재 6G 기술에 관한 논의를 주도하고 있는 것은 굴지의 통신기업과 연구그룹이다. 이들은 6G 기술이 어떤 특징과 사양을 지녀야 하는지,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어떤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지, 이 기술이 보편화됐을 때 인류의 삶은 정말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수 있을지 심도 깊게 논의하고 있다. ... ...
이전306307308309310311312313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