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어떤 수를 써도 정보를
알
수 없다는 뜻이다.그런데 우주마이크로파 배경복사를 통해
알
아낸 우주의 온도(에너지) 분포는 거의 전체가 균일했다. 우주는 처음에 태어났을 때 균일했지만 이후 팽창하면서 공간 사이가 크게 벌어졌고, 서로가 서로를 ‘참조’할 수 있는 한계를 크게 벗어났다.부산에서 ... ...
[과학뉴스] ‘쥬라기공원’처럼 멸종 개구리 살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것처럼 보이는 특이한 종이다. 어미 개구리가
알
을 낳자마자 스스로 삼킨 후 뱃속에서
알
을 부화시킨 뒤 뱉어내기 때문이다. 호주 열대 우림에서 살던 이 개구리는 1983년에 멸종됐다.개구리를 되살리기 위해 연구팀은 40년 동안 냉동상태로 있던 이 개구리의 조직에서 세포핵을 분리했다. 그 다음 ... ...
화성은 과거에 붉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조사하며 생명이 살 수 있는 환경이 얼마나 다양했으며 얼마나 오래 지속됐는지를
알
아낸다.큐리오시티는 2년으로 예정된 임무 중 이제 4분의 1 정도를 소화했다. 샤프 산까지는 아직 먼 길이 남아 있다. 큐리오시티는 그곳에서 또 무엇을 발견할까. 모두의 기대처럼 화성에서 살았던 생명체의 ... ...
사자와 사람 기생충이 닮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통찰을 얻을 수 있다.인류는 약 1만 4000년 전 러시아 북동쪽에서 동진해 대서양 너머
알
래스카로 이주했다. 혹시 러시아 야쿠츠쿠 지역에서 키우던 순록이 인류와 함께 아메리카로 이주하며 촌충도 같이 퍼진 것이 아닐까. 촌충의 매개체가 순록이라면 가능성이 있다. 그밖에 폴란드와 나이지리아, ... ...
펭귄부부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조건에서 자식을 부화시키고 먹을 것을 주기 위한 본능적인 행동입니다. 각자 발 위에
알
을 품고 차가운 눈보라 속에서 의연하게 서 있는 모습을 보면 눈물 겨울 정도죠. 먹을 것과 입을 것, 놀 것들이 넘치고 풍요로운 우리 인간들과는 분명히 다릅니다.물론 경쟁에서 살아남는 것만이 최고의 가치가 ... ...
[체험] 피보나치 수를 품은 잎차례와 앵무조개 만들기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나선형 잎차례와 피보나치 수의 비율을 나란히 두고 살펴보면 거의 똑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선형 잎차례를 구성하고 있는 수는 모두 피보나치 수이기 때문이다. 잎이 나는 순서를 따져 보면 잎과 잎 사이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나선형 잎차례의 비에 360°를 곱하면 된다. 피보나치 수의 비가 ... ...
사랑의 묘약, 있다?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옥시토신은 이미 코에 뿌리는 형태로도 개발한 상태야. 또 최근에는
알
약으로도 나왔지.
알
약 옥시토신은 몸에서 더 오랫동안 기능을 할 수 있단다.옥시토신이 약?옥시토신은 아마 사람을 대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 약으로 쓸 수 있을 거야. 옥시토신은 수줍음이 많은 ... ...
[수학뉴스] 300년 전 뉴턴이 낸 문제, 새로운 해답 나왔다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하지만 물체가 세 개로 늘어났을 때도 일정한 궤도를 그리면서 운동하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었다. 뉴턴이 ‘삼체문제’라고 이름 지은 이 문제는 이후 약 300년 동안 수많은 수학자들을 미궁에 빠트렸다.19세기 후반 독일 수학자 하인리히 브룬즈는 삼체문제에 일반적인 해는 없다는 것을 ... ...
[생활] 통계로 생각을 바꾸면 과학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통계를 작성했어요. 그 결과 병원의 위생상태가 개선될수록 사망자수가 줄어든다는 것을
알
아냈어요. 그녀는 사람들이 통계를 이해하기 쉽도록 질병의 원인별 사망률을 그래프로 그리고 병원 환경 개선을 주장했어요. 실제로 병원 위생이 개선되자, 병원의 사망률이 42%에서 2%로 급격히 떨어졌어요 ... ...
은하수는 쇠똥구리의 네비게이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투영관에 넣고 관찰해, 은하수 같이 무리를 이룬 별빛 아래에서 길을 잘 찾는다는 사실을
알
아냈답니다. 쇠똥구리는 은하수만 희미하게 보일 때도 길을 잘 찾았지만, 쇠똥구리의 시력으로도 볼 수 있는 밝은 별만 보여 줬을 땐 길을 잃었어요. 쇠똥구리에게 필요한 ‘나침반’은 은하수처럼 별이 ... ...
이전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