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빛은 파동이면서 입자다. 그런데 고체 속을 흐르는 진동과 소리 역시 파동인 동시에 입자다. 고체를 구성하는 원자들이 흔들릴 때 ‘포논’이라는 양 ... 달린 것이 많다. 그리고 소재의 열, 전기, 자기적 물성 제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성 물질을 발견하는 문제에 대해 포논은 답을 갖고 있다 ... ...
- [News & Issue] 허수의 실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이를 복소평면 위의 함수로 확장할 수 있다. 이 함수를 리만 제타함수라고 부른다.허수의 발견과 복소평면의 확장을 살펴보며, 숫자의 실체가 부질없음을 깨달은 독자가 많을 것이다. 처음에 언급했던, 숫자가 세 가지밖에 없는 호주의 원주민에게 새로운 숫자를 가르치려고 하자 대부분이 완강히 ... ...
- [info] 알파고와 중력파가 던지는 미래 질문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많았다. 중력파를 주제로 강연을 한 김정리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연구원은 “중력파의 발견으로 새로운 천문학의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중력파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사실이 확인돼 중력파, 전자기파 등 우주에서 오는 여러 신호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다중신호 천문학’ 분야가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대답을 피하지는 않았다.오히려 뭔가를 기대하는 눈치였다. 그러다 꼭 맞는 사람 하나를 발견했지만 은경은 거기에 머무를 수 없었다.‘이건 아닐 거야. 그래, 복수정답일 거야. 더 찾아보자.’그 순간 마음이 조금은 가벼워지는 것 같았다.그래도 그날은 도저히 일찍 잠이 들 수가 없었다. 그래서 ... ...
- [지식] 오감만족 수학체험, 포켓몬 잡듯 수학 잡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적 많이 그렸던 도형이 다빈치가 레오나르도 돔의 설계도에 그린 도형과 일치한다는 걸 발견했어요. 이후부터 레오나르도 돔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도형을 연구하기 시작했어요.그 결과 여러 사람이 힘을 모으면 손쉽게 튼튼하면서도 거대한 돔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어요. 워크숍 ... ...
- PART 1. 악마가 좋아하는 소수는?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자리 회문 소수야. 겨우 세 자리 회문 소수를 찾는 걸로 엄살 피울 생각하지 마. 2014년에 발견된 가장 큰 회문 소수는 무려 47만 4501자리였거든!” 악마의 사인천사의 눈앞에 해골이 나타나더니 깔보는 말투로 천사를 비웃었어요.“여기 온 걸 보니 벨페고르가 낸 문제를 풀지 못했나 봐? 낄낄낄 ... ...
- [재미] 마왕의 탑 9화 불어나는 토끼수학동아 l2016년 09호
- 한 쌍의 토끼가 계속 새끼를 낳으면 몇 마리까지 불어날지 연구하다 이 수열을 발견했다. 토끼가 결코 죽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피보나치가 정의한 토끼 세계의 번식 규칙은 간단했다. 첫 달에는 새로 태어난 토끼 한 쌍만 있고, 태어난 지 두 달이 지난 토끼는 번식할 수 있다. 번식할 수 있는 토끼 한 ... ...
- [과학뉴스] 컴퓨터가 연출한 그림자 연극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그림자 모양이 만들어졌다. 이 교수는 “컴퓨터의 빠른 탐색능력을 이용해 인간이 미처 발견하지 못한 창의적인 자세와 움직임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며 “공연예술 분야에서 새로운 콘텐츠를 발굴하는 데 영감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세포 운명 결정짓는 대사물질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분화 초기에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의 양을 증가시키면 줄기세포 분화가 지연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는 대사물질의 양적 변화가 줄기세포 분화 상태와 시기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는 뜻이다. 윤 교수는 “대사물질 조절이 암과 퇴행성 질환 등의 난치병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새로운 ... ...
- [과학뉴스] ‘만찢’ 오징어, 영국 탐사팀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북태평양 바다 수심 300m 지점에서 주로 발견되는데 이번에는 특별히 수심 900m 해저에서 발견됐다.만화 속 캐릭터 같은 귀여운 모습에 탐사를 진행하던 과학자들은 “가짜 같다”, “아이가 흘린 장난감 같다”고 말하며 웃음을 터뜨렸고, 이는 영상에 고스란히 녹음됐다. 영상은 게시된 지 5일 만에 ... ...
이전306307308309310311312313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