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공계 잡터뷰] 세상에 없는 꽃 만드는 화훼연구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활용가치가 높아지고 있다.허 부팀장은 “새로운 품종을 만든다는 것은 생리학, 유전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융합해 실제 현장에 기여하는 일”이라며 “화훼연구자가 된다면 내가 만들고, 내가 이름 붙인 품종이 사람들에게 널리 이용되는 색다른 경험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 ...
- [인터뷰] “신에너지 기술로 살기 좋은 지구를 만들겠습니다” [한글 번역본]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그는 “최첨단 연구로 살기 좋은 지구를 만드는 데 기여하는 한편, 학생 멘토링 등을 통해 후배들이 꿈을 실현하도록 돕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Having entered his third year in the PhD program this year, he disclosed his plans to continue focusing on re ...
- [그래프뉴스] 생태계 잘 보전된 땅이 3%밖에 남지 않았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열대우림, 시베리아 동쪽 지역, 얼어붙은 평원 지대인 툰드라,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등 조금밖에 남지 않았답니다. 이러한 결과는 세계조류보호 조직인 ‘버드라이프인터내셔널’ 과학자들이 주축이 돼 밝혀냈어요. 연구팀은 동물이 없어지거나 줄어든 곳에 코끼리나 말 같은 동물을 풀어 다시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3화. 지명 수배자 삐뚤란을 찾아 그렁그렁 행성으로 출동!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돋우고 있었습니다. 말캉 주스, 말캉 아이스크림, 말캉 과자, 말캉 젤리, 말캉 빵 등 갖가지 말캉 제품을 파는 가게가 수도 없이 많았습니다. 온갖 종족의 외계인이 마을을 돌아다니며 축제를 즐기고 있었지요. ‘흠, 여기서 삐뚤란을 찾기는 쉽지 않겠는걸.’그렁그렁 행성 주민을 구분하는 건 ... ...
- [여섯 번째 대멸종]의 시작? 하나둘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발표했어요. WWF는 전 세계 각 지점을 시기별로 조사해 포유류, 조류, 양서류, 어류 등 4392종의 2만 811 개체군의 크기 변화를 추적했어요. 생물 개체군 변화로 생물다양성을 평가했지요.생물 개체군 감소는 지역별로 각기 다르게 나타났어요. 중남미 지역에서는 개체군이 94% 감소해 가장 심각했고, 그 ... ...
- [시사과학] 15분 만에 뚝딱 완성되는 음압병실 있다?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개발한 이동형 음압병동은 농구장 크기만 한 원통형 텐트예요. 병실 4개와 탈의실 등의 시설이 갖춰져 있어요. 텐트 안 병실의 음압을 유지하는 건 에어컨처럼 생긴 ‘음압 프레임’이에요. 음압 프레임은 외부 공기를 빨아들이고, 이보다 더 많은 공기를 필터를 통해 밖으로 내보내요. 또, 실내 공기 ... ...
- [헷갈린 과학] 이 정도면 쌍둥이? 시베리안 허스키 vs 알래스칸 맬러뮤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시베리안 허스키 하얀 눈 위에서 썰매를 끌고 힘차게 달리는 개를 떠올려 보세요. 가장 먼저 ‘시베리안 허스키’가 생각나진 않았나요? 시베리아에서 썰매를 끌기위해 ... 축 쳐진 시베리안 허스키의 꼬리와는 차이가 있어요. 털 색은 밝은 회색, 검정색, 황갈색 등이 섞여 있답니다 ... ...
- [특집] 딥러닝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3호
- 30년이 흐른 2010년대에 이르러서 딥러닝이라는 함수가 드디어 실제 영상인식, 음성인식 등의 문제를 잘 해결하는 인공신경망 함수를 출력해 낸 것이죠. 저는 딥러닝이라는 함수를 공부하고 있어요. 함수의 세부적인 특성을 더 잘 알면, 어떻게 해야 같은 상황에서 더 좋은 출력물을 만들 수 있을지 ... ...
- [기획] π의 혁신을 불러온 무한급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할 수 있습니다. 1736년 오일러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식’으로 평가 받는 오일러 항등식(eiπ+1=0)을 발표하면서 π를 넣었고, 이를 통해 π가 학계에서 널리 쓰이게 됐습니다.원주율을 소수점 아래 수십~수백 번째 자릿수까지 구한 다양한 연구 결과가 끊이질 않는 가운데, 아르키메데스의 ... ...
- [하비맨] 파이데이를 기념하며 키슈에게 ‘Kiss You’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수는 없다며 회의적이었다고 합니다. 그 후에도 다양한 시도가 있었지만, 임의의 각을 3등분하거나 임의의 정육면체보다 2배 넓은 면적을 가진 정육면체를 그리는 그리스 시대의 두 가지 난제와 달리 원적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이유는 오랜 시간 동안 증명하지 못했습니다. 원적문제가 해결할 수 ... ...
이전306307308309310311312313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