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d라이브러리
"
동물
"(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돌돌이, 너는 내 운명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느끼는 필자의 성격과 잘 맞았던 것 같다. 이사를 하거나 상황이 좋지 않아 기르던
동물
을 분양할 때도 돌돌이만큼은 꼭 챙겼다. 늘 한결같은 모습으로 곁을 지켜주는 돌돌이는 필자에게 충실하고 든든한 존재다. 모든 것이 빨리 변하는 세상에서 언제나 같은 모습으로 곁에 머무르는 것이 몇이나 ... ...
과학영웅과 ‘미래 예고장’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가능성이 있는’ 분야도 있지만, 농담인지 진담인지 구분하기 어려운 아이디어도 많다.
동물
을 해부하지 않고도 생리학적 메커니즘을 연구할 수 있도록 개발한 투명 물고기나 얼음 속에 남아 있던 매머드의 털 화석에서 DNA를 추출해 연구하는 것은 이미 과학자들이 진행하고 있다. 비행기 옆에 ... ...
애벌레 몸속엔 부동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진짜 모습을 감추는 가면이었다.애벌레는 육상 생태계의 먹이사슬 전체를 움직이는
동물
이면서 연구자가 거의 없는 분야이므로 전적으로 과학자에게만 맡길 수는 없다. 복잡한 생활과정을 알아내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고, 아직도 거의 모든 종의 생활사가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다. 그래서 ... ...
인류 진화의 열쇠를 쥔 ‘손’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영장류에게 손은 진화와 지능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요인이다. 사람은 다른
동물
에 비해 뇌의 전두엽이 매우 발달했다. 전두엽은 고차원적 사고를 책임지는 부분이다. 특히 과거의 기억정보와 현재의 감각정보를 결합시킨다. 또한 손의 감각과 운동 능력을 연결해 손을 더욱 잘 사용하도록 ... ...
세상이 깜짝! 별별
동물
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저마다의 기묘한 재주로 때로는 적을 물리치고, 때로는 먹이를 잡아먹으며 살고 있는
동물
들!모두 지구 생태계를 풍요롭게 만드는 주인공들이지요. 지금부터 그들의 놀라운 생존 전략을 공개합니다~.공작여치가이아나에서 발견한 이 곤충은 기묘한 생존 전략을갖고 있어요. 첫 번째 작전은 낙엽인 ... ...
특명! 이산화탄소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만년설이 녹고 있어서 고민이야. 킬리만자로의 눈이 다 녹아 없어지면 수많은
동물
들이 살고 있는 암보셀리국립공원이 사막처럼 바뀔 거야. 실제로 지구 평균 기온이 1℃ 오르면 약 5만 명이 물이 부족해서 고통을 받고, 매년 약 30만 명이 더위 때문에 생긴 전염병으로 사망하게 된대. 정말 걱정돼 ... ...
달리는 로봇 어떻게 만들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땅을 짚고, 동시에 방향도 바꿀 수 있습니다. 승마를 해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네발
동물
이 달릴 때 위에 앉아 있으면 정말로 하늘을 ‘붕~’ 날아가는 느낌이 듭니다.아직까지 네 발 달린 기계가 뛰어다닌다는 소식은 들은적이 없습니다. 실용성에서 꼭 그렇게 할 이유도 찾기 어려워서 개발도 ... ...
뇌과학으로 본 버럭순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수 있다.]뇌가 오랫동안 건강하려면전두엽은 하등
동물
에서는 거의 발달하지 않는다. 고등
동물
로 갈수록 용적이 큰 편이다. 또 인간의 전두엽은 어릴 때는 발달하지 않다가 신체가 성장할수록 함께 발달해 청장년이 돼서야 비로소 성숙해진다. 사춘기 청소년들이 자기 감정조절을 잘 못하고 산만한 ... ...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비싸 사람의 몸에 이식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인간 조직이 아닌
동물
에서 가져와 만든 피부도 있다. 지난 8월 독일 과학자들은 거미줄을 이용해 사람의 피부를 배양해 내는 연구에 성공했다. 금속 틀에 짠 거미줄 격자 위에 사람의 피부 세포를 배양했더니 4일 뒤 피부세포가 ... ...
우리는 개를 이해하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개에 대한 흔한 상식 하나. ‘개는 색맹이다?’ 겨울에 눈이 오면 개들이 눈밭을 신나게 뛰어 노는데 그건 희고 검은 색밖에 구분하지 못해서라는 ... 이해하고 있을까. 혹은 몰라도 복제 코요테를 탄생시키는 데 아무 문제가 없는 걸까. 문득 ‘
동물
을 안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궁금해진다 ... ...
이전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