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지
분파
분맥
너울가지
너울
곁가지
어린 가지
d라이브러리
"
가지
"(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강철이 연료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비교할 수 없는 파괴력이다.금속 분말을 민간에서 연료로 쓰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다. 금속 분말에 직접 불을 붙여 공기 중 산소와 반응시키는 방법이 있다(4Al+3O2→2Al2O3). 이 때 발생하는 뜨거운 열로 엔진을 가동시킨다. 금속 가루를 물과 반응시키는 방법도 있다. 순수한 알루미늄은 반응성이 몹시 ... ...
[Tech & Fun] 국간장, 진간장 이게 다 뭐야?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진간장이 더 짜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그 반대입니다. 국간장이 더 짭니다. 진간장에 몇
가지
재료를 넣은 게 조림간장이고요, 백종원의 만능간장은 조림간장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지요.이제 마트에서 사먹는 현대식 간장을 볼까요. 우리가 사먹는 간장은 대부분 식품공장에서 만들어요. 먼저 ... ...
PART 2. 아무도 몰랐던 착시의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움직임, 색깔 등 여러 요소에 의해 일어나요. 착시현상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고 여러
가지
연구도 이뤄졌어요. 하지만 착시현상을 보는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답니다.분명한 점은 우리가 실제를 그대로 인식하지 않는다는 거예요. 사물에서 반사된 빛이 우리 눈으로 들어와 ... ...
[지식] 세기의 매치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게임이다. 첫 번째 줄에 있는 8개 말의 위치를 임의로 바꿔 놓고 시작하는 것이다. 단 두
가지
조건이 있다. 두 개의 비숍 중 하나는 어두운 칸, 하나는 밝은 칸에 두고 킹을 기준으로 룩은 양쪽에 하나씩만 있어야 한다. 이 때 만들어질 수 있는 경우의 수가 총 960개라서 피셔960이라고 이름 붙였다 ... ...
프로젝트 3 결전의 순간! 부모님을 설득하라!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기간이 너무 길어요. ‘복리의 마법’을 경험하기는 어려워졌다는 거죠.여기서 한
가지
더 생각해야 할 것은 물가예요. 대학교에 가기 전 5년 동안 물가가 오르기 때문에 은행에서 이자를 받는다고 해도 실질적인 구매력은 그 이자만큼 커지지 않아요. 작년 물가상승률을 기준으로 5년 간 물가가 ... ...
[소프트웨어] SW 기업 탐방_난 동작으로 수정한다!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일을 해라!’라고 전하고 싶어요. 남의 말에 휩쓸리지 말고 내가 하고 싶은 것에 신념을
가지
고 하다 보면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요? 아니면 말고요. 실패한다고 다른 걸 못하겠어요? 하고 싶은 게 생겼다면 지금 도전해 보세요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이번 관문을 넘으면 정전에 모신 태조 어진을 만날 수 있습니다.정전에서 만난 세
가지
관문을 모두 넘었나요? 현존하는 어진을 모두 만나기 위해 단 두 관문이 남았습니다. 다음에는 어떤 어진을 만나게 될지 기대해 주세요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서로 역할을 나눠 단체 활동을 할 정도로 영리했고, 물건을 잡을 수 있는 앞발을
가지
고 있었지요. 만약 이들이 멸종하지 않았다면 인류형으로 진화하지 않았을까요?공룡의 진화를 꿈꾸는 과학자들은 백악기 후기에 살았던 수각류 트로오돈을 주목했어요. 공룡 중 몸집에 비해 뇌 크기가 가장 크고,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포신형 폭탄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어찌 보면 이들도 잠재적 핵보유국이나 마찬
가지
다.새로운 대안이 필요한 때북한은 어떨까. 켐프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북한은 핵무기 개발에 성공한 파키스탄으로부터 우라늄 농축법을 배웠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 스스로 우라늄 농축 기술을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뚫고 들어가 내장을 먹었다. 연구팀은 이 실험을 통해 수중과학수사에 응용할 부분이 두
가지
가 생길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먼저 시체에 모인 생물의 종류와 양을 보고 입수시간을 계산할 수있다. 또 바다에 잠겨있는 시체의 현재상태를 예측해 시체를 인양하거나 수사할 때 참고할 수 있다 ... ...
이전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