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4,153건 검색되었습니다.
2. 나는 인터넷을 얼마나 좋아하나
과학동아
l
199609
때문인 듯하다. 하지만 앞으로 직장인이나 주부들이 인터넷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길
이 열리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인터넷을 밤새워 하다 일과시간에 조는 직장인이 나타날 수 있고, 밥을 태워먹는 주부가 나올지도 모를 일. 실제로 미국에서는 인터넷에 너무 몰입한 나머지 아이와 가정을 ... ...
카오스축구가 월드컵정상에 오른다
과학동아
l
199608
결론으로 리온스는 이렇게 말했다. “표기분석법의 자료를 이용해 언제 팀이 쇠퇴의
길
에 접어드는지를 밝혀내는 것이 우리의 목표다. 이것이 바로 카오스의 2단계로 접어들어야 할 때일 것이다. 바로 이때 아스프리야를 데려와야 했다.”98년 프랑스에서 열리는 월드컵에서 카오스이론은 어떤 ... ...
3. 공룡시대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608
대한 DNA 정보를 분리해낸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 그 피가 공룡의 피인지 확인할
길
도 없다.결국 지금까지의 방법으로는 공룡의 게놈 DNA를 찾아낼 수 없다. 만일 공룡의 게놈 DNA를 발견한다면 공룡을 복원하는 것은 가능할까. 이 물음 역시 대답은 '아니오'다. 현재의 과학기술로 유전자만 ... ...
태양계의 냉동창고, 쿠이퍼대
과학동아
l
199607
벗겨질 것이다. 이를테면 집안에서는 그 집이 무엇으로 만들어져는지 도무지 알
길
이 없다가, 집 밖에 나가보니 그 재료들의 고스란히 남아있는 것과 같다. 게다가 이 남겨진 재료가 냉동보관까지 잘 되어 있는 셈이 아닌가 ... ...
3. 통증을 정복한다 : 통증 극복하는 하이테크 의술
과학동아
l
199607
청진기를 들고 약처방이나 주사처방 정도였다. 설상가상으로 통증이 시작된지 2년 후
길
을 건너다 교통사고를 당해 무릎 밑 양쪽 다리가 모두 부러졌다.K원장은 즉시 정형외과에서 수술을 받았는데. 이때 척추 마취를 시행하던 마취의가 환자가 옆으로 누울 때 심한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것을 보고 ... ...
1. 전기를 고압으로 송전하는 까닭
과학동아
l
199607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접지되지않은 도선이 몸체와 연결된다고 하더라도 이
길
을 통해 전류가 빠져나가 버리기 때문에 몸체에 손을 댄 사람이 감전될 위험은 없다.접지를 하면 감전의 위험은 줄어들지만 여전히 문제는 남는다. 전기기구의 바깥쪽 몸체에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전류가 ... ...
두 얼굴의 장마
과학동아
l
199607
형태를 지니고 있다. 예전에 비가 많이 오면 불어난 강물의 압력으로 새로운 물
길
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져 강물이 옆으로 넘치는 일이 없었다.그러나 독일 정부는 몇십년 전부터 라인강을 가로지르는 배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꼬불꼬불한 수로를 일직선으로 만들었다. 그 결과 강물이 진행할 수 ... ...
KAIST 송태호교수가 최초로 밝힌 얼음골의 비밀
과학동아
l
199607
송태호교수(KAIST 기계과)는 지난 94년 8월 영국의 브라이턴에서 열렸던 제 10회 국제열전달학회에서 현장 연구를 기반으로 한 '얼음골의 현상 분석(Numerical ... 24번 국도를 타고 밀양쪽으로 23km를 가다보면 왼쪽으로 얼음골로 접어드는
길
을 만난다. 비교적 표지가 잘 돼 있고 주차도 쉽다 ... ...
능란한 화술, 지능적 의사소통
과학동아
l
199607
tandem running)이라 부르는데, 어떻게 이런 비효율적인 의사소통 방법으로부터 냄새
길
을 놓아 한꺼번에 여러 동료들을 동원할 수 있는 대중 전달 수단이 진화될 수 있었는가는 대단히 흥미로운 연구과제가 아닐 수 없다 ... ...
Ⅰ. 지상은 초만원 땅속으로 간다
과학동아
l
199607
활용하고있다. 요빅 마운틴 아이스홀이라 불리는 이곳은 총면적 1만5천m2(5천평)넓이에
길
이95m, 지하공동 높이 24m의 규모로 6천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다. 특히 61m에 달하는 내부의 폭은 공공 목적의 지주없는 인공 지하공간으로는 세계 최대를 자랑한다.암반굴착기술, 냉.난방, 환기시설 등 이 ... ...
이전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