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동
행실
활동
소행
실행
처신
태도
스페셜
"
행위
"(으)로 총 393건 검색되었습니다.
北 스마트폰에 이런 기능이?…얼굴·지문 인식도 가능
연합뉴스
l
2019.12.09
얼굴인식기 '담보'를 개발했다"면서 "사진 및 동영상, 손전화기를 이용한 기만
행위
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쉽게 설치할 수 있다"고 선전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이에게 이타심을 가르치는 법
2019.12.07
비해 일반적으로 타인을 더 잘 돕는 경향을 보인다는 발견이 있었다. 정리하면 돕는
행위
자체에서 기쁨과 보람을 느끼는 것, 타인의 욕구와 필요에 대한 깊은 이해, 가까이할 사람을 잘 선택하되 가깝지 않은 타인을 지나치게 배척하지 않는 태도, 참과 거짓을 판단할 줄 아는 깊은 사고력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살로 이어지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2019.11.30
한다. 일반적으로 자살은 지금의 괴로움을 도저히 참을 수 없어서 시급히 탈출하는
행위
로 알려져 있다. PTSD로 고통받는 많은 사람들이 탈출하고 싶은 마음과 여전히 할 게 남아 있다는 마음이 계속해서 싸우는 상태일지도 모르겠다. 이 때 희망이나 긍정적인 신호가 있다면 모르겠지만 계속 ... ...
과기원 두 곳과 국제 협력연구 파국 이끈 1년…남은 건 "한국은 원더랜드"이미지
동아사이언스
l
2019.11.27
“LBNL은 장비 이용시간을 사전에 기록해 둔 일정표에서 독점이용시간을 삭제하는
행위
마저 계약 파기로 비칠 가능성이 있다고 해서 그대로 남겨두고 기다릴 정도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며 “반면 한국 정부는 구체적인 근거도 제시하지 않은 채 계약된 이용대금 지급을 보류했고, 그렇다고 ... ...
IBS는 과연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훼방꾼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11.24
시도입니다. 정부출연연구소 체제에 끼워 맞추어지지도 않습니다. IBS 연구단장은 모든
행위
하나하나에서 기댈 전례가 없고 새로운 길을 개척해 나가야 합니다. 그러다 보니 연구보다 연구단 운영에 더 시간을 빼앗기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또한 큰 예산을 다루다 보니 그에 걸맞은 엄정한 평가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모가 거짓말하면 아이도 따라한다
2019.11.23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일이겠지만 중요한 사실은 ‘자녀’에게 거짓말을 하는
행위
는 이후 자녀의 정직함과 사회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싱가포르 난양공대 심리학자 페이페이 세토 교수에 따르면 부모가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서 하는 크고 작은 거짓말은 이후 아이들이 커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LSD 르네상스를 꿈꾸는 사람들
2019.11.19
대명사가 필요하다고 쓰고 있다. 미국에서 여전히 LSD가 1급 마약인데 이런 불법
행위
를 버젓이 쓴다는 게 한편으로는 놀랍다. 작가의 체험 취재는 처벌 예외라서 그런 걸까 아니면 현장에서 걸리지 않는 이상 수사를 하지는 않는 걸까. 실로시빈을 투여한 사람의 fMRI 데이터로 ... ...
[과학게시판] 에너지硏, 2019 혼디모앙 과학축제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함께 선언한 ‘갑질 근절 및 청렴실천 결의문’에는 부당한 업무지시 금지, 갑질
행위
신고자와 피해자 보호 등 5개의 실천결의 내용이 담겼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와 디자인-공학융합전문대학원이 11일부터 15일까지 ‘2019 디자인 위크’를 개최한다. 제2공학관 로비 ... ...
해커 잡는 AI 플랫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6
보유한 실제 보안로그를 학습해 개발돼 실제 사이버공격과 정상
행위
를 99.9% 이상의 정확도로 자동 분류한다. 기술이전 책임자인 송중석 KISTI 책임연구원은 “잘 알려진 바둑 AI ‘알파고’가 학습한 기보 데이터와는 달리 보안로그 데이터에는 AI 성능에 방해가 되는 암호화 문자, 서식 문자, 특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한 수 가르쳐주마'라는 소셜 자경주의
2019.11.02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깔아뭉개고 수정하는 방식으로 통제감과 권력감을 유지하는
행위
다. 소시에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이런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생각을 보인다. ① 나에게는 다른 사람들을 계몽할 의무가 있다. ② 보통 내 말이 옳으므로 사람들은 내 말을 새겨들어야 한다. ③ 지적 수준이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