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이
연령
춘추
연륜
스페셜
"
연세
"(으)로 총 518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부 2만 명 이상 임상·유전체 데이터 모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22
단계에서 각각 아이디(ID)를 부여하고 폐쇄망을 구축한다. 송시영 위원회 위원장(
연세
대 세브란스병원 교수)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을 통해 정밀의료 기반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신약을 개발할수 있을 것”이라며 “시범사업 성과평가와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본 사업 구축 ... ...
"숨진 17세 고교생, 다른 호흡기 바이러스 8종 검사도 모두 음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3.20
없었나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와 서울대병원,
연세
대 세브란스병원에서 영남대병원에서 숨진 고교생의 검체를 받아 검사한 결과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모든 시험기관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 ...
'사이토카인 폭풍'이란 무엇인가…숨진 17세 고교생 최종 음성 판정, 관련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0.03.19
숨졌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질병관리본부는 이날 "서울대병원,
연세
대 세브란스병원 등 대학병원에서 교차 검사를 실시한 결과 사망한 17세 환자의 모든 검체 검사에서 코로나19 음성 반응이 나왔다"며 최종 음성 판정을 내렸다 ... ...
숨진 대구 17세 고교생 코로나19 최종 ‘음성’ 판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3.19
부본부장은 19일 오후 2시 10분에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질병관리본부가 서울대병원,
연세
대 세브란스병원 등 대학병원에서 교차 검사를 실시한 결과 사망한 17세 환자의 모든 검체 검사에서 코로나19 음성 반응이 나왔다”며 “임상정보와 검사결과를 종합해 중앙임상위원회에 최종 사례 판정을 ... ...
누리호 타는 큐브위성 4기, 미세먼지 추적하고 백두산 폭발 감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3
올 10월부터 한반도 주변의 미세먼지 오염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됐다. 박상영
연세
대 천문우주학과 교수가 개발 중인 초소형위성 ‘미먼(MIMAN)’은 천리안2B호의 뒤를 이어 미세먼지 오염을 관찰하는 두 번째 위성을 꿈꾸고 있다. 하지만 천리안2B의 무게인 3.5t의 1000분의 1도 되지 않는 3.38kg ... ...
국민안심병원도 뚫렸다…분당제생병원에서 8명 코로나19 확진
동아사이언스
l
2020.03.06
등 A형은 호흡기 전용 외래 진료소를 분리 운영하고 있다. 분당제생병원을 비롯해
연세
대 신촌세브란스병원,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등 B유형에 속한다. B형 병원은 여기에 선별진료소와 호흡기질환 병동 등 입원실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에 의료진 확진 환자가 나온 분당제생병원은 지난달 2 ... ...
노벨상 받은 우주가속팽창이론 '틀렸다'vs'맞다' … 모처럼 건전한 학술 논쟁
동아사이언스
l
2020.03.03
처음 입증한 우주가속팽창이론의 기본 토대가 된 중요한 관측 결과를 비판한 이영욱
연세
대 천문우주학과 교수팀의 연구 결과를 재검토한 뒤 이를 반박하는 논문을 ‘미국천체물리학회지 레터스’에 제출하고 논문 초록 공개사이트 ‘아카이브’에 2일 공개했다. 우주가속팽창이론은 우주가 약 ... ...
[주말N수학]무증상 감염·슈퍼전파를 찾는 수학
수학동아
l
2020.03.01
방역 정책의 효과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실제 질병관리본부 전염병대응센터와
연세
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공동연구팀은 SLIAR 모형을 이용해 우리나라에서만 200명이 넘는 사망자를 낳은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신종플루)에 대한 방역 정책을 평가했다. 손 팀장은 “무증상 감염이 가능한 ... ...
전문가들 "제2,제3의 신종 감염병 출현 가능성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5
과정을 구체적으로 밝혀내 이를 방해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혁민
연세
대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는 “한국은 세계 최초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진단법을 민간 병원에까지 보급하고 있다”며 “다른 국가보다 빨리 할 수 있었던 비결은 각 분야 전문가들이 메르스 ... ...
QLED vs. OLED vs. 마이크로LED…CES는 디스플레이 기술 각축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네이처 제공 삼성전자는 안전하면서 빛 효율과 안정성이 뛰어난 새로운 QLED 기술을
연세
대와 공동으로 지난해 11월 개발해 ‘네이처’에 발표하기도 했다. 유독한 중금속인 카드뮴을 사용하지 않고(삼성의 기존 QLED 제품도 카드뮴을 사용하지 않는다) 인화인듐(InP)를 활용해 스스로 빛을 내고 효율도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