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스페셜
"
밀도
"(으)로 총 35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이들 습도수용체는 어떻게 습도를 인식해 활성화될까. 습도란 공기 중의 수증기(물분자)
밀도
인데 그 차이가 수용체 단백질의 구조에 영향을 주는 것일까.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이 부분은 여전히 미스터리라면서도 그럴듯한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있다. 즉 습도가 높으면 더듬이의 큐티클이 습기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너지, 당분간은 천연가스에 기대야 할까...
2017.07.11
액체처럼
밀도
가 높을 때도 기체처럼 행동한다. 초임계유체 이산화탄소는 수증기보다
밀도
가 훨씬 높아 강력한 힘으로 터빈을 돌릴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증기터빈의 10분의 1 크기로도 같은 전력을 낼 수 있다. 터빈을 빠져나와 다시 기체가 된 이산화탄소는 컴프레서에서 압축돼 연소기로 가고 일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무로 지은 아파트에서 사는 시대 올까?
2017.05.30
같은 무게일 경우 강철이나 콘크리트보다도 강도가 세다. 물론 같은 부피일 경우는
밀도
가 낮아 그렇지 못하다. 그럼에도 목재는 시간의 경과나 습도에 따라 휘어지고 갈라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통나무 그대로 쓴다면 문제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나온 게 바로 구조용집성판(cross laminated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줄이는데 식물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2017.05.02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캐나다 토론토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주거지의 나무
밀도
가 높을수록 심혈관계 및 대사질환 발병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들은 블록(도시 구획 단위) 당 나무 열 그루만 더 심어도 의료비를 1만 캐나다달러(약 840만 원)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역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바뀔 수 있다. 엑손 주변에 있는 SNP는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쳐 세포 포면의 수용체
밀도
, 즉 민감도의 차이로 이어질 수 있다. 오싫모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오이의 향을 싫어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냄새부터 거부감이 드니 먹을 마음이 생기지 않는 것이다. 오이 같은 담백한 음식에서 냄새라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농도가 올라가면 뉴런을 둔하게 만들어 잠을 유도한다. 그런데 뉴런 표면의 수용체
밀도
가 낮아지면 아데노신의 신호를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피곤해도 잠이 잘 오지 않는다. 커피에 들어있는 카페인은 이 수용체에 달라붙어 아데노신의 작용을 방해하므로 안 그래도 수용체가 부족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
2017.02.14
잘 수행했다는 걸 뜻하는 게 아닐까. 연구자들은 이를 점수화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즉
밀도
가 낮아 발광을 하지 않는 비브리오 피셰리 배양액 세 곳에 각각 비브리오 피셰리, 신호에 반응해 신호를 내놓는 인공세포, 신호에 반응하지 않는 인공세포를 넣어줬다. 30도에서 3시간 배양한 뒤 발광 세기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
2017.02.07
대한 적응으로 진화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동아시아 사람들의 털
밀도
는 서구나 아프리카 사람들에 비해 낮다고 한다. 그때는 그 의미를 깨닫지 못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자연스런 결과다. 예전에 서구의 한 여성이 동아시아 남자들은 몸에 털이 없어 남자로 느껴지지 않는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말 빨리하는 사람이 싱거운(?) 이유!
2017.01.23
주의를 환기시키는 이유다. 한편 발화 속도가 같을 경우도 남성이 여성보다 정보
밀도
가 높았다. 이에 대해 코헨 프리바 교수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정보전달 능력이 떨어지는 게 아니라 듣는 사람을 좀 더 배려하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그나저나 알파고 수준의 번역기는 언제쯤 나올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
2017.01.10
방법이 없어 보인다. 회사의 설명에 따르면 신소재인 탄소나노튜브로 재설계된 초고
밀도
배터리를 적용했기에 이런 혁신이 가능했다고 한다. 즉 그 정도로 공간이 더 필요하지는 않았다는 말이다. 게다가 1시간만 충전해도 10시간은 쓸 수 있다고 한다. 아무튼 필자로서는 무게가 100g 주는 것보다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