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순
유일
단독
통일
일관성
균일성
협조
스페셜
"
단일
"(으)로 총 35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
2017.05.10
업체들도 문제가 많은데 대표적인 예가 항체다. 특정한 분자의 구조를 인식해 달라붙는
단일
클론항체는 표지로 널리 쓰이는데 문제는 그 전제가 충족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즉 특정한 분자의 구조만을 인식해야 하는데 다른 생체분자들에도 달라붙을 경우 데이터가 엉망이 된다. 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
2017.04.25
발표됐다. 지난해 학술지 ‘플로스 유전학’에 실린, 3000여 명의 얼굴 3D 데이터와 이들의
단일
염기다형성(SNP) 데이터를 분석해 얼굴의 특징과 관련된 자리를 규명한 논문이 대표적인 예다. 연구자들은 얼굴에서 20가지 길이를 측정해 SNP와의 관련성을 조사했는데 5가지에서 관련된 자리를 찾았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비교한 결과 개인에 따라 차이가 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전자 염기서열의 차이인
단일
염기다형성(SNP)이 광범위하게 존재한다. 만일 아미노산으로 번역되는 부분(엑손)에 SNP가 있어 아미노산이 바뀌면 수용체 단백질의 구조가 바뀌어 리간드(달라붙는 냄새분자나 맛분자)의 결합력이나 심지어 ...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추측이 처음 제기됐다.식물생리학자 미카일 체일라칸(Mikhail Chailakhyan)은 꽃이 핀
단일
식물(낮이 짧아지면 꽃을 피우는 식물)의 일부를 떼어 꽃이 필 수 없는 장일조건 상태에 있던 같은 종의 식물에 접붙였더니 꽃이 핀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꽃이 핀 식물에서 나온 어떤 물질이 꽃을 피울 수 ... ...
양자컴퓨팅의 세계, 기초과학이 토대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IBS) 양자나노과학 연구단장(이화여대 석좌교수)은 전자주사터널현미경(STM)을 이용해
단일
원자의 위치와 양자 상태 제어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STM은 물질의 표면 이미지를 원자 수준으로 볼 수 있는 나노과학 실험 장치다. 그는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에 위치한 IBM 알마덴 연구소에서 1998년부터 약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
2017.01.04
하나가 사람의 신경퇴행성질환에 해당하는 증상인 이유다. 한편 Bmal1이나 Clock 유전자의
단일
염기다형성(SNP)을 조사한 결과 특정 변이형을 지닌 경우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에 걸릴 위험성이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한편 실험동물에게 수면이나 먹이를 먹는 시간대를 늦추는 사회적 시차를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계산화학의 선구자, 월터 콘
2016.12.15
액체나 고체처럼 원자들이 서로 가까이 존재하는 물질이다. 양자물리학자들은
단일
원자나 원자 두세 개로 이뤄진 간단한 분자의 전자 에너지를 구하는 방법을 개발했지만 응집물질의 전자는 수많은 원자와 다른 전자들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를 적용할 수 없다. 콘은 응집물질의 전자의 에너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
2016.11.28
가운데 몇 개가 고장 나도 사는데 별 지장이 없다. 실제 다른 감각 수용체 유전자에 비해
단일
염기다형성(SNP), 즉 변이가 많이 일어나 있다. 그 결과 같은 수용체라도 유전자가 A형은 인식하는 냄새분자를 B형은 인식하지 못할 수가 있다. 결국 똑 같은 냄새 환경에 있더라도 우리 모두는 각각 다른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린란드에 살던 바이킹 후손들은 15세기 왜 갑자기 사라졌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1.14
배아줄기세포를 쥐의 시각피질에 이식한 다음 이광자 현미경검사(two-photon microscopy)와
단일
시냅스 투사기법(monosynaptic tracing)을 이용해 조사했다. 그 결과 배아줄기세포가 4~8주 사이에 시각피질에 적합한 뉴런으로 정상 발달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다른 뉴런과 전기화학신호를 주고받는 ... ...
"광학 이미징의 새로운 장을 열어가겠습니다"
IBS
l
2016.09.01
데 있어서는 최 부단장 연구진이 현재 세계 최고 수준에 있다. 최 부단장은 더 나아가
단일
산란뿐 아니라 다중 산란까지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그는 "한 번 산란된 빛만 이용하면 근본적으로 더 깊은 곳을 관찰하지 못한다"며 "두 번, 세 번 산란된 빛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